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공동개발연구의 추진 방향

스마트파워 기반의 과학기술외교와 공동개발연구

❍ 앞서 제1절에서 언급한 스마트파워의 관점에서 과학기술외교를 정의하면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과 활용유형에 따라 4개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 그림 5 ] 과학기술외교의 개념틀

출처: 장용석외, 2013, 과학기술관련 사회적 이슈 및 현안과제의 체계적 대응전략,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 일각에서는 과학기술 국제협력을 과학기술을 목적으로 하는 외교활동으로, 그리고 과학기술외교를 외교를 목적으로 과학기술을 활용하는 활동을 각각 정의함으로써 과학기술 국제협력과 과학기술외교를 동등한 수준의 개념으로 이해하기도 함(장용석 외, 2012)

❍ 1사분면(과학기술을 위한 외교, Diplomacy for Science): 과학기술을 하드 파워로 인식하고 이를 거래의 대상으로 활용

❍ 2사분면(과학기술을 통한 외교, Science for Diplomacy): 과학기술을 하드 파워로 인식하고, 이를 감성적인 설득의 수단으로 활용

❍ 3사분면(외교속의 과학기술, Science in Diplomacy): 과학기술을 소프트파 워로 인식하고, 이를 거래의 대상으로 활용

❍ 4사분면(외교로서의 과학기술, Science as Diplomacy): 과학기술을 소프트 파워로 인식하고 이를 감성적인 설득의 수단으로 활용

❍ 본 사업에서 활용하는 공동개발연구는 해외거점을 기반으로 대상국가와의 협력을 통하여 우리나라 해양과학기술의 발전을 도모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으므로 1사분면의 과학기술을 위한 외교의 유형으로 이해할 수 있음

과학기술을 위한 외교 관점에서의 공동개발연구 전략화

❍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과학기술을 위한 외교는 과학기술을 하드파워로 인식하고 이를 거래 목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자국의 과학기술 발전을 도모 하는 영역임

❍ 과학기술을 거래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자국의 과학기술 수준 향상과 혁신역량 증대를 위하여 대상 국가의 우수한 연구진, 진보한 지식, 첨단 연구시설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활동으로 이해할 수 있음

❍ 또한 반대로 대상 국가의 우수 연구진이나 연구소를 구내에 유치하거나 본 사업과 마찬가지로 해외거점을 마련하여 해외의 우수 연구자나 연구시 설로 접근하고자 하는 것도 이러한 활동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음

❍ 위와 같은 관점에서 보았을 때, 본 연구에서 도출하고자 하는 공동개발연 구 과제들은 해양과학기술의 국제화, 해양과학기술을 통한 국제협력 증진 등이 그 자체로 목적이 되어선 안됨

❍ 우리나라에서 획득할 수 없는 과학기술 자원(유형자원, 기술, 인력, 연구시 설 등)이 무엇인지를 대상 국가가 가진 자원의 범위 내에서 파악하고, 그

구 수행과정에서 견지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함

❍ 그렇기 때문에 대상 국가에서 우리나라가 접근 가능한 자원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파악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대상 국가에 전문적인 연구자들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그들이 갖고 있는 능력과 자원을 토대로 과제를 도 출해내는 것이 매우 중요함

- 과제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해외 연구자들과의 충분한 협의를 통하여 소재 를 도출하고, 도출된 소재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국익에 부합하는 소재(과 제)로 어떠한 것을 선택할 것인가?’, ‘해당 소재(과제)에 대한 연구를 어 떠한 방향으로 전개하는 것이 우리나라 해양과학기술 발전에 도움이 될 것 인가?’ 등의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함

기술수요 도출을 위한 선행연구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