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언론과 보도자료의 정책적 의미

Part Ⅲ. KIOST 언론이미지 분석

1.2. 언론과 보도자료의 정책적 의미

한국언론의 경우 해외 언론에 비하여 보도자료 의존성이 더욱 높다고 알 려져 있음(오창우, 2000; 고영철, 2003; 김기태, 1991; 남효윤, 2009;)

따라서 정부의 입장에서 언론은 정책홍보나 정보고지 등을 위한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보도자료는 주요한 의사소통 매개체로 해석할 수 있음

언론을 통해 발표된 기사의 내용들은 크게 언론의 자의적인 판단에 의해서 작성한 기사와 정부나 기업 등으로부터 위탁을 받아 작성한 기사, 이렇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음

자의적으로 작성한 기사의 소재는 대체로 사회적 의미와 영향력이 높은 사건들을 의미하며, 이러한 기사들은 기사로서 작성되는 것을 해당 사건의 당사자 원하지 않기 때문에 당사자 스스로가 사실을 숨기거나 축소하려는 경향이 있음

반대로 위탁을 받아 작성한 기사는 영향력이 비교적 낮아 사건의 당사자 에게 유리한 여론을 조성하거나 또는 위탁자와 적대적 관계에 있는 자에 게 불리한 여론을 조성하려는 의도에서 제시된 기사들일 가능성이 높은 사건들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기사들은 언론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기피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언론이 보도를 거절하거나 보도 비중을 낮추려 하는 경향이 있음

[ 표 3-2 ]에 제시된 매트릭스를 살펴보면 사건의 사회적 영향력 크기와 당사

자의 이익의 크기가 불일치 할 때 언론과 기관 간 입장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이슈들에 대해서는 보다 높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

[ 표 3-2. 사회적 영향력과 당사자 이익에 따른 기사화 가능성 매트릭스 ]

사회적 영향력 기사화에

따른 당사자 이익

낮음 높음

긍정적 (당사자:기사화갈등 발생, 언론: 기피) 기사화 가능성 높음

부정적 기사화 가능성 낮음 갈등 발생

(당사자: 기피, 언론:기사화)

또한 앞서 제시한 매트릭스를 다시 이슈의 지속기간에 초점을 두고 [ 표 3-3 ] 과 같이 정리하여 살펴보면 기사화에 따른 당사자 이익과 사회적 영향력 의 크기에 따라 이슈의 지속기간이 서로 다를 수 있음

-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앞으로 분석할 네트워크에서 특정 단어들이나 단어 간 관계가 강하게 나타난다는 것은 그만큼 해당 이슈가 비교적 장기간 동안 여러 언론사에 의해 다루어졌다는 것을 의미

- 네트워크 상에 표현되지 않은 이슈들은 언론의 관점에서 사회적 영향력이 비교적 낮을 것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은 이슈들로서 주로 2, 3사분면에 위치한 이슈들일 것으로 판단됨

- 그러나 이러한 이슈들 중에서도 기관에서는 중요하다고 생각되거나 기관의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크게 주목받지 못한 2사분면의 이슈들에 대해서는 기관의 차원에서 이슈화를 위해 주의 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음

[ 표 3-3. 사회적 영향력과 당사자 이익에 따른 이슈 지속기간 매트릭스 ]

사회적 영향력 기사화에

따른 당사자 이익

낮음 높음

긍정적 장기 지속:당사자 이슈제공 성공 시

단기 지속:당사자 이슈제공 미흡 시 장기간 이슈 지속

부정적 이슈화 되지 않음 장기 지속:당사자 위기대응 실패 시 단기 지속:당사자 위기대응 성공 시

※ 물론 사회적 맥락에 따라 이슈의 지속기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이러한 부가적인 조건들이 동일하다고 가 정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