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해양분야 과학기술 국제협력 사업

해양분야는 월경적 특성, 과학기술 개발연구를 통한 수원국의 산업기반 획 득, 무궁무진한 개발분야 등의 특성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과학기술 국제 협력사업 분야로 가장 적합한 영역

❍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자국과 이해관계가 높은 권역을 중심으로 ODA 성 격의 해양과학기술 국제협력사업을 다수 추진 중

[ 표 20 ] OECD DAC 국가들의 해양관련 국제협력 사업 현황(2009년 기준)

공여국 수원국(지역) 사업분야 사업수

일본

바누아투, 세인트 루시아, 앤티가 바부다, 엘살바도르, 쿠바, 카메론,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세네갈, 인도, 마다가스카르, 투니지아, 기니, 베냉, 모로코, 터어키, 페루, 태국, 파푸아

뉴기니, 베트남, 투발루

수산업 개발, 어업정책 및 관리, 연안간선 도로 구축, 연안조림,

연안생태계 보호, 해수면 상승 대응

23

스페인

콜롬비아, 베트남, 쿠바, 브라질, 칠레, 세네갈, 투니지아, 우르과이,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멕시코, 콜롬비아, 니카라구아

연안관광, 수산업 관리 및 개발, 수산양식물 인증기관 설립, 연안사구 복원, 해양생물자원

연구, 해양생물다양성 보존, 해양환경관리정책(해양보호구역)

17

호주 오세아니아, 키리바티 수산업 개발 및 관리 역량강화,

해수면 상승 모니터링 9 이탈리아 모잠비크, 아이티, 투니지아,

과테말라, 세네갈, 브라질 수산업 개발,

연안・해양생태계 보존 7

노르웨이 탄자니아, 케냐, 사하라 이남 수산업 센터 건립, 수산업 역량강화, 동아프리카

연안네트워크 구축

6

프랑스 세네갈, 페루, 인도네시아,

남아메리카, 서아프리카, 세이셀 수산업 연구, 수산업 개발 6 기타 공여국 (벨기에, 캐나다, EU, 핀란드, 독일,

그리스, 아일랜드, 뉴질랜드, 스웨덴, 스위스) 22

합계 90

출처: 기술과 가치(2013) 재인용

- 2009년 OECD DAC 회원국들을 중심으로 추진된

생물다양성

,

기후변화 적

응 및 완화

부문의 세부 사업 가운데

연안

,

기후변화

,

수산

관련 약 90 개의 해양분야 국제협력사업이 추진되었음

- 추진된 사업의 대부분(약 72%)은 수산분야 관련 사업이며, 연안관리, 연안・

해양환경보존 및 관리, 기후변화 관련 사업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임

❍ 해양분야 최대 공여국은 일본, 스페인, 호주 순이며, 대부분 자국과 이해 관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국제협력 사업을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일본은 바누아투, 세인트 루시아, 앤티가 바부다, 엘살바도르, 쿠바, 카메론,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세네갈, 인도, 마다가스카르, 투니지아, 기니, 베냉, 모로코, 터키, 페루, 태국, 파푸아 뉴기니, 베트남, 투발루 등의 지역을 대상 으로 한 수산업 개발, 어업정책 및 관리, 연안간선 도로 구축, 연안조림, 연 안생태계 보호, 해수면 상승 대응 분야 국제협력 사업 추진 중

- 스페인은 콜롬비아, 베트남, 쿠바, 브라질, 칠레, 세네갈, 투니지아, 우르과 이,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멕시코, 콜롬비아, 니카라구아 등의 국가를 중심 으로 연안관광, 수산업 관리 및 개발, 수산양식물 인증기관 설립, 연안사구 복원, 해양생물자원 연구, 해양생물다양성 보존, 해양환경관리정책(해양보호 구역) 분야 국제협력 사업 추진 중

일본은 일본국제협력기구를 중심으로 유・무상원조 및 기술협력 형태의 국 제협력 사업 추진

❍ 일본은 전체 ODA 규모의 40% 이상을 환경분야에 투자할만큼, 환경 및 해 양 분야에 대한 국제협력 비중이 높은 국가임

❍ 일본은 수산업, 재생에너지, 연안인프라, 기후변화 적응 분야에 기술개발 강점을 보유하고 있어, 아시아 및 태평양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국제협력 사업을 활발히 추진 중임

❍ 태평양지역의 경우 투발루(해수면 상승 대응 분야)와 파푸아뉴기니(연안도 로 건설), 바누아투(어업정책 및 관리) 분야에 대한 사업을 진행 중에 있으 며, 페루(중남미) 지역에서는 수산업 개발 분야에 대한 국제협력 사업을 진행 중

미국은 ODA 사업과 국제협력 사업이 각각 이원화된 추진체계 보유

❍ ODA 사업의 경우 국제개발처(USAID: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국제협력은 해양대기청(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에서 추진

❍ 미국의 경우 환경 및 해양분야 지원비중이 상대적으로 다른 선진국에 비 해 낮은 수준이나, 규모 면에서 세계 최대의 ODA 공여국으로서 오랜 역 사와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 ODA 측면에서는 연안수질오염에 따른 수산업 피해 방지, 종 다양성과 해 양생태계 보존, 연안관리, 연안 기후 변화 적응 등의 영역에서 국제협력 사업 진행 중

❍ 국제협력 측면에서는 해양, 연안, 수산, 기상 분야에서 다양한 국가 및 국 제기구와 협력하여 국제협력 사업 진행 중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해양 ODA를 통해 자국의 해양 외교력을 강화해 나 가고 있으며, 다자간 협의체, 산・학・연 협력체계 등을 사업진행에 효과적으 로 활용함

❍ 선진국들의 경우 자국과 이해관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한 국제협력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협력사업은 타 교류협력의 기반을 다지는 역할

❍ 주로 수산업 분야 등 개발도상국의 현실에 부합하는 사업을 중심으로 국 제협력 사업이 진행 중이며, 향후 해양분야 국제협력 사업의 확대 여지가 여전히 높음

❍ 우리와 경쟁대상국인 일본,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의 국제협력 사업은 지속 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