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서식지 유형 대분류 체계

Dalam dokumen 국립공원 서식지 분류 체계 연구 (Halaman 85-89)

가. 서식지 유형 분류 위계

국외 서식지 유형 분류체계를 고찰하여 국내 국립공원에 적용할 수 있는 서식지 유형 분류체계를 설정함[표 21]

분류 위계란 서식지 유형이 분류되는 위계를 형성하는 계층적인 단계로서, 일반적으로 대분류-중분류-소분류 3단계 위계를 가짐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 서식지 유형을 대분류-중분류-소분류 3단계 위계로 구성하고, 서식지 지도를 중분류 수준으로 제작

대분류는 생태계 유형에 따라 산림생태계, 하천 및 습지생태계, 해안생태계, 농경지, 개발지, 해양생태계 등 6개 유형으로 구분

중분류는 서식지 공간 유형 및 지형·지질 조건에 따라 구분되며, 기존에 작성된 정밀 식생도, 토지피복도 DB를 활용하여 분류

소분류는 서식지 상세 공간유형 및 식생군락에 따라 세분화되는데, 국립공원별 특별한 서식지 특성은 소분류에 반영

구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분류

지표 생태계 유형 서식지 공간유형 및 지형·지질 조건 서식지 상세 공간유형 및

식생군락

주요 유형

산림생태계, 하천 및 습지생태계, 해안생태계, 농경지, 개발지

(산림) 산지낙엽활엽수림, 아고산침엽수림, 전석지 (습지) 산지하천, 산지습지 (해안) 갯벌, 사구, 해안관목림, 해안초원

(농경지) 논, 밭 (개발지) 주거지, 인공초지

(산림) 신갈나무군락 (습지) 하도습지, 고층습원 (해안) 사구초지, 곰솔군락

(농경지) 논, 밭 (개발지) 단독주택지, 묘지

*국립공원별 서식지 특성 반영 [표 21] 국립공원 서식지 유형 분류위계 기준

나. 서식지 유형 분류 기준

1) 분류지표

일반적으로 지표는 어떤 대상이 다수의 상태변수에 따라 규정되는 경우에 그 대상이 가지고 있는 특성 중에서 추출한 것을 소수의 특성치로 투영하여 이해하기 쉽게 표현한 것

분류지표(Classification indicator)는 서식지 유형을 분류하는데 사용되는 구체적인 판단 및 측정 도구로 정의

서식지 유형 분류지표는 기초조사 자료의 조사항목과 강도에 따라 다양하게 선정될 수 있으므로, 서식지 지도화 이전에 분류지표를 선정하여 조사항목과 강도를 설정해야 함

2) 분류요인

분류요인(Classification factor)은 서식지를 분류하는 조건이 되는 요소

- 현대적 의미의 서식지는 크게 생물적 요인(Biotic factor), 무생물적 요인(Abiotic factor), 인간 행태적 요인(Anthropotic factor)으로 구성(Sukopp and Weiler, 1988)

분류지표는 생물적 요인뿐만 아니라 무생물적 요인과 인간 행태적 요인과의 관계를 충분히 고려해서 선정해야 함

생물적 요인에 의한 지표는 서식지의 질적인 상태를 반영하는 생물서식지의 자연성, 다양성, 희귀성 등 상태(State)로 반영

무생물적 요인에 의한 지표는 서식지의 물리적 기반 조건을 반영하는 지형, 토양, 수 문, 기후 등의 자연성, 안정성 측면의 조건(Condition)의 성격으로 설정

인간 행태적 요인에 의한 지표는 인간의 교란 및 영향성을 고려하여 토지이용, 관리적 측면의 훼손성, 잠재성, 압력영향 등의 정도(Degree)로 반영

서식지의 현 상태는 물리적 기반 조건과 인간영향 정도의 유형 및 상호관계에 따라 다양하게 반영

다.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 구성

대분류는 생태계 유형에 따라 산림생태계, 하천 및 습지생태계, 해안생태계, 농경지, 개발지, 해양생태계 등 6개 유형으로 구분[표 22]

중분류는 2단계의 분류과정을 거쳐 진행하였는데, 첫 번째 단계는 무생물적 요인과 인간 행태적 요인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공간종류를 구분하였고, 두 번째 단계는 생 물적 요인을 중심으로 서식지 특성을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서식지 유형 목록을 작성

산림생태계는 식생발달 지표에 따라 공간종류를 자연식생지, 교란식생지, 비식생지로 구분되었고, 식생유형, 교란유형, 지질조건 지표에 따라 서식지 유형 목록을 구성 - 상록활엽수림, 산지낙엽활엽수림, 산지습성림, 산지관목림, 아고산침엽수림, 아고산

관목림, 암벽식생, 침엽수식재지, 산화지, 암석지, 전석지 등

하천 및 습지생태계는 유수특성 지표에 따라 공간종류를 습지와 하천으로 구분되었고, 생성유형, 경관유형 지표에 따라 서식지 유형 목록을 구성

- 담수습지, 산지습지, 인공습지, 산지하천, 농촌하천, 인공하천 등

해안생태계는 지형·식생발달 지표에 따라 공간종류를 해안자연지형, 해안식생지, 해안 교란지로 구분되었고, 지형·지질조건, 식생유형, 교란유형 지표에 따라 서식지 유형 목록을 구성

- 갯벌, 사구, 해안암벽, 난온대상록활엽수림, 해안침엽수림, 해안활엽수식재림, 해안초 원, 해안관목림, 해안암벽식생, 해안구조물 등

농경지는 경작조건 지표에 따라 공간종류를 습윤지성 경작지, 건조지성 경작지, 시설 경작지로 구분되었고, 지형조건, 작물종류, 시설용도 지표에 따라 서식지 유형 목록을 구성

- 논, 밭, 과수원, 축산시설지, 특수재배지, 목초지 등

개발지는 개발강도 지표에 따라 공간종류를 건축지, 개방지로 구분되었고, 건물용도, 지표피복 지표에 따라 서식지 유형 목록을 구성

- 주거지, 상업 및 업무지, 공공시설지, 인공초지, 인공나지 등

해양생태계는 대분류체계만 작성(과업 별도 수행 예정)

대분류 1st level

분류지표 공간종류 2nd level

분류지표 중분류 서식지 유형 목록

산림

생태계 식생발달

자연식생지 식생유형

상록활엽수림, 산지침엽수림, 산지낙엽활엽수림, 침활혼효림, 산지습성림,

산지관목림, 산지초원, 아고산활엽수림, 아고산침엽수림, 아고산관목림, 아고산초원,

암벽식생, 석회암식생

교란식생지 교란유형 활엽수식재지, 침엽수식재지, 산화지,

벌채지

비식생지 지질조건 암석지, 자연나지, 전석지

하천 및 습지 생태계

유수특성

습지 생성유형 기수습지, 담수습지, 산지습지, 인공습지

하천 경관유형 산지하천, 농촌하천, 도시하천, 인공하천

해안 생태계

지형·식생 발달

해안자연지형 지형·지질조건 갯벌, 사빈, 자갈 및 암반, 사구, 해안암벽

해안식생지 식생유형

난온대상록활엽수림, 해안침엽수림, 해안낙엽활엽수림, 해안침활혼효림, 해안침엽수식재림, 해안활엽수식재림,

해안초원, 해안관목림, 해안암벽식생

해안교란지 교란유형 해안구조물

농경지 경작조건

습윤지성

경작지 지형조건 논

건조지성

경작지 작물종류 밭, 과수원

시설

경작지 시설용도 축산시설지, 특수재배지, 목초지

개발지 개발강도 건축지 건물용도 주거지, 상업 및 업무지, 공업지, 혼합지,

공급 처리지, 공공시설지

개방지 지표피복 공원녹지, 인공초지, 인공나지

해양

생태계 - - - -

[표 22] 국립공원 서식지 유형 분류체계 구성

Dalam dokumen 국립공원 서식지 분류 체계 연구 (Halaman 8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