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서식지 지도 제작 절차

Dalam dokumen 국립공원 서식지 분류 체계 연구 (Halaman 117-134)

가. 연구범위

대상지: 21개 국립공원(한라산국립공원 제외)[그림 32][표 23]

제작면적 및 도엽수: 3,819.26㎢ / 1,461도엽(1:5,000)

[그림 32] 국립공원 위치도

No. 국립공원명 작업면적 도엽수

1 지리산국립공원 483.02 116

2 한려해상국립공원 127.19 123

3 경주국립공원 136.55 64

4 계룡산국립공원 65.34 22

5 설악산국립공원 398.24 93

6 속리산국립공원 274.77 78

7 내장산국립공원 80.71 26

8 가야산국립공원 76.26 28

9 덕유산국립공원 229.43 60

10 오대산국립공원 326.35 76

11 주왕산국립공원 105.60 30

12 태안해안국립공원 24.22 66

13 다도해해상국립공원 291.02 336

14 북한산국립공원 76.92 25

15 치악산국립공원 175.67 46

16 월악산국립공원 287.57 76

17 소백산국립공원 322.01 81

18 변산반도국립공원 136.71 40

19 월출산국립공원 56.22 17

20 무등산국립공원 75.43 29

21 태백산국립공원 70.05 29

총합계 3,819.28 1,461

[표 23] 국립공원 서식지 지도 제작면적 및 도엽 수

나. 작업 수행 절차

본 서식지 유형 분류지도 제작 절차는 원자료수집, 구조화 편집, 영상자료 이용 서식 지 분류, 서식지 경계 검수 및 서식지 유형 분류 검수 단계로 구성되며 상세한 작업 절차는 다음과 같음[그림 33]

다. 작업 규정

(기본도) 1:5,000 축척 수치지형도(국토지리정보원 상시 수정 지형도)

(영상지도) 정사영상 (국토지리정보원 제공 최신영상)[표 24]

(지도작성 기준) 수치지형도 작성 작업규칙(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제2019-145호), 공 공측량 작업 규정(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제2018-1076호)

(좌표계) 세계측지계 중부원점을 기준으로 하는 직각좌표(TM) 사용

좌표의 포맷은 벡터이며 SHP 형식으로 제작하여 구축

지리정보시스템은 공개 GIS 소프트웨어인 Qgis ver 3.8.2로 제작하여 구축

기타 작업 규정은 “GIS 표준 참조모델 및 프로 파일 ver.2”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에 준하여 작성

[그림 33] 작업 수행 절차

No. 국립공원명 연 도 No. 국립공원명 연 도

1 가야산국립공원 2015 12 속리산국립공원 2016, 2018

2 경주국립공원 2015 13 오대산국립공원 2015

3 계룡산국립공원 2016 14 월악산국립공원 2015

4 내장산국립공원 2015 15 월출산국립공원 2015

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2015 16 주왕산국립공원 2015

6 덕유산국립공원 2016 17 지리산국립공원 2015

7 무등산국립공원 2015 18 치악산국립공원 2015, 2016

8 변산반도국립공원 2016 19 태백산국립공원 2015

9 북한산국립공원 2016 20 태안해안국립공원 2016

10 설악산국립공원 2015 21 한려해상국립공원 2011, 2015,

2017

11 소백산국립공원 2015 여 백

[표 24] 국립공원별 사용된 정사영상 제작연도

라. 단계별 수행 절차

1) 원자료 수집

효율적인 서식지 유형 분류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식생 유형은 기존에 작성된 각 국립 공원의 정밀식생도와 임상도를 사용했으며, 지형·지물은 수치지형도, 수계는 차수도, 표준유역도 등을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25cm급 고해상도 정사영상에서 서식지 유형을 분류[표 25][그림 34]

국립공원 경계도, 행정구역도 등 좌표계를 세계측지계 중부원점으로 변환하여 사용

원자료명 출처 자료형태

정밀식생도

국립공원공단 벡터파일(SHP포맷)

국립공원 경계도 벡터파일(SHP포멧)

임상도 산림공간정보서비스 벡터파일(SHP포멧)

수치지형도

국토지리정보원 벡터파일(SHP포멧)

정사영상 래스터파일(GeoTiff포멧)

차수도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벡터파일(SHP포멧)

표준유역도 벡터파일(SHP포멧)

[표 25] 원자료 및 출처

[그림 34] 원자료 이미지

2) 구조화 편집

차수도, 표준유역도 등 원자료의 좌표를 확인하여 베셀 타원체의 국내측지계 또는 세계측지계 단일원점 좌표를 세계측지계 중부원점으로 좌표 변환[그림 35]

선형 자료(Polyline)를 모두 면형 자료(Polygon)로 수정한 후 위상검증(Topology) 툴 을 이용하여 라인 폐합 오류, 면 중첩오류 등 벡터 데이터의 공간적 무결성을 확보

행정구역 등의 경계 정보를 담고 있는 자료와 식생군락 정보를 담고 있는 임상도의 속성이 중첩, 누락 된 지역을 찾고 데이터의 오류(경계 중첩, 누락)를 수정

수치지형도 레이어 정보에서 개발지(주거지, 상업 및 업무지, 공업지, 혼합지, 공급 처리지, 공공시설지, 인공초지, 인공나지) 목록과 차수도를 활용하여 임상도 및 정밀 식생도와 중첩되는 부분을 삭제하여 식생군락 경계 정보를 최신 화함

정사영상과 임상도, 정밀식생도, 수치지형도의 레이어를 중첩하여 최종 속성 및 경계 정보 검수

[그림 35] 위상검증기를 이용한 공간적 무결성 검증

3) 영상자료를 이용한 서식지 분류

최신 수치지형도 정보로 업데이트된 임상도 및 정밀식생도[표 26]에 고해상도 정사영상 (25cm급)을 중첩하여 서식지 유형을 분류[그림 36, 37]

산림생태계 유형 판정은 정밀식생도를 기본도로 하고 정밀식생도 미작성 대상지(경주, 계룡산, 다도해해상, 무등산, 변산반도, 북한산, 설악산, 속리산, 주왕산, 태백산, 한려 해상국립공원 등 11개 국립공원)는 임상도를 사용

개발지 및 농경지는 수치지형도 정보를 우선으로 반영[그림 38]

습지생태계의 산지하천은 교관목층으로 가려져 있어 차수도를 이용하여 경계를 설정

차수도는 1, 2차수는 3m, 3차수 6m의 버퍼를 주고, 수치지형도의 하천경계를 우선 사용[그림 39]

GIS DB 작업자에 의한 1차 분류 결과를 서식지 원도로 제작하고 식생 전문가에 의한 재분류 후 GIS DB 갱신, 전문가 검수 과정을 거쳐 GIS DB로 제작

서식지 유형 분류 이후 위상검증과 속성 분류 오류 검증을 거쳐 GIS DB로 제작

No. 국립공원명 제 작 년 도

1 내장산국립공원 2011

2 덕유산국립공원 2012

3 오대산국립공원 2013

4 월출산국립공원 2013

5 월악산국립공원 2014

6 가야산국립공원 2014

7 치악산국립공원 2015

8 태안해안국립공원 2015

9 소백산국립공원 2016

10 지리산국립공원 2018

[표 26] 국립공원 정밀식생도 제작 현황

[그림 36] 영상자료를 이용한 산림생태계 분류 과정

[그림 37] 식생 전문가에 의한 산림생태계 유형 판정

[그림 38] 항공사진 및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개발지, 농경지 유형분류

[그림 39] 차수도를 통한 1-3차수 산지하천 유형분류

4) 서식지도 출력 자료(PDF) 제작

국립공원 서식지도 및 기초 레이어 자료(국립공원 경계, 행정경계, 표준유역도, 법정 탐방로, 등고선)를 중첩하여 도면 초안 작성 및 서비스용 자료 출력

출력 양식은 기존 정밀식생도 출력양식을 수정 보완하여 작성

출력 파일 형식은 Arcobat PDF로 출력 도면을 작성

출력 자료에서 대분류의 색상은 토지피복지도 RGB 색상표준에 따라 작성하고 중분류의 색상 표준표는 대분류 RGB 색상표준을 기준으로 한국산업표준의 RGB 색상표준을 참조하여 지정[표 27, 28, 29]

중분류 분류코드는 대분류의 영문 첫 자를 사용하여 순번에 따라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였으며 차후 분류코드의 추가에도 동일한 방식을 따름

출력 도면은 국립공원별 대분류, 중분류 각각 21개 전도와 1:5,000 도엽도 1,499개 도면 출력[그림 40, 41, 42]

대분류(6개항목) 대분류 분류코드

색상코드

R G B 색상

산림생태계 Forest Ecosystem F 42 75 45

하천 및 습지생태계 Stream and Wetland Ecosystem W 124 34 126

해안생태계 Coastal Ecosystem C 89 206 202

농경지 Agricultural Area A 238 233 7

개발지 Development Area D 255 0 0

해양생태계 Marine Ecosystem M 6 2 250

[표 27] 서식지 지도 대분류 분류코드 및 색상표준

대분류 중분류(59) 중분류(영어) 분류코드 색상코드

R G B 색상

산림 생태계

상록활엽수림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F-1 085 107 047 산지낙엽활엽수림 Montan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F-2 034 139 034 산지침엽수림 Montane Conifer Forest F-3 100 000 000

산지습성림 Montane Ravine Forest F-4 128 000 000

산지관목림 Montane Shrub Forest F-5 046 139 087

산지초원 Montane Grassland F-6 060 1709 113

아고산활엽수림 Subalpine Broadleaved Forest F-7 143 188 143 아고산침엽수림 Subalpine Coniferous Forest F-8 144 238 144

아고산관목림 Subalpine Shrubs F-9 152 251 152

아고산초원 Subalpine Grassland F-10 000 255 127

암벽식생 Rock Forest F-11 000 250 154

석회암지대(식생) Limestone Area F-12 124 252 000

활엽수식재지 Broadleaved Plantation F-13 173 255 047

침엽수식재지 Coniferous Plantation F-14 127 255 000

침활혼효림 Mixed Conifer-Broadleave Forest F-15 000 255 000

산화지 Burned Area F-16 050 205 050

벌채지 Logged-off Area (Cut-over area) F-17 154 205 050

암석지 Rock Area F-18 128 128 000

자연나지 Bare ground F-19 107 142 035

전석지 Stone Slope F-20 189 183 107

[표 28] 서식지 지도 중분류 분류코드 및 색상표준(Ⅰ)

대분류 중분류 중분류(영어) 분류코드 색상코드

R G B 색상

하천 및 습지

생태계

산지하천 Mountain Stream W-1 147 112 219

농촌하천 Rural Stream W-2 153 050 204

도시하천 Urban Stream W-3 148 000 211

인공하천 Artificial Stream W-4 138 043 226

기수습지 Brackish Wetland W-5 186 085 211

담수습지 Freshwater Wetland W-6 221 160 221

산지습지 Mountain Wetland W-7 218 112 214

인공습지 Artificial Wetland W-8 075 000 130

해안생태계

난온대상록활엽수림 Warm Temperate Evergreen Forest C-1 095 158 160 해안침엽수림 Coastal Coniferous Forest C-2 070 130 180 해안낙엽활엽수림 Coast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C-3 127 255 212

해안침활혼효림 Coastal Mixed Forest C-4 176 224 230 해안침엽수식재림 Coastal Conifer Plantation C-5 175 238 238 해안활엽수식재림 Coastal Deciduous Plantation C-6 173 216 230

해안초원 Coastal Grassland C-7 176 196 222

해안관목림 Coastal Shrub C-8 135 206 235

해안암벽식생 Coastal Rock Forest C-9 135 206 250

해안암벽 Coastal Rock C-10 072 209 204

사구 Sand Dune C-11 064 224 208

사빈 Sand Beach C-12 000 206 209

자갈 및 암반 Gravel and Rock Bed C-13 000 255 255

갯벌 Mud Flat C-14 000 191 255

해안염습지 Coastal Wetland C-15 030 144 255

해안구조물 Coastal Structures C-16 065 105 000

농경지

Rice paddy A-1 184 134 011

Field A-2 218 165 032

과수원 Orchard A-3 255 215 000

축산시설 지역 Livestock Farming Area A-4 255 255 000 특수재배 지역 Special Cultivation Area A-5 238 232 170

목초지 Pastureland A-6 240 230 140

[표 28] 서식지 지도 중분류 분류코드 및 색상표준(Ⅱ)

[표 28] 서식지 지도 중분류 분류코드 및 색상표준(Ⅲ)

대분류 중분류 중분류(영어) 분류코드 색상코드

R G B 색상

개발지

주거지 Residential Area D-1 255 000 000

상업 및 업무지 Commercial Area D-2 165 042 042

공업지 Industrial Area D-3 160 082 045

혼합지 Mixed Land Use Area D-4 205 092 092

공급 처리지 Infrastructure Facilities Area D-5 188 143 143 공공 시설지 Public Facilities Area D-6 255 099 071 교통시설지 Transportation Facility D-7 255 069 000 인공초지 Anthropogenic Grassland D-8 255 140 000

인공나지 Artificial Surface D-9 205 133 063

해양생태계 해상 Marine Area M 000 000 255

[그림 40] 서식지도 대분류 전도 출력 양식

[그림 41] 서식지도 중분류 전도 출력 양식

[그림 42] 서식지도 중분류 1:5,000 출력 양식

Dalam dokumen 국립공원 서식지 분류 체계 연구 (Halaman 117-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