전환기 남북관계 발전 추진 방안
현재 상황은 통일이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는 아니므로 과도 기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의 남북관계 발전 전략은 과도기를 통해 서 통일을 준비하되 이어서 도래할 과도기와 변혁기의 통일정책이 순조 롭게 추진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자세를 견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북한‧통일에 관한 대한민국의 사회균열 구조와 진영화 현상, 또 진영화 된 사회균열 구조에서 파생되는 대북강온정책의 국내정치적 동기와 위 기관리 효과 등은 대북‧통일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다. 남한 사회 의 대북‧통일정책의 정쟁화 구조와 북한 정권의 도발적 행동 속에서도 남북 관계를 진전시킬 전략은 존재하며, 중간 위치와 윈셋을 활용한 타결 방안 의 모색이 가능하다. 첫째, 북한·미국·중국 등과 관련하여 분열되어 있 는 국내 상황을 역이용하여, 특히 강경파를 적절히 내세워 대외 협상에서 나은 결과로 타결하는 방안이다. 둘째, 북한 핵문제와 관련된 대결 구도 에서 중간 위치를 확보하여 역내 절대 다수의 지지로 타결하는 방안이다.
셋째, 여러 관련 문제를 함께 고려해서 당사국 모두가 현재 상황보다 더 선호하는 대안을 찾아 합의하는 방안이다. 현재의 위기가 남북관계 발전 의 기회로 전개될 수 있게 하는 전략적 고려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남북교류협력은 한반도 평화 증진, 민족 동질성 회복, 남북한 공동번 영 및 통일 준비 등 여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정책수단이라는 점에 서 중요성이 있다. 국제적 대북제재가 계속되는 국면에서는 개성공단을 비롯해 기업들이 참여하는 경제협력사업은 거의 대부분 실행하기 어려 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도적 지원, 민생협력, 이산가족교류, 사회문화 체육교류 등 여타 사업의 추진 여건도 매우 나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도해 볼 수 있는 가장 유망한 사업은 유엔 산하기구를 비롯한 국제사회의 대북지원사업에 간접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즉 이들 사업 에 남북협력기금을 지원하고 사업 관련 정보를 공유하며 향후 사업 추진 방향에 우리 정부의 관심과 수요를 반영시킬 필요가 있다.
핵협상이 타결되고 대북제재가 해제될 경우에 대비해 개성공단을 비
롯한 기존 경협을 원만하게 재개할 수 있도록 미리 대책을 수립해 두어야 할 것이다. 경협 추진과 관련하여 중요한 점은 우리 정부와 기업의 입장 만 반영할 것이 아니라 북측도 실질적 이득을 거둘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UN 제재와 상관없이 실행할 수 있는 인도적 지원 등 각종 교류협력은 민간 차원 교류를 먼저 적극 시도하는 한편 당국 차원 교류도 지속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 국면에서 남북교류협력과 관련한 정 부 정책은 UN 제재로 대표되는 국제사회의 대북정책 합의를 존중함과 동시에 대북․통일정책의 기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장기적이고 지속적 인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전환기 남북관계 형성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서는 대북인식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질서가 유지되는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이에 대한 만 반의 준비를 갖추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이것은 ‘평화정착’과 ‘사실 상의 통일’을 거쳐 이룩되는 긴 여정을 필요로 하고 있다. 북한의 적화통 일 주장이 남한의 반발을 초래하듯이, 자유민주주의식 통일과 ‘북한 붕 괴’를 공개리에 천명하고 공론화하는 작업을 하는 것은 실질적인 통일논 의에 역효과를 낼 수밖에 없다. 상대방 체제를 붕괴시키고 자기 체제를 이식하겠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천명한다면 상대방이 이를 순순히 받아들 이기는 어려울 것이다. 김정은 체제에 대한 현실적 재인식도 필요하다.
북한의 변화를 압박‧유도하기 위해서는 복합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우 선 북한이 핵협상에 응하도록 강력한 제제와 압박을 가하고 한국형 3축 체제의 조기완성을 통한 대응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북핵문제의 근 원적 해결을 전제로 협상의 의제와 형식을 파격적으로 모색하는 창의적 방안도 강구되어야 한다. 북한 인권문제와 인도적 지원은 실제적인 효과 성을 기준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북한 비핵화를 넘어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체제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 으로 중장기적 통일로드맵을 구현해야 한다는 점에서 남북관계 형성은
한국 정부가 지속적으로 추구해야할 정책목표에 해당한다. 전환기의 특 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남북관계 형성을 위한 지속가능성의 확보에 주력할 때다.
참고문헌
1. 단행본
김명철 저. 김종성 역. 김정일 한(恨)의 핵전략: 그 미궁의 핵전략을 철저하게 해부한다. 서울: 동북아, 2005.
김병로 외. 2007 통일의식 조사. 서울: 서울대 통일연구소, 2007.
김상훈․이재호. 통일 대비 경제공동체 형성을 위한 중소기업의 역할과 정책과제. 서울: 중소기업연구원, 2015.
김재한. 대한민국 국회, 불신과 양극화. 춘천: 한림대학교출판부, 2012.
______. 정치마케팅의 전략. 춘천: 한림대학교출판부, 2012.
______. 세상을 바꾼 전략 36계. 서울: 아마존의 나비, 2016.
김형기. 남북관계 변천사. 서울: 연세대 출판부, 2010.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대북지원 20년 백서. 서울: 대북협력민간단체협 의회, 2016.
박주화 외. 남북통합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서울: 통일연구원, 2016.
브루스 부에노 데 메스키타. 세계정치론. 서울: 카오스북, 2015.
신종호 외. 대북제재 평가 및 향후 정책방향. 서울: 통일연구원, 2016.
________ . 전환기 남북관계 영향요인 및 향후 정책 방향. 서울: 통일연구원, 2016.
이정균 외. 대북제재로 인한 북․중 접경지역에서의 무역 거래관행 변화 분석.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
장형수 외. 북한 경제발전을 위한 국제협력체계 구축 및 개발지원전략 수립방안. 서울: 통일연구원, 2012.
정근식 외. 2016 통일의식 조사. 서울: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2016.
정세현. 정세현의 통일토크. 서울: 서해문집, 2013.
조한범. 남남갈등 해소방안 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2017.
조한범‧이우태. 통일국민협약 추진방안. 서울: 통일연구원, 2017.
최진욱.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 통일연구원, 2012.
크리스토퍼 힐 저. 이미숙 역. 크리스토퍼 힐 회고록. 서울: 메디치미디어, 2015.
통일부. 남북협력기금 백서. 서울: 통일부, 2008.
통일연구원. 남북관계연표. 서울: 통일연구원, 2011.
통일연구원 북한인권연구센터. 북한인권정책 추진전략. 서울: 통일연구원, 2015.
하영선 외. 12시간의 통일이야기. 서울: 민음사, 2011.
한동호·도경옥. 북한인권정책 추진전략과 실천과제. 서울: 통일연구원, 2015.
C4ADS·The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In China’s Shadow.
Seoul: The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2016.
Downs, George and David Rocke. Optimal Imperfection?: Domestic Uncertainty and Institutions in International Relation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Mueller, John. War, Presidents, and Public Opinion. New York:
John Wiley, 1973.
2. 논문
김병로. “실용주의 대북정책 구상.” 통일과 평화. 창간호, 2009.
김석진. “남북경협에 대한 남북한의 상호 인식과 정책.” 신종호 외. 전환기 남 북관계 영향요인 및 향후 정책방향. 서울: 통일연구원, 2016.
김수암. “대북 인도적 지원과 북한인권, 그리고 북한인권법.” 북한 경제리뷰. 2월호,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12.
김재한. “한국 유권자의 이념분포와 정계구도.” 김재한 외. 한국 정치외교의 이념과 논제. 서울: 소화, 1995.
______. “북한체제의 대내적 위기와 대외적 대응.” 통일연구논총. 제6권 제2호, 1997.
______. “남남갈등과 대북 강온정책.” 국제정치연구. 제9집 제2호, 2006.
______. “북한 및 미국 관련 남남갈등의 변화추세.” 통일과 평화. 제1집 제2호, 2009.
______. “남남갈등의 연계성.” 통일과 평화. 제2집 제2호, 2010.
______. “부에노 데 메스키타의 북한문제 분석.” 통일문제연구. 제27권 1호, 2015.
______. “통일‧안보 정책의 정치화와 사드 배치 논란.” 통일전략. 제16권 제4호, 2016.
______. “이념 스펙트럼의 한국적 진화.” 통일전략. 제17권 제1호, 2017.
______. “민주주의와 한반도 평화.” 통일전략. 제17권 제3호, 2017.
이원웅. “북한인권법과 대북 인권정책.” 북한인권연구센터 편. 국제사회의 북
한인권 논의와 한국의 정책. 서울: 통일연구원, 2016.
이준희. “신년사로 본 김정일·김정은의 대남 인식과 대남정책 비교.” 국방연구. 제58권 제2호, 2015.
이재호. “5.24 조치 이후의 남북경협: 현황과 전망.” KDI 북한 경제리뷰. 3월호, 2013.
장형수. “대북 경제제재: 현황과 전망.” KDI 북한 경제리뷰. 3월호, 세종: 한국 개발연구원, 2013.
조정현. “북한 인권침해와 책임자 처벌.” 북한인권연구센터 편. 국제사회의 북 한인권 논의와 한국의 정책. 서울: 통일연구원, 2016.
최영미·곽태환. “한반도 사드 배치를 둘러싼 논쟁과 평가기준: 전문가 조사 분 석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제32권 제3호, 2016.
Bueno de Mesquita, Bruce and Chae-Han Kim. “Prospects for a New Regional Order in Northeast Asia.”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 3, no. 2. 1991.
Cartwright, Dorwin and Frank Harary. “Structural Balance: a Generalization of Heider’s Theory.” Psychological Review.
vol. 63, no. 5. 1956.
Fearon, James. “Domestic Political Audiences and the Escalation of International Dispute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88, no. 3. 1994.
Harary, Frank.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in 1956.”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vol. 5, no. 2. 1961.
Kim, Chae-Han. “Explaining Interstate Trust/Distrust in Triadic Relations.” International Interactions. vol. 33, no. 4. 2007.
Lancov, Andrei. “Is Byungjin Policy Failing? Kim Jong Un’s Unannounced Reforms and its Chances of Success.” The Korean Journal of Defence Analysis. vol. 29, no. 1, 2017.
3. 미국 정부 및 UN 자료
President of the U.S. “Executive Order: Blocking Property of the Government of North Korea and the Workers’ Party of Korea, and Prohibiting Certain Transactions with Respect of North Korea.” Federal Register. vol. 81, no. 53, March 2016.
___________________. “Presidential Executive Order on Imposing Additional Sanctions with Respect to North Korea.” Federal Register. vol. 82, no. 184. 2017.
United Nations DPRK Humanitarian Country Team. “2017 DPR Korea: Needs and Priorities.” Pyongyang: United Nations in DPRK, March 2017.
United Nations. “Strategic Framework for Cooperation between the United Nations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2017~2021.” Pyongyang: United Nations DPRK Office of the Resident Coordinator, 2016.
______________.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874.” June 2009.
______________.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094.” March 2013.
______________.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270.” March 2016.
______________.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321.” November 2016.
______________.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371.” August 2017.
______________.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375.” September 2017.
U.S. Department of Justice Office of Public Affairs. “Four Chinese Nationals and China-Based Company Charged with Using Front Companies to Evade U.S. Sanctions Targeting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Ballistic Missile Programs.”
U.S. Department of Justice, 26 September 2016.
U.S. H.R. 3364. “Countering America’s Adversaries through Sanctions Act.” <http://www.whitehouse.gov>.
WFP. “Protracted Relief and Recovery Operations: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200907.” Rome: World Food Programme, June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