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서식지 평가의 유형
서식지 평가(Habitat Evaluation)라 함은 서식지 유형화를 통해 구분된 개별공간을 생물다양성 증진과 생태계 건강성을 제고하기 위해 평가항목을 적용, 보전가치를 등급 화 하여 지도로 표현하는 과정을 말함
서식지 평가는 다음과 같이 3가지 유형으로 구분[표 4]- (첫째) 생물다양성 증진: 서식지 유형별 주요 분류군별 출현종 자료를 통해 종 풍부도, 균등도, 다양성 지수 등 생물다양성이 높은 핵심서식지 유형을 도출
- (둘째) 생태계 건강성: 공원별 서식지 유형에 대한 조사로 미소서식지 분포, 교란요인, 희귀 서식지, 깃대종, 관리효과성 등에 의거하여 보전가치 등급화
- (셋째) 서식지 기능: 목표 생물종의 기능적 서식환경 요구조건의 충족정도를 평가하여 서식지 유형을 등급화 하여 평가
구분 적용대상 서식지 평가항목(예시) 평가방법 비고
생물다양성 증진
구조적 서식지 (종 중심 평가)
종풍부도 종다양성 식생보전등급
멸종위기종
공원 내 현지조사 및 기존 자료를 이용한 서식지 유형별
생물다양성 비교평가
기존 자연자원 조사 연계
생태계 건강성
구조적 서식지 (공간 중심 평가)
미소서식지 분포 위협요인 서식지 파편화 희귀 서식지 유형
현지조사와 GIS 공간분석을 통해 서식지 유형별 미소 서식지, 서식밀도 비교평가
신규 조사 항목 발굴
서식지 기능 기능적 서식지
먹이자원 번식자원 커버자원 교란요인
종별 서식지모델링에 의한 서식지적합성평가와 구조적
서식지 유형과의 비교평가
목표종별 서식지모델
개발 [표 4] 서식지 유형의 3가지 평가 형태
나. 서식지 평가의 기본 틀(Framework)
1) 적용대상 서식지
적용대상은 크게 구조적 서식지, 기능적 서식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구조적 서식지는 다시 종 중심 평가와 공간 중심 평가로 세분화
토지피복, 식생, 지형구분과 같이 인위적으로 주변 지역과 상이한 특성을 갖는 토지 단위를 구조적 서식지로 구분하며, 생물종의 생활요구조건에 의해 월동, 번식, 휴식 등의 활동을 제공하는 다차원공간을 기능적 서식지로 정의함
서식지 평가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서식지를 대상으로 개발하였으며, 서식지 평가는 서식지 유형별로 출현하는 생물종 분포현황을 이용한 평가방법과 미소서식지, 서식지파편화, 서식지 규모와 개수 등 공간 중심의 평가로 이루어짐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식생, 지형, 토지피복, 수계유형 등을 분류기준으로 서식지 유형을 분류하고, 실제 현지조사를 서식지 유형에 따라 실시하여 생물종 조사결과와 서식지 유 형과의 생물종-서식지 관계(Wildlife-Habitat Relationship) 분석을 실시2) 적용범위: 시간과 지역
야생생물과 서식지와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서식지 선택의 시공간적인 규모와 관리 영역의 공간적 측면에 따라 달라짐
각 분류군별 또는 종별 서로 다른 다양한 규모의 서식지와 연결되어 있으며, 공원의 자연자원 관리에 있어 지역이나 시기에 따라 상이한 관리기법이 적용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에 적용할 수 있는 서식지 유형을 분류하고, 현재 확보한 기존 자료와 현지조사를 이용하여 공원별, 그리고 연중 적용할 수 있는 서식지 평가범위 제시 - 적용 시간: 연중 적용, - 적용 지역: 개별 공원 (21개 국립공원)
향후 서식지 조사 자료가 축적되고 고도화된 공원관리를 위해서는 서식지 평가의 시간과 적용 지역을 세분화- 적용 시간: 생물종의 월동기, 번식기, 집단산란기, 탐방객이 집중되는 행락철, 기후 변화에 의한 폭염발생시 등으로 구분
- 적용 지역: 공원 내 특별보호구역, 산불 훼손지, 병해충 발생지역, 생태복원대상지 등으로 구분
3) 서식지 평가를 위한 공간 설정
서식지 조사·평가를 위해 조사단위(Grain)와 조사범위(Extent) 설정[그림 5]- 조사단위: 분류군 및 생물종별 조사·평가 대상지 크기(예: 조사구, 평가구) - 조사범위: 조사 또는 평가를 위한 전체 대상지(예: 서식지 조각)
[그림 5] 서식지 조사·평가를 위한 공간단위 설정 개념
GIS 공간분석을 통해 공원별 서식지 유형도를 제작하고, 생물 분류군별 서식지 유형 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
서식지 유형별 생물다양성 증진 평가는 분류군별 조사결과 이용
조사범위(Extent)는 서식지 유형에 따라 제작된 개별 서식지 패치(Habitat Patch)를 대상으로 하고, 조사단위(Grain)는 분류군별 특성에 따라 조사 크기 제시
중분류 서식지 유형은 생물군집을 경관 단위에서 특정할 수 있는 구조적 서식지로 개 별 공원의 관리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생물종, 교란요인 등을 조사하고, 생물군집의 건강성 평가결과를 서식지 유형이라는 공간관리와 연계다. 서식지 평가 항목
1) 다양성
가) 종 다양성
다양성 평가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종 다양성은 해당 서식지에서 관찰된 종수를 나타내는 종 풍부도에서 출현종과 개체수를 조합한 다양성 지수로 구성
종풍부도(Species-richness)는 종 다양성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
특정 서식지는 다른 서식지에 비해 내재적으로 많은 생물종을 지탱하기 때문에 모든 서식지 유형을 동일한 종 다양성 잣대로 적용하는 것은 유의하여야 함
종 다양성을 적용하고자 하면 가능한 동일한 형태의 서식지 유형(Habitat Type) 가운데 보전가치가 높은 서식지 조각(Habitat Patch)을 평가하는데 유용
교란은 종종 잡초와 같은 교란지 식물(Ruderal species)의 유입을 확대하면서 종 다양성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음. 교란지역에서 출현하는 생태계교란종을 제외하고 오직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자생종에 대해서만 종 다양성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 나) 식물군집 다양성
식물군집은 서식지 유형의 다양성을 평가하는데 중요
서식지 유형에 좀 더 많은 식생군락이 분포할수록 해당 서식지의 보전가치 증대
일부 식생군락은 생태계 교란이나 생태계 기능을 저하하기 때문에 환경부에서 제작한 식생보전등급을 토대로 식생군락의 면적과 보전가치를 정량화다) 미소서식지 다양성
일반적으로 다양성이 높은 지역은 보전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획일적인 적용 보다는 깃대종, 지역 특이성, 서식지, 식물군집 등을 고려하여야 함
물리적 환경요소와 서식지는 동물이나 식물에게 다양한 활동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높은 보전가치를 지님. 예를 들어 산림에서 묘지, 쓰러진 나무로 인한 발생한 개방공간,고층습원, 폭포, 계곡, 동굴 등의 서식지는 서식지 평가에 긍정적 영향
조사 단위(grain)에 발견한 수목의 잔재물 현황, 수환경 조건, 성숙목의 유무, 고목이 나 나뭇가지 등을 해당 서식지 유형의 다양성 평가에 중요- 수목의 잔재물: 나뭇가지 등 수목 잔재물은 분해자와 일부 동물에게 서식지 제공 - 성숙목: 성숙목이 분포하는 지역은 수동(나무구멍)을 비롯한 복잡한 물리적 서식
구조가 발달되어 각종 생물서식지 조성
- 고사목: 고사목은 많은 수의 동물종 특히 무척추동물, 균류에게 중요한 서식공간이 며, 유기물로 분해되면서 곤충류, 조류 등의 먹이원 역할
- 미지형 조건: 구릉지, 너덜지대, 동굴, 계곡, 하중도, 물 웅덩이 - 토양환경 조건: 낙엽층, 낙지량, 토양답압의 정도, 토양습도, 유효토심
- 수환경 조건: 많은 생물종이 생활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환경에 의존, 평여울과 급여울, 소, 수제 등의 물환경에서 나타나는 미소 서식지
2) 자연성
자연성(Naturalness)은 서식지 평가 대상이 되는 식물이나 동물이 해당 입지에 전형 적으로 발달하는 식물군집이나 동물군집에 얼마나 원형에 근접하고 있는지 판정
식물은 식생의 층위구조, 자생종, 생태계교란식물 출현현황, 동물은 먹이사슬, 한반도 고유종, 생태계교란동물, 로드킬 발생현황 등으로 평가하며, 생태·자연도 및 식생보전 등급을 참고자료로 활용
해당 서식지 패치에서의 자연적인 토지피복의 면적과 인공적인 토지피복의 면적을 산정하고, 도로밀도(road density), 탐방객 활동, 인공구조물 분포, 자연적 또는 인위적 훼손지 면적을 이용3) 희귀성
동일한 서식지 유형에서 서식지 패치간 비교는 다양성, 자연성 등을 통해 보전가치를 평가할 수 있으며, 서식지 유형간 비교는 희귀성을 통해 판정함
해당 공원에서 5% 미만에 해당하는 희귀 서식지 유형, 또는 서식지 조각의 형태와 규모가 다른 서식지 조각과 상이한 경우
국지적인 분포특성을 갖는 생물종이 출현한 서식지 유형으로 산양, 사향노루 등이서식하는 암반지대 또는 구상나무군락, 눈잣나무군락, 분비나무군락 등의 아고산대 식 생은 우리나라에서 일부 해발이 높은 설악산이나 지리산 등의 산정부에 매우 좁은 면 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므로 희귀성을 높게 평가(공우석, 2002)[표 5]
평가 항목 서식지 유형 간
보전가치 비교
서식지 유형 내 서식지
조각간 보전가치 비교 비고
다양성
종 다양성 - ○ 생물종 조사
식물군집 다양성 - ○ -
미소서식지 다양성 ○ ○ 물리적 서식환경
자연성 자연성 ○ ○ -
희귀성 희귀성 ○ - 적색목록서식지
[표 5] 서식지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 적용 방법 비교
라. 서식지 평가 추진 전략
국립공원의 자연자원 관리를 위해 가용한 생물종 정보와 서식지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서식지 유형분류 및 평가를 통해 공원별 서식지도(Habitat Map) 작성·배포[표 6]- 생물종 정보: 자연자원조사, 모니터링, 전국자연환경조사, 멸종위기종 분포조사를 비 롯한 기존 조사 자료와 현지조사를 통해 공원별 생물종 정보 수집
- 서식지 공간정보: 토지피복, 지형·식생, 수계유형, 면적·거리, 특수서식환경과 관련 된 토지피복지도, 지형도, 식생도, 수계망도 및 현지조사 실시를 통해 확보한 미 소 서식지 분포, 항공사진과 정사영상을 이용한 GIS 공간분석
원격탐사 기술과 서식지 조사평가의 접목- 서식지 유형도를 제작하는데 있어 위치 정확성과 최근 토지이용의 변화를 신속하게 반영하기 위한 항공사진, 위성영상 및 드론을 이용한 촬영기술 활용
- 항공사진의 경우, 현장 조사 수행 능력을 증진시키고 조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 시키는데 효율적이며, 식생 피도가 높은 시기의 영상을 확보하여 관목수림의 분포 나 풍부도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
- 위성영상이나 항공사진은 넓은 시역을 포괄적으로 조사 평가하는데 유용한 기술로 평가받고 있으나, 소규모 및 희소성이 높은 서식지의 경우 누락될 가능성이 높고 자료 해석의 검증을 위한 현장 조사의 병행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