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서식지 대분류 특성

Dalam dokumen 국립공원 서식지 분류 체계 연구 (Halaman 90-94)

가. 산림생태계

1) 정의

한국의 산림법 제2조에서는 농지·주택지·도로, 과수원·다포·양수포, 하천·제방·구거 (溝渠:개골창)·유휴지(遊休地) 등에 생육하고 있는 입목·죽(竹)을 제외하고, 집단적으 로 생육하고 있는 입목·죽과 그 토지 및 그 토지 내의 암석지(岩石地)와 소택지(沼澤 地), 임도(林道)까지 포함하여 산림이라고 규정

산림생태계는 산림을 공간으로 서로 다른 환경 조건과 서식하는 각종 생물 사이의 생태계를 말함

2) 특성

산림은 지형굴곡에 따라 산봉우리에서 연결되는 능선과 물이 흐르는 골짜기인 계곡에 의해 사면과 향이 구분되며 지형에 따라 일조량 및 습도 차이가 발생하여 다양한 생물서식 환경을 형성

산림생태계는 성숙할수록 생산량에 대한 호흡량의 낮은 비율, 복잡한 먹이망, 낮은 순생산량, 높은 다양성도, 상대적으로 높은 안정성의 특징을 지님

산림생태계 서식지는 지형

지질

토양

수문 조건에서 발달되는 고유한 식생군집 유형으로 구분되며, 인위적인 훼손과 교란에도 영향을 받아 상호관계를 형성

나. 하천 및 습지생태계

1) 정의

하천은 일반적으로 습지 분류에서 물이 흐르는 수계를 말하며, 강, 계류와 같은 유수 생태계(流水生態系)로 구분함(Odum, 1971)

람사르협약에서는 습지를 “자연 또는 인공, 영구적 또는 일시적, 정수 또는 유수, 담 수 또는 기수 등 간조시 6m를 넘지 않은 곳을 포함하는 늪, 습원, 이탄지, 물이 있 는 지역”으로 규정하고, 양어장, 농경지 연못, 관수 농경지, 저수지, 논, 운하 등과 같 은 곳도 인공습지로 분류

본 연구에서 습지는 환경부(2008)의 기준에 따라 유수생태계인 하천과 대비되어 물이 고여 있는 정수지역에 한정하는 협의의 개념으로 사용하고, 논은 인공습지가 아닌 농 경지로 분류

2) 특성

하천생태계는 홍수터(범람원)를 포함한 수변의 육서생태계와 흐르는 물을 포함한 수서 생태계를 포함하여 서로 생태적 기능이 연결

하천은 유수의 흐름과 교란강도에 의하여 서식지의 형태와 규모가 결정되는데, 일반적 으로 여울과 웅덩이, 샛강, 하도습지, 하중주, 사주와 같은 모래톱, 저수 및 고수부 등 다양한 유형의 서식공간이 존재하며, 많은 생물들의 서식지를 제공하며, 산림계곡의 상류부터 바다와 만나는 하구 역까지 연결되어 있어 국토를 생태적으로 연결하는 큰 회랑역할 수행(안홍규와 우효섭, 2004)

다. 해안생태계

1) 정의

해안이란 육지와 바다와 대기가 만나면서 서로 영향을 미치는 좁고 긴 지대를 말하며, 해안생태계는 육상생태계와 해양생태계의 전이대로서 다양한 서식지들이 형성되어 생물의 서식지로서 중요한 역할 수행

2) 특성

해안생태계는 육지 환경과 해양환경의 전이대로서 갯벌, 염습지, 사구 등이 형성되어 완충역할과 함께 다양한 서식지들이 형성되어 생물의 서식지로서 중요한 역할 수행

해안지역은 예로부터 관광지로 이용되고 있으며 산업화와 간척사업 등을 통해 농업, 공업, 위락시설이 건설되어 생물서식지가 훼손되고 있는 실정

라. 농경지

1) 정의

농경지는 작물을 재배하는 지역이며, 일부 수목을 재배하거나 야외가축을 사육하는 지역까지 포함

2) 특성

경작지는 인근 산림과 습지에서 서식하는 야생동물의 산란지와 먹이터 등 서식공간을 제공

산지계곡에 입지한 다랭이논은 인접한 산림과 연계되어 주변 야생동물의 번식지 및 휴식처로서 중요한 역할

하천 범람원에 경지정리 된 넓은 논은 농수로와 연계되고 많은 야생동물 집단의 번식지 및 월동지로 이용

농약 및 제초제의 남용으로 생물서식지 파괴 및 생물다양성 감소 우려

단일종 경작 및 화학비료 사용으로 생물다양성 훼손 및 주변지역 수질

토양 오염 영향

마. 개발지

1) 정의

인간의 거주, 상업, 종교, 관광 활동으로 인해 건축물이 조성되거나 인위적으로 포장 또는 식재되어 본래의 자연이 훼손·교란된 지역

2) 특성

불투수성 포장 면적이 높고, 녹지면적과 수공간이 부족하여 생물서식을 위한 기반 부족

공장 및 시설지 내부 소음과 먼지, 인공구조물의 밀집으로 생물서식 및 이동에 저해

정원 꽃, 유실수 열매, 큰나무, 연못 수공간 등이 풍부한 곳은 곤충류, 양서류, 야생조 류, 포유류 등 야생동물의 먹이터 및 휴식처로 이용 가능

상가 주변에 음식물쓰레기 및 식재료 부산물이 떨어진 곳은 인근 야생생물의 유입 가능성 있음

오랫동안 사람 간섭이 없었던 폐허지 땅과 시설물은 야생동물의 휴식 및 은신처로 이용

공업지 및 공급처리시설지 외곽 경계부에 형성된 완충녹지는 생물서식지 및 이동통로 역할로 잠재성 있음

인접한 생태계와 연계되어 오픈스페이스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 지역은 야생동물 이동 통로 기능

바. 해양생태계

1) 정의

해양에서 생물군집과 그들을 둘러싼 환경과의 유기적 물질순환계

해양 생태계는 지구에서 가장 큰 수생태계이며 염분 함량이 높은 물로 구별되며 해양 생태계 시스템은 염분 함량이 낮은 담수 생태계와 대조됨

2) 특성

해양은 지구표면적의 약 3/4을 차지하고, 그 평균수심은 3,800m이며, 광합성을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빛이 닿는 깊이는 최대한 깊이 약 100m 임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생산하는 생산층은 표층에서 약 150m로 한정되며, 이보다 깊은 부분은 분해층(소비층)이라고 함

해양생태계는 서식하는 생물의 생활양식, 생리적 특성, 종조성, 환경조건에 의해 공간 적으로 구분

해양 생태계에는 소금 습지, 갯벌, 해초 초원, 맹그로브, 암석 조간 시스템 및 산호초와 같은 근해 시스템이 포함됨

해양 생태계는 유기체의 생물학적 공동체와 물리적 환경이 특징

Dalam dokumen 국립공원 서식지 분류 체계 연구 (Halaman 9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