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가. EUNIS(European Nature Information System)

1) 기본현황

유럽 환경청은 자연보전 정책과 관련하여 생태계의 상태를 파악하고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서식지를 관리하기 위해 유럽국가 전역에서 발생가능한 모든 서식지를 대상 으로 서식지 유형 분류체계를 제작[그림 14]

육상부터 해양생태계까지 모든 서식지 유형에 대한 분류체계가 구축되어 있음[표 12]

유럽 전역의 생물종 데이터와 토지피복도, 비오톱 등 다양한 자료를 연계·활용하여 생태계 보전을 위한 종합적인 정보 데이터베이스로서 여겨짐

[그림 14] EUNIS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 제작을 위한 계층구조 프레임워크 (European Environment Agency, 2015)

유럽 전역에서 사용가능한 분류 체계를 제작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를 참고하여 EUNIS 분류 체계 제작에 활용(Davies

et al

., 2004)

유럽국가 간 데이터 연결성을 증진시키고,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법을 제정하는데 종합 적인 기초자료 제공

서식지와 생물종을 연계한 모든 관련 정보들은 웹사이트(http://eunis.eea.- europa.eu/index.jsp)를 통해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서나 안내 지침서를 포함한 서식지 유형 분류체계 기준표를 배포

참고

유형 참고자료 저자 발간일 발행기관

T, F CORINE biotopes manual Devillers, P., Devillers-Terschuren, J.,

Ledant, J.-P. 1991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s of the

European Communities T, F A classification of

Palaearctic habitats Devillers, P.,

Devillers-Terschuren, J. 1996 Council of Europe T, F Interpretation Manual of

European Union Habitats

– EUR25 European Commission 2007 DG Environment T, F CORINE land cover

technical guide – Addendum 2000

Bossard, M., Feranec,

J. Otahel, J. 2000 European Environment Agency T, F Vegetation types of the

Nordic Countries Nordic Council of

Ministers 1994 Nordic Council of Ministers

M

Marine Nature Conservation Review:

marine biotope classification for Britain

and Ireland

Connor, D.W., Brazier, D.P., Hill, T.O., Northen,

K.O. 1997 Joint Nature

Conservation Committee

M

Handbook for interpreting types of marine habitat for the selection of sites

to be included in the national inventories of

natural sites of conservation interest

Bellan-Santini, D., Bellan, G., Bitar, G.,

Harmelin, J. G., Pergent, G.

2007

Regional Activity Center for Specially

Protected Areas (RAC/SPA)

T: 육상생태계 서식지, F: 담수생태계 서식지, M: 해양생태계 서식지

[표 12] EUNIS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를 제작하는데 사용된 참고자료 (European Environment Agency, 2015)

2) 분류 체계의 필요성 및 배경

유럽 서식지 분류 체계는 서로 유사성을 보이고 있지만, 국가 및 지역적 수준에서 생물다양성 보전 및 서식지에 대한 지침과 협약, 법령 등이 다르기 때문에 전 유럽 국가를 대상으로 통합적인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구축에 대한 필요성 제기

생물 서식지의 무생물적 환경 보존 및 관리를 통한 생물다양성 보전 실천

생물종 정보와 보호지역에 대한 기초자료를 융합한 종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3) 분류 체계 구축 계획

기존의 분류 체계를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닌, 주관적이고 과학적인 근거자료를 바탕으로 생물종의 서식지를 분명히 이해하고 올바르게 정의

분류 체계는 전문가와 이해당사자간의 의견이 충돌되지 않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하며,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간결한 정보를 제공

서식지는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충분한 검토 작업을 통해 교란에 의한 서식지 변화에 유동적인 분류 체계 제작

통합적인 서식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지속적인 검토와 모니터링을 통한 자연환경 변화 예측

모든 연구 자료는 오픈 정보 플랫폼으로 누구나 쉽게 접근 가능하고 공공연하게 활용 가능하도록 함

4) 서식지 유형 분류 방법 및 등급체계

EUNIS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는 모든 서식지 유형에 특정 코드와 명칭을 부여하여 대분류부터 세분류까지 알파벳과 숫자를 조합한 등급 체계를 제작하여 서식지 분류에 대한 기준표를 제시[표 13]

육상과 해양생태계를 모두 포함하여 총 11개의 서식지 유형과 8개의 등급체계, 5,282개의 서식지로 구분

Level 1-3은 대분류 형태의 상위 분류 체계의 특성을 보이며, 지속가능하고 일관성 있는 분류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Level 3 이하의 하위 단계부터는 서식지의 물리적 형태 및 식물 군집구조 등을 고려하여 세분화

서식지

유형코드 서식지 이름 EUNIS 서식지 등급

1 2 3 4 5 6 7 8

A 해양 서식지 1 8 56 210 606 214 4 0

B 연안 서식지 1 3 19 66 78 11 0 0

C 내륙수 1 3 21 98 63 45 5 0

D 습지와 소택지 1 6 15 96 134 70 27 0

E 초지대와 광엽 초본, 이끼류 및 지의류가

우점하는 지대 1 7 42 167 255 252 51 11

F 황야지대, 관목, 툰드라 1 11 41 215 344 148 39 0

G 산림지대 또는 숲이 우거진 지역 1 5 60 229 520 406 188 19

H 내륙의 식생이 없는 서식지 또는 식생의

밀도가 적은 서식지 1 6 30 114 82 34 14 0

I 최근 또는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농지

경작 발생지역, 원예종과 자급농원 서식지 1 2 8 15 0 0 0 0

J 시가화지역과 공업지역, 기타 인공 서식지 1 6 34 27 2 0 0 0

X 복합 서식지(미분류) 1 29 0 0 0 0 0 0

합계 11 86 326 1237 2084 1180 328 30

[표 13] EUNIS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 등급 기준표 요약(European Environment Agency, 2015)

서식지 등급에 따른 분류 모식도를 제작하여, 분류 과정과 핵심기준을 제시하고 서식 지를 올바르게 분류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Davies

et al

., 2004)[그림 15]

미분류 서식지의 경우, 명료하고 올바른 기준을 수립하기 위해 주기적인 전문가 회의 통해 분류체계에 대한 검토와 업데이트 실시

[그림 15] EUNIS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 Level 1 분류 기준 모식도 및 가이드라인 (European Environment Agency, 2015)

European Vegetation Survey의 기존 식생 조사 자료와 EUNIS 분류 체계 간 연계를 통해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를 개정하고, 분류 체계의 당위성을 증진[그림 16]

각 서식지별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지표종을 모색하여 효율적인 생물다양성 보전 및 관리 전략 수립에 활용 가능[그림 17]

[그림 16] EUNIS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 개정 과정의 개괄적 흐름도 (European Environment Agency, 2015)

5) 기대 효과

다양한 경관 수준의 생물다양성 모니터링을 통해 생물종 inventory를 구축하고, 서식지 상태와 특성에 대한 고찰

생물상 및 우점종 변화 분석은 각 서식지별로 관리방안을 제언하고 서식지 보전에 대한 관련법 제정을 위한 근거 자료 마련

훼손된 서식지를 파악하고 복원 우선지역을 선정하여 교란요인에 대처

특별 서식지 보전 지역을 모니터링 하여 서식지 보전을 위한 성과목표 및 목표치 설정에 대해 단계별 정량적 측정이 가능한 수단으로서 활용[그림 17]

CORINE 토지피복 분류 체계(Bossard

et al

., 2000) 및 Annex I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European Commission, 2007), IUCN 적색 목록 등과 같이 여러 서식지 분 류 체계와 상호호환을 통해 생태계 상태를 평가

생물종 조사 자료와 연계하여 특정 생물종의 서식지 선호도를 파악하고, EUNIS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에 의거한 서식지 적합성 지도 제작[그림 18]

[그림 17] EUNIS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를 적용한 시계열 분석 사례 (Veliko ratno ostrvo 섬의 서식지 면적 변화율 지도 (A) 1984년, (B) 2000년)

[그림 18] EUNIS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를 적용한 서식지 적합성 분석 사례

(산림 서식지인 G1.1 ‘Temperate and boreal softwood riparian woodland’를 대상으로 서식지 적합성 지도를 제작한 연구 활용사례(European Environment Agency, 2015). 좌: 식생 플롯

분포도, 우: 서식지 적합성 지도)

나. JNCC(Joint Nature Conservation Committee)

1) Phase 1 Habitat Classification(JNCC, 2010)

영국의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천연자원에 대한 제원을 파악하기 위해 야생동·식물의 분포 및 서식지 환경에 대한 현장 조사를 실시(NFBR, 1990)

일괄적이고 정확성 높은 현장 조사를 수행하기 위해 표준화되고 정량적인 생물학적 서식지 조사 방법론을 제작하여 서식지 모니터링을 수행

Phase 1 서식지 조사 매뉴얼은 식물 및 식생 분류군을 대상으로 식생 우점종과 서식지 지형학적 특성, 지질 형태를 참고하여 제작됨[그림 19]

Phase 1을 통해 자국에 분포하는 모든 서식지 유형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수행하고, 환경에 의한 서식지 변화 감지, 서식지 가치 및 보존율이 높은 지역 선정을 위한 Phase 2 매뉴얼을 작성하여 서식지 보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단계적 전략 계획 수립에 활용

[그림 19] Phase 1 서식지 조사 과정의 개괄적 모식도(JNCC, 2010)

2) Phase 1 Habitat Survey 제작 배경

생물 및 천연자원의 현황과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영국 전역을 대상으로 서식지 조사와 분류 체계 작성이 이루어짐

초기에는 과학적 특별 관심지역(SSSI: Sites of Specieal Scientific Intesest)을

중심으로 야생동·식물 서식지의 지도화가 이루어졌으나, 일반 지역을 포함한 모든 서 식지를 분류하고 지도를 작성하기 위한 계획이 수립됨

SSSI 서식지 조사를 위해 사용되었던 조사 방법론과 분류 체계를 활용하기엔 부적합하여, 모든 서식지 조사에 단순하면서도 호환 가능한 조사 방법론 및 분류 체계를 구축

3) Phase 1 Habitat Survey 목표

서식지 조사와 분류체계에 대한 통합 Phase 1 서식지 조사 지침서 제작을 통해 자연 생태계 복원 및 보전의 주체가 되는 국민과 생태학자, 환경관련 정책 의사결정자의 지식을 함양하고 보전에 대한 의식을 환기

천연자원의 관리와 보호를 위한 전 지역의 서식지 질적 조사와 모니터링 수행을 통한 세부 목표 설정

- Phase 2 조사 연구를 위한 중요 서식지 조사 지역 선정 및 특별 서식지 보전 지역 설정을 위한 당위성 증진

- 서식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효율적인 서식지 모니터링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 지역사회 구조적 측면에서 환경관련 정책 개발 실현을 위한 과학적 기초자료 제공 - 장기 모니터링을 통해 구축된 통계자료는 훼손 위험에 처한 서식지를 보호 및 복원

하는데 필요한 자료로서 사용

- 환경영향평가나 도시 개발 계획에 친환경적 전략 지침서로 적용

4) 서식지 조사 방법론

가) 조사 방법 선정

정확성에서 발생 가능한 의견 차이를 줄이고, 서식지 유형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항공사진 및 위성영상을 이용한 원격 탐사 기술이 이용됨[표 14]

원격 탐사 기술을 이용한 서식지 조사는 비용 효율적으로 넓은 지역을 조사하기에 유용하지만, 소규모의 희소성이 높은 서식지의 경우, 누락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자료검증을 위한 현장 조사 병행이 필수

항공사진은 현장 조사 수행 능력을 증진시키고 조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식생피도가 높은 시기의 영상을 확보하여 관목수림의 분포나 풍부도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데 사용

Dalam dokumen 국립공원 서식지 분류 체계 연구 (Halaman 6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