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귀화식물 및 생태계교란야생식물

Dalam dokumen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Halaman 160-164)

국립공원연구원123

Ⅱ. 연구분야 / 3-1. 식물(관속)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124국립공원연구원

귀화율[Naturalization Index: 조사된 귀화식물의 종 수(47) / 출현식물의 총 종 수(795) × 100]은 5.91%로 산출되었고, 도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 조사된 귀화식물의 종수(47) / 남한의 귀화식물 총 종수(321)×100]는

14.64%로 산출되어

우리나라 산림형 및 도시형 국립공원의 평균 도시화지수

(6.84%)

보다 크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귀화식물이 주로 분포하는 곳은 국립공원의 경계지역, 민가 또는 농경지 인접 지역, 산림 내 임도 주변, 저지대의 탐방로 주변에 집중되어 있 으므로 귀화식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한편, 귀화식물 중 생태계교란야생식물(환경부, 2012)에 해당하는 식물로는 애 기수영, 가시박,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등 4종의 분포가 확인되었다(표 Ⅱ-3-1-7, 그림 Ⅱ-3-1-7).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Sicyos angulatus L.

가시박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Ambrosia trifida L.

단풍잎돼지풀 그림 Ⅱ-3-1-7. 가야산국립공원에 분포하는 생태계교란야생식물

국립공원연구원125

Ⅱ. 연구분야 / 3-1. 식물(관속)

애기수영은 청량동탐방지원센터 앞의 주차장 주변에 국한하여 소규모 군락을 이루고 있어, 제거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탐방로를 따라 확산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조속히 제거해야 할 것이다. 가시박과 단풍잎돼지풀은 봉양리 상선불과 백양골에 대규모 군락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

가야산 자연학습장

(

네이처 센터)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큰밭골에도 군락상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이 두 종은 개화 및 결실기에 이르게 되면 사실상 제거가 불가능하므로 어린 식물체 시 기에 제거해야 할 것이며, 큰밭골에서 이어진 사기정계곡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분포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국립공원과 인접한 상선불, 개울선불, 먹들, 백양골, 학동마을 등의 지역주민들과 연계하여 제거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돼지풀은 조사지역 곳곳에서 불연속적으로 산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공원 경 계지역을 벗어난 농경지 및 도로변에서 쉽게 관찰되었다. 본 종은 특정지역에 집 중하여 분포하는 것이 아니므로 제거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표 Ⅱ-3-1-7. 가야산국립공원의 귀화식물 및 생태계교란야생식물

번호 과명 학명 및 국명 생태계

교란종

1 Polygonaceae 마디풀과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2 Polygonaceae 마디풀과 Rumex obtusifolius L. 돌소리쟁이 3 Phytolaccaceae 자리공과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4 Chenopodiaceae 명아주과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좀명아주 5 Amaranthaceae 비름과 Amaranthus lividus L. 개비름

6 Amaranthaceae 비름과 Amaranthus retroflexus L. 털비름 7 Papaveraceae 양귀비과 Papaver rhoeas L. 개양귀비 8 Cruciferae 십자화과 Lepidium virginicum L. 콩다닥냉이 9 Cruciferae 십자화과 Thlaspi arvense L. 말냉이

10 Leguminosae 콩과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11 Leguminosae 콩과 Medicago sativa L. 자주개자리 12 Leguminosae 콩과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13 Leguminosae 콩과 Trifolium pratense L. 붉은토끼풀 14 Leguminosae 콩과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15 Euphorbiaceae 대극과 Euphorbia supina Raf. 애기땅빈대

16 Malvaceae 아욱과 Malva sylvestris var. mauritiana Boiss. 당아욱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126국립공원연구원

표 Ⅱ-3-1-7. 계속

번호 과명 학명 및 국명 생태계

교란종 17 Violaceae 제비꽃과 Viola papilionacea Pursh 종지나물

18 Cucurbitaceae 박과 Sicyos angulatus L. 가시박

19 Onagraceae 바늘꽃과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20 Convolvulaceae 메꽃과 Ipomoea hederacea Jacq. 미국나팔꽃 21 Boraginaceae 지치과 Symphytum officinale L. 컴프리

22 Labiatae 꿀풀과 Lamium purpureum L. 자주광대나물

23 Solanaceae 가지과 Solanum americanum Mill. 미국까마중 24 Scrophulariaceae 현삼과 Veronica arvensis L. 선개불알풀 25 Scrophulariaceae 현삼과 Veronica persica Poir. 큰개불알풀 26 Plantaginaceae 질경이과 Plantago virginica L. 미국질경이

27 Compositae 국화과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28 Compositae 국화과 Ambrosia trifida L. 단풍잎돼지풀

29 Compositae 국화과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30 Compositae 국화과 Bidens pilosa L. 울산도깨비바늘

31 Compositae 국화과 Chrysanthemum leucanthemum L. 불란서국화 32 Compositae 국화과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33 Compositae 국화과 Coreopsis lanceolata L. 큰금계국 34 Compositae 국화과 Coreopsis tinctoria Nutt. 기생초 35 Compositae 국화과 Cosmos sulphureus Cav. 노랑코스모스

36 Compositae 국화과 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 S.Moore 주홍서나물

37 Compositae 국화과 Eclipta alba (L.) Hass. 가는잎한련초 38 Compositae 국화과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39 Compositae 국화과 Erigeron philadelphicus L. 봄망초 40 Compositae 국화과 Erigeron strigosus Muhl. 주걱개망초

41 Compositae 국화과 Galinsoga ciliata (Raf.) S.F.Blake 털별꽃아재비 42 Compositae 국화과 Galinsoga parviflora Cav. 별꽃아재비

43 Compositae 국화과 Taraxacum officinale Weber 서양민들레 44 Compositae 국화과 Verbesina alternifolia Britton 나래가막사리 45 Compositae 국화과 Xanthium canadense Mill. 큰도꼬마리 46 Gramineae 벼과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47 Gramineae 벼과 Lolium perenne L. 호밀풀

국립공원연구원127

Ⅱ. 연구분야 / 3-1. 식물(관속)

Dalam dokumen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Halaman 160-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