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방법
기본적으로 SNA(Social Network Analysis)를 활용한 실증분석을 수행
- SNA를 활용한 실증분석을 통해서는 사회시스템 내에서 행위자들간의 관계
에 초점을 두고, 네트워크의 구성원들 간의 사회적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으로써 행위자들의 성과나 행태를 예측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Borgatti et. al., 2013: 1-2)
- 이를 감안할 때, 국회라는 한정된 공간과 행위자들을 중심으로 해양 분야 라는 특정한 주제를 대상으로 이뤄지는 의안발의 네트워크 구조는 동 분야 에서 의안이 발의되고 결정되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
이 연구에서는 해양 분야를 대상으로 국회에서 이루어지는 의안의 공동발의 네트워크의 기초특성을 분석
또한 18대 국회와 19대 국회라는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갖는 시기에 해양 분야의 입법네트워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고찰하며, 이를 위해 18대와 19대 국회를 통해 이뤄진 해양 분야 의안 제출 현황을 기술통계와 SNA를 통해 분석
이때, 기술통계 분석은 각 국회기간 중 이뤄진 의안 제출 현황을 다양한 관점(기간별, 종류별, 가결여부별, 정당별 등)에서 분석하였으며, SNA 분석 에서는 중심성 지수(Centrality index)의 관점에서 논의
중심정 지수는 다음 4가지 항목을 적용
- 연결중심성(Degree Centrality) : 네트워크 상의 각 행위자들이 네트워크 상의 다른 행위자와 얼마나 많은 연결관계를 갖는지를 의미
≠
․ : 행위자 (i) 의 연결정도 중심성
․ g : 행위자의 인원수
․
: 행위자 (i) 가 (g-1)명의 다른 행위자와 맺은 관계의 수, =0 또는 1
- 근접중심성(Closeness Centrality) : 전체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행위자들 간의 간접적 연결까지 고려하여 전체 네트워크 내에서 한 행위자와 다른 행위자 간의 거리를 강조하는 개념
≠
․ : 행위자 (i) 의 근접중심성
․ g : 행위자의 인원수
․
: 행위자 (i)와 행위자 (j) 간의 최단경로거리의 합- 매개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 행위자들간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은 관계를 어느 정도 중개하는지의 정도를 의미
․ : 행위자 (i) 의 매개중심성
․ : 두 행위자 (j)와 (k) 간의 최단경로의 개수
․ : 두 행위자 (j)와 (k) 간의 최단경로 가운데 행위자(i)를 포함하고 있는 경로의 개수
- 아이겐백터 중심성(Eigenvector Centrality) : 특정 행위자에 연결되어 있는 행위자의 개수뿐만 아니라 연결되어 있는 행위자가 얼마나 중요한 행위자 인지도 함께 고려하는 지수
≠
․ : 행위자 (i) 의 아이겐벡터 중심성
․ : 아이겐 값
․ : 행위자의 개수
․ : 행위자 (i)와 (j) 간 연결관계의 이진값 또는 계량값
데이터
18대 국회의 구성과 19대 국회의 구성은 본질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통합하여 분석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아, 18대 국회와 19대 국회를 상호 분리하여 분석
- 18대 국회의 경우 한나라당이 다수 의석을 확보하고 있기는 하지만, 과반 의석을 점유하지 못함. 또한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차지한 의석은 전체의
78.3%(234석)이며, 자유선진당, 민주노동당 등의 약진이 있었음
- 19대 국회의 경우 새누리당이 과반의석을 점유한 상황 하에 새정치민주연합 과 새누리당의 두 정당이 차지하고 있는 의석 비율이 96%에 달하며, 중소 정당이 차지하고 있는 의석수가 많지 않음
[ 표 2-1. 18대 국회 및 19대 국회 정당별 의석수 ]
정당 / 단체 18대 국회 19대 국회
한나라당(새누리당) 153 158
친박연대 13 -
자유선진당 18 -
창조한국당 3 -
통합민주당(새천연민주연합) 81 130
민주노동당(정의당, 통합진보당) 5 10
무소속 26 2
합 계 299 300
또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유효표본 의안을 선별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 하는 의안은 제외
- 행위자를 식별할 수 없는 정부제출 의안
- 발의의원이 명시되지 않는 위원장, 의장 발의 의안
- 특정 정당의 다수의원 발의 의안(2008년 10월 홍준표 의원 대표발의 33개 의안 등) 이 연구에서는 국회 의안정보시스템2) 검색을 통해 제18대 의안과 제19대 의안을 검색하는 방법으로 기초데이터를 획득하였으며, 해양수산부 소관 법령을 대상으로 분석대상 의안을 추출
- 전체 1,088개 의안, 네트워크 분석 822개 의안
2) 국회 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bill/jsp/main.jsp) 검색일: 2014.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