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 산림토양(Forest Soil)
토양은 기후, 지질학, 강우량 및 식생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산림생태계의 특징
온대림의 토양은 나뭇잎이 가을마다 땅에 떨어지기 때문에 더 비옥함
분해되지 않은 낙엽과 나무가지, 줄기, 열매, 나무껍질과 같은 리터(litter)들은 산림 토양에서 발견되는 유기물 층에 기여
분해는 산림생태계의 살아있는 나무와 식물에 더 많은 영양분을 제공하기 때문에 산림토양을 풍부하게 함
열대 우림의 토양은 폭우로 비옥도가 낮음, 지속적인 비는 나무가 그들에게 혜택을 주기 전에 토양 영양분을 침식시키고 용해시킴마. 한반도 산림 및 식물군락
아한대 침엽수림(북부 및 고도 높은 중부), 냉온대 낙엽활엽수림(고도 낮은 북부, 중부 와 남부 전역), 난온대 상록활엽수림(남해안 및 다도해)으로 구분(정연숙과 이경은, 2019)
식생(Vegetation)의 분포에 가장 중요한 기후 요소인 기온은 위도와 고도에 따라 변 화하여 한반도 식생도 기온구배에 따라 띠 모양으로 바뀜
식생대는 위도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수평적 식생대와 산지의 해발고도에 따른 수 직적 식생대가 있음(김종욱 등, 2016)
식물군락들은 주변 식물군락들과 종조성 공유를 통해 연속적 상호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서식환경의 상이성의 수준에 따라 각각의 독특한 특성이나 종조성을 이루고 기능과 구조에 있어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임(김종원·이율경, 2006)
식물종들의 사회에는 지상부(광조건)와 지하부(물, 영양분 등)에서 매우 엄격한 경쟁과 공존의 법칙이 존재함(Groves and Williams, 1975)
우리나라 숲은 생육 공간(토양, 고도, 경사, 미소 지형, 방위 등)의 다양성으로 인해 종다양성과 군집 다양성이 비교적 매우 높음바. 산림생태계 서식지 분류 체계
식생 분류군만을 가지고 서식지 지도 제작에는 한계가 있어 지질구조, 토지피복형태, 지형학적, 수계 특성을 반영하여 20개 서식지 분류[그림 27]1) 상록활엽수림
생활사 동안 넓은 잎이 고사되지 않고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에 해당하는 수종이 군 락을 형성하여 생육
난·온대지역(남부, 다도해)을 대표하는 식생이지만 남부 내륙지역에서도 군락을 형성하 여 분포2) 산지낙엽활엽수림
중부지역에서 전형적으로 우점하고 있으며,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떡갈나무, 굴참나 무, 신갈나무군락이 해당
산림생태계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는 서식지 유형으로 고도, 사면의 특성에 따라 군락분포 특성이 있음
결실기에는 종자 생산량이 높아 야생동물의 먹이원으로 이용되며, 야생동물의 서식지로 이용됨3) 산지침엽수림
상록 또는 낙엽의 침엽수종들이 군락을 형성하여 발달한 서식지로 낙엽활엽수림대보다 추운 곳에서 발달하며,
빛, 습도, 수분, 토양조건 등에 넓은 폭을 가짐
일반적으로 내륙에는 소나무군락, 해안에서 곰솔군락이 우점하면서 분포4) 산지습성림
지형적으로는 산지 계곡부와 충적지에 주로 분포함
전국에 수직분포하며 반음지에서 양지, 습한 곳에 분포함
계곡부는 지형적 특성상 충분한 수분과 영양염류가 풍부하여 생장속도가 빠름5) 산지관목림
여러 개의 줄기가 있으나 어느 것 하나가 특별히 크지 않고 수고가 3m 미만으로 생 장하는 수종들이 분포하는 서식지
연강수량이 대체로 적은 지역이나 연평균기온이 비교적 낮은 지역에서 분포6) 산지초원
수직분포로 볼 때 낙엽활엽수림이 분포하여야 하나 화산, 산불, 방목 등과 같은 인위적 영향이나, 토양환경, 지형특성, 자연 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초본식물이 우점하여 분포
제주도에서는 화산의 산기슭 등을 좋은 예로 볼 수 있음7) 아고산활엽수림
고지대에 분포하여 기온이 낮고 센 바람이 자주 불어 생육조건에 불리함
토양은 고산습 초원토양으로 부식이 많고 산성 또는 강산성
대부분 습윤 비옥한 음지에서 생육적이나, 생육지 특성으로 인해 건조한 환경이나 강풍에도 잘 견딤8) 아고산침엽수림
고지대에 분포하여 기온이 낮고 센 바람이 자주 불어 생육조건에 불리함
산지대와 고산지대 사이에 있는 지역에서 상록침엽수종이 우점하는 식생상관을 형성
열악한 기후 조건에 의해 낮은 생산력과 기후변화로 인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서식지9) 아고산관목림
고지대에 분포하여 기온이 낮고 센 바람이 자주 불어 생육조건에 불리함
기후변화로 인해 서식지가 축소 및 소실되어 위험이 높고 우리나라 고유종들이 다수 분포
냉대기후 지역 침엽수림대의 북부와 한대기후 지역, 툰드라 지역 사이의 점이대 지역 에서 분포10) 아고산초원
고지대에 분포하여 기온이 낮고 센 바람이 자주 불어 생육조건에 불리함
토양은 고산습초원토양으로 부식이 많고 산성 또는 강산성
환경조건이 열악하여 생산성은 낮으나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함11) 암벽식생
암각지에 돌단풍, 부처손, 송악, 소나무 등과 같은 식생이 부착하여 형성된 서식지
완전개방된 양지 환경에서부터 부분적으로 인접 식생에 의한 반그늘 환경에서 발달
환경조건이 건조하고 척박하여 생산량이 높지 않으나 희귀식물들이 생육12) 석회암식생
석회암이 나출되어 있는 지역에 식물군락이 분포하는 생육지
석회암지대에 동강할미꽃, 회양목, 측백나무군락등이 전형적인 식물 분포
우리나라 단양, 제천, 태백지역에 국부적으로 분포하여 생물종다양성 및 서식지 유형 의 다양성에 기여13) 활엽수식재지
인위적으로 조림되어 지속적인 관리가 되고 있으며, 토양침식, 방풍, 목재생산을 목적 으로 식재
조림지역에는 아까시나무, 사방오리나무, 자작나무 등이 인위적으로 식재
도입종이나 개량종에 의해 우점되어 있는 서식지14) 침엽수식재지
인위적으로 조림되어 지속적인 관리가 되고 있으며, 토양침식, 방풍, 목재생산을 목적 으로 식재
우리나라 식재림 중 일본잎갈나무, 잣나무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함
침엽수식재지에서는 생물다양성이 낮게 평가15) 침활혼효림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이 서로 혼재되어 이루어진 산림
자연 상태에서는 식생의 천이에 따라 산지낙엽활엽수림으로 변화16) 산화지
산불의 영향을 받은 후 초지 및 관목림을 형성하고, 2차 천이가 발생되는 지역
산불피해는 활엽수림보다는 침엽수림에서 더 심하게 발생
식생, 토양, 수문학, 생물다양성적 측면에서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17) 벌채지
대부분 조림지역에서 벌채활동이 이루어지며, 건전한 산림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생물다양성 유지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행위18) 암석지
산림 내에서 식생이 거의 분포하지 않거나 식피율이 30% 이하로 암반이나 바위가 노 출되어있는 서식지19) 자연나지
산림서식지 내에서 자연현상으로 인해 식물이 없이 토양층이 드러나 있는 서식지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될 경우 확산될 우려가 있음20) 전석지
암반에서 떨어져 원위치에서 밀려나간 자갈형태의 돌덩이들이 산재해 있는 서식지
일 기온차가 크게 나타나고 척박한 환경으로 생물종이 분포에 적합하지 않음[그림 27] 산림생태계 분류기준표
Dalam dokumen
국립공원 서식지 분류 체계 연구
(Halaman 94-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