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KIOST 비전 및 실천과제
4.2. 주요 실천과제
해양산업 진흥 분야에서는 아래의 네 가지 실천과제를 도출
첨단 해양장비 개발과 상용화를 통한 해양장비 시장 선도 - 해양구조물 시공 유지보수 수중로봇 구축- 시추시스템 구축
선박평형수 처리기능 및 관련 기술 확보
-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시험 평가 인증 기능 수행 - 선박평형수 고도처리기술 개발 및 위해도 평가 - 긴급 배출지정해역 설정 및 관리
바이오디젤 수소에너지 기술개발로 석유기반 화석연료 의존도 저감 - 미세조류 기반 바이오매스 기술 개발
- 해양바이오연료 대량생산 기술 개발
해양생명자원 확보로 해양생명공학 기반구축 및 원천기술 유용신소재 개발
기후변화/연안재해 대응 분야에서는 아래의 네 가지 실천과제를 도출
대양순환 관측, 전지구 통합기후변화 예측을 위한 기후예측 시뮬레이터 개발 - 해양탄소순환 감시- 해양기후변화 해양산성화 감시예측(엘니뇨/라니냐, 온난화, 해수면 변화 등) - 폭염, 혹한, 태풍 등 이상기후 변동 원인 규명 및 대응
해양예보시스템 및 현장지원을 위한 연구를 통해 해양재난 등 유사시 조기 대응
- 해양상태예보(파랑, 폭풍해일, 조석, 조류 등) 및 활용예보(적조 등) 시스템 개발 - 해양 재해 재난 현장지원체계 구축
연안침식 모니터링을 통한 연안재해저감 및 안전한 친수공간 활용
해양재해 재난 현장지원체계구축 및 유류오염 환경영향평가 환경복원 연구
해양경제영토 확보 분야에서는 아래의 다섯 가지 실천과제를 도출
해양자원 개발을 위한 해외 자원탐사 및 채광기술 개발- 태평양 심해저 망간단괴 및 해저열수광상, 망간각 개발 등으로 망간, 구리, 니켈, 코발트 등 미래 광물자원 선점
독도의 지속가능한 이용 연구
한반도 주변해역 해저단층분포도 제작 및 광물자원 정밀조사 해양력 강화를 위한 과학기술 연구 플랫폼 구축
- 5,000톤급 대형해양과학연구선 건조
- 6,000m급 심해유인잠수정 개발
- GOCI II 개발
해양영토 관리기술 확보로 국가정책 수립 지원
- 해양공간계획 연구, 해양경계획정을 위한 시스템 개발
국민 삶의 질 향상 분야에서는 아래의 네 가지 실천과제를 도출
해양생태계 변화 및 해양오염원 관리 대응기술 확보- 해양생태계 평가 관리 복원 기술 개발
- 해양폐기물 및 유류오염, 해양외래생물, 해양환경 유해물질 등에 대한 대응 기술 개발
- 해양생태계 건강지수 및 구조변동 진단 현장적용 기술 개발 - 오염퇴적물 갯벌 정화 및 복원
해양폐기물 방사능 물질 분석 및 모니터링 시화호 등 하구역 해양환경 개선
대형 해양동물 증식 복원기술 개발 등 수산 분야 R&D 적극 추진
지역 현안문제 해결 지원 분야에서는 아래와 같이 권역별 추진방향을 도출
동 서 남해 해역 지자체별 현안문제 해결에 대한 기여를 통하여 기관과 지자체 간 연계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중점적으로 추진- 현안문제를 원활히 파악하기 위하여 상시적이고 안정적인 공조체계 수립 - 지자체별 관련 NGO, 지역주민과의 간담회 등 의견수렴 및 대안도출을
위한 실질적 수단 활성화
[ 그림 1-13. 지역 현안문제 해결 지원을 위한 권역별 추진방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