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가수준 연구네트워크

Part Ⅳ. KIOST 지식생태계 분석

2. 기술통계 분석

3.1. 국가수준 연구네트워크

1990-2014년간 국가수준 연구네트워크

[그림 4-3]은 해양과기원이 지난 25년간 생산한 논문에서 국가 수준의 협력 네트워크를 보여주고 있음

한국을 중심으로 미국, 일본, 영국, 스웨덴이 중심을 형성

또한 프랑스, 이태리와의 협력그룹도 발견되며, 이외에 중국, 캐나다와도 긴밀한 협력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그림 4-3. 1990-2014년 전체국가 네트워크 ]

※ 노드 크기는 연결중심성과 비례, 링크 굵기는 공동논문의 개수. 링크는 5회 이상만 표현.

[표 4-7]은 지난 25년간 해양과기원의 협력국가 네트워크에서의 국가별 연결 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보여주고 있음

대부분은 연결중심성 값과 매개중심성 값이 비례하지만, 스웨덴의 경우 연결 중심성에 비하여 매개중심성이 높아 해양과기원의 연구협력과 정보의 흐름 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표 4-7. 국가별 중심성 지수(1990-2014) ] 1990-2014

국 가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KOREA 0.307692 0.337994

USA 0.192308 0.058298

SWEDEN 0.141026 0.562752

JAPAN 0.089744 0.036647

ENGLAND 0.064103 0.016923

RUSSIA 0.051282 0.002848

FRANCE 0.051282 0.048509

AUSTRALIA 0.051282 0.00524

DENMARK 0.051282 0.035761

GERMANY 0.051282 0.022681

CANADA 0.038462 0.000769

CHINA 0.038462 0.010383

ITALY 0.038462 0.008334

SPAIN 0.025641 0.007321

TAIWAN 0.025641 0.000048

NORWAY 0.025641 0.000178

MONACO 0.025641 0.002822

IRELAND 0.025641 0.000111

SWITZERLAND 0.025641 0.02573

MALAYSIA 0.025641 0.025641

1990-1994년간 국가수준 연구네트워크

[그림 4-4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1990년에서 1994년 사이 해양과기원의

연구 협력은 미국, 러시아, 일본과의 협력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음

[ 그림 4-4. 1990-1994년 전체국가 네트워크 ]

※ 노드 크기는 연결중심성과 비례, 링크 굵기는 공동논문의 개수.

[표 4-8 ]은 [그림 4-4 ]에서 설명한 1990년에서 1994년 사이 해양과기원의 연구 협력국가 네트워크의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나타냄

[ 표 4-8. 국가별 중심성 지수(1990-1994) ] 1990-1994

국 가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KOREA 0.666667 0.333333

USA 0.333333 0

RUSSIA 0.333333 0

JAPAN 0 0

1995-1999년간 국가수준 연구네트워크

[그림 4-5 ]는 1995년에서 1999년 사이의 해양과기원의 연구 협력국가 네트

워크를 보여주고 있음

한국을 중심으로 미국, 프랑스, 일본이 중요한 협력국가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들 국가들은 네트워크상에서 국가 간 연결 관계의 중간에 위치 하고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이전 시기와는 달리 러시아의 중요성이 미국, 프랑스, 일본에 비해 상대적 으로 낮아짐

[ 그림 4-5. 1995-1999년 전체국가 네트워크 ]

※ 노드 크기는 연결중심성과 비례, 링크 굵기는 공동논문의 개수.

[표 4-9 ]는 [그림 4-5 ]에서 설명한 1995년에서 1999년 사이 해양과기원의 연구 협력국가 네트워크에서의 국가별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나타냄 프랑스가 매개중심성이 연결중심성에 비해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제시된 네트워크상에서 프랑스와 연결된 국가들 중에는 프랑스 외에 다른 국가들과 연결되지 않는 국가들의 비중이 비교적 높기 때문임

[ 표 4-9. 전체국가별 중심성 지수(1995-1999)(순위는 17위) ] 1995-1999

국 가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KOREA 0.75 0.790278

USA 0.25 0.129167

JAPAN 0.25 0.055556

FRANCE 0.25 0.241667

DENMARK 0.25 0.065278

GERMANY 0.1875 0.013889

SWEDEN 0.125 0.004167

RUSSIA 0.1875 0

MONACO 0.1875 0

ENGLAND 0.125 0

SPAIN 0.125 0

NORWAY 0.125 0

CANADA 0.0625 0

BELGIUM 0.0625 0

NEWZEALAND 0.0625 0

TAIWAN 0.0625 0

AUSTRALIA 0.0625 0

2000-2004년간 국가수준 연구네트워크

[그림 4-6]은 2000년에서 2004년 사이의 해양과기원의 연구 협력국가 네트 워크를 보여주고 있음

이전 시기에 비해 협력 국가들이 20개국 이상으로 다양해진 것이 특징임 이전 시기와 마찬가지로 미국, 프랑스, 일본 등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전과는 다르게 중국, 이탈리아, 캐나다 등이 주요 협력 국가로 등장함

- 2000-2004 시기의 경우 국가들 중에서도 특히 미국과의 협력 빈도가 높게 나타남

[ 그림 4-6. 2000-2004년 전체국가 네트워크 ]

※ 노드 크기는 연결중심성과 비례, 링크 굵기는 공동논문의 개수.

[표 4-10 ]은 앞서 [그림 4-6 ]에서 설명한 2000년에서 2004년 사이 해양과기원 연구 협력국가 네트워크에서의 국가별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나타냄 연결중심성의 순위와 매개중심성의 순위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음

[ 표 4-10. 전체국가별 중심성 지수(2000-2004)(순위는 20위) ] 2000-2004

국 가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KOREA 0.772727 0.473304

USA 0.590909 0.32684

FRANCE 0.454545 0.146465

GERMANY 0.272727 0.015152

ITALY 0.272727 0.095238

AUSTRALIA 0.227273 0.020924

JAPAN 0.227273 0.008658

MONACO 0.227273 0.010823

PHILIPPINES 0.136364 0.002165

ENGLAND 0.136364 0

CHINA 0.136364 0

BOLIVIA 0.136364 0

CANADA 0.090909 0

TAIWAN 0.090909 0

RUSSIA 0.090909 0

SWEDEN 0.090909 0

IRELAND 0.045455 0

PAKISTAN 0.045455 0

NETHERLANDS 0.045455 0

BELGIUM 0.045455 0

2005-2009년간 국가수준 연구네트워크

[그림 4-7 ]은 2005년에서 2009년 사이의 해양과기원의 연구 협력국가 네트

워크를 나타냄

미국, 중국,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러시아 등이 주요 협력 국가로 나타남 이전 시기에 비해 미국의 상대적 빈도가 줄어들고, 다른 국가들과의 협력 비중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남

[ 그림 4-7. 2005-2009년 전체국가 네트워크 ]

※ 노드 크기는 연결중심성과 비례, 링크 굵기는 공동논문의 개수

[표 4-11 ]은 앞서 [그림 4-7 ]에서 설명한 2005년에서 2009년 사이 해양과기원 연구 협력국가 네트워크에서의 국가별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나타냄 이 시기에는 특히 한국의 연결중심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다른 국가를 매개로 한 것이 아닌 직접적으로 협력하여 수행한 연구의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

[ 표 4-11. 전체국가별 중심성 지수(2005-2009)(순위는 20위) ] 2005-2009

국 가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KOREA 0.896552 0.615312

USA 0.62069 0.180172

ITALY 0.37931 0.036535

FRANCE 0.275862 0.088875

GERMANY 0.275862 0.017036

JAPAN 0.241379 0.072455

MONACO 0.206897 0.005911

RUSSIA 0.172414 0.001601

CHINA 0.172414 0.002258

AUSTRALIA 0.172414 0.002258

CANADA 0.137931 0.000985

FINLAND 0.137931 0.002463

IRELAND 0.137931 0.001232

ENGLAND 0.137931 0

DENMARK 0.103448 0

TAIWAN 0.068966 0

SWEDEN 0.068966 0

SPAIN 0.068966 0

NORWAY 0.068966 0

NETHERLANDS 0.068966 0

2010-2014년간 국가수준 연구네트워크

[그림 4-8]은 2010년에서 2014년 사이의 해양과기원의 연구 협력국가 네트 워크를 을 나타냄

이 시기의 네트워크 구조는 과거보다 비교적 단순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미국, 프랑스, 일본, 중국, 캐나다, 독일, 영국, 덴마크 등이 주요 협력 국가 로 나타남

영국, 독일, 덴마크 등 유럽국가들의 빈도가 높아졌으며, 일본과 영국의 경 우 빈도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구조에서 중개자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님 - 한국, 미국, 일본, 영국 간에는 서로 연결된 정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

[그림 4-8. 2010-2014년 전체국가 네트워크 ]

※ 노드 크기는 연결중심성과 비례, 링크 굵기는 공동논문의 개수, 링크는 5회 이상만 표현.

[표 4-12]은 앞서 [그림 4-8]에서 설명한 2010년에서 2014년 사이 해양과기원 연구 협력국가 네트워크에서의 국가별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나타냄

2010-2014 시기에 들어 최근 영국, 독일 등 유럽국가들과의 협력 비중이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표 4-12. 전체국가별 중심성 지수(2010-2014)(순위는 20위) ] 2010-2014

국 가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KOREA 0.803922 0.604809

USA 0.411765 0.058587

ENGLAND 0.392157 0.072687

GERMANY 0.372549 0.07443

DENMARK 0.333333 0.061916

CHINA 0.254902 0.016173

JAPAN 0.235294 0.013655

RUSSIA 0.215686 0.008019

NETHERLANDS 0.215686 0.045529

FRANCE 0.196078 0.080654

AUSTRALIA 0.156863 0.000573

SWITZERLAND 0.156863 0.039852

SCOTLAND 0.156863 0.002689

SPAIN 0.156863 0.049852

NEWZEALAND 0.137255 0.039617

CANADA 0.117647 0.00183

NORWAY 0.117647 0.000486

INDIA 0.117647 0.003874

SWEDEN 0.117647 0.000758

MALAYSIA 0.098039 0.039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