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하천 및 습지생태계

Dalam dokumen 국립공원 서식지 분류 체계 연구 (Halaman 101-106)

기존에 하천이 없던 지역에 필요에 의해 수로 및 웅덩이를 건설하여 (예: 운하, 저수지) 인공적으로 건설한 서식지 유형을 인공하천 혹은 인공습지로 정의함

라. 수원(Water source)

하천 및 습지생태계를 형성하는 수원은 강우와 용출수로 구분됨

강우와 용출수가 하천을 따라 흘러서 바닷물과 만나는 지역에서는 기수역(Brackish water zone)을 형성함

마. 하천 및 습지생태계 분류 체계

습지 수체의 유수와 정수, 지형적 위치, 자연적·인위적 등의 특성을 반영하여 8개의 서식지로 분류[그림 28]

1) 산지하천

산지를 흐르는 하천으로 기질이 암반, 바위, 자갈 등으로 이루어지며 대부분 제방이 축조되지 않고 자연하천의 형태를 유지

샘터, 영구적 혹은 계절적 수로, 하반림 등으로 구성되며 강우 시 수위가 증가하는 지점에서 산림과의 경계가 뚜렷하며 식피율이 낮음

주로 분포하는 식생으로는 들메나무, 버드나무, 물푸레나무, 서어나무 등의 습성림, 갯버들, 키버들 등이 우점하는 관목림과 초본층인 달뿌리풀 군락이 있음

우리나라 산지형 국립공원에 있는 하천이 대부분 산지하천으로 분류

2) 농촌하천

산지하천이 끝나는 지점에서 해안까지의 하천 중에서 주변토지이용 현황에 따라서 농촌하천과 도시하천으로 분류

농촌하천은 주변 토지이용이 대부분 농경지로 이용되는 하천으로 하천의 기질은 자갈, 잔자갈, 모래, 양토 등으로 구성되며 제방으로 제한되어 있는 하천 구역 내에서 비교 적 높은 자연성을 보임

주변 지역의 인구밀도가 높지 않아 하천 내에 친수 시설이 거의 없고 버드나무류 군락, 달뿌리풀군락, 갈대군락, 물억새군락 등의 식생이 자연적인 경관을 형성

고수부지가 넓게 형성된 지역에서는 하천 범람에 의해서 형성된 하도습지가 형성되기도 하며, 보에 의해 형성된 정수역인 보습지, 경작에 이용되는 농경지가 포함

3) 도시하천

도시하천은 하천이 도심지역을 지나면서 지역 주민의 친수 활동 및 편의를 위한 인공 시설물이 설치된 하천 구간을 의미하며 제방과 하천 수변부에 돌망태, 블록, 거석 등 의 인공 자제를 이용하여 수로 직강화가 이루어짐

하천의 기질은 주로 모래와 잔자갈로 이루어지며, 식생의 경우 경관을 위하여 식재를 하거나, 자연식생이 자라더라도 제초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음

하천 내 고수부지에는 공원, 자전거도로, 주차장, 운동시설 등의 다양한 인공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천 내 자연식생은 농촌하천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인공시설물의 영향으로 대규모 군락보다는 수로를 따라서 대상으로 분포하는 경우가 많음

4) 인공하천

인공하천은 기존에 하천이 없던 지역에 물 공급, 배수, 화물 운송 등의 목적을 위해 수로를 인공적으로 건설한 곳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아라뱃길이 대표적

인공적으로 조성된 하천이므로 하천과 수로의 형태가 일정하며 필요에 의해서 자전거 도로, 공원과 같은 편의시설이 같이 조성됨

식생은 조성된 하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고수부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식생 군락이 발달하지 않거나 조경용, 사방용 식생이 식재되는 경우가 많음

5) 기수습지

하천과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 형성되는 습지로 동해안에 주로 형성되는 석호와 서해안의 방조제 건설로 형성된 간척호가 포함됨

식생은 서해안 습지에서는 염분 스트레스에 강한 갈대가 우점하며, 동해안의 석호에서 는 염분농도, 수심, 호안대 특성 등에 따라서 이삭물수세미, 붕어마름 등의 침수식물과 갈대, 물꼬챙이골과 같은 정수식물, 족제비싸리, 아까시나무, 곰솔 등의 목본식물 우점 (김혜영 등 2010)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독특한 환경 때문에 기수습지에는 생태공원, 탐방로, 학습장과 같은 교육 및 편의시설이 조성됨(예시: 시화공룡알화석지, 송지호 탐방로)

6) 담수습지

자연적으로 형성된 배후습지, 용천습지, 담수호습지, 우각호 등이 포함되며 자연발생되 었으나 인공적으로 제방을 쌓고 수위를 조절하는 습지의 경우도 이에 해당

소택지 중 산지에 위치한 습지는 산지습지로 따로 분류

자연습지이므로 다양한 수심과 지형 특성으로 인해 침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및 정수식물을 포함한 다양한 수생식물이 분포

우리나라 최대의 배후습지인 우포늪과 사구습지인 두웅습지가 대표적이며, 금강유역, 영산강유역에 제방축조로 인하여 형성된 우각호들도 이에 포함

7) 산지습지

산지 혹은 구릉지의 사면과 분지, 산정부에 위치한 고층습원, 저층습원, 저습지, 소택지 등이 포함되며 국립공원내에 위치한 대표적인 습지로는 오대산국립공원습지와 대암산 용늪이 있음

산지습지는 수원이 강우인 경우 고층습원(이탄습원, 산성습원, Bog), 수원이 지중수인 경우 저층습원(일시적 혹은 영구적 알칼리습원, Fen), 수원이 지표수 및 지중수인 경우 저습지(추수성 수생식물이 우점하는 늪이나 묵논, 이탄지, Marsh)와 소택지(관목 이 우점하는 묵논 등, Swamp)로 구분 가능(환경부 2011)

대부분 소규모이며 환경변화에 민감하여 교란에 취약하여 사라질 가능성이 높음

8) 인공습지

하천을 댐으로 가로막아 형성된 대규모의 댐호나,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인공적으로 조성된 저수지를 포함하는 습지

저수지의 수심과 연안대 지형 특성에 따라 다양한 수생식물과 버드나무 군락 분포

4대강의 상류지역에 댐 건설로 인한 댐호가 많이 건설되어 있으며, 농경지 주변으로는 많은 수의 농업용 저수지가 건설되어 있음

[그림 28] 하천 및 습지생태계 분류기준표

Dalam dokumen 국립공원 서식지 분류 체계 연구 (Halaman 10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