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Ⅰ-2-2)
1) 주요 식물군락의 특성
국립공원연구원❚81
Ⅱ. 연구분야 / 2. 식생
2) 조사방법
가) 현장조사
식생조사는 식생이 균질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을 선정하고 방형구를 설치한 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방형구의 크기는 목본이 우점하는 곳은 교목층의 크기에 따 라 15m × 15m 및 10m × 10m, 관목이 우점 하는 곳은 5m × 5m, 초본이 우점 하는 곳은 2m × 2m로 하였다. 식물사회학적인 조사방법에 따라 방형구 내에 출 현하는 식물을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및 초본층으로 구분하여 피도를 조사하 였다(Braun-Blanquet, 1964). 식생단면도는 주요 군락을 대표하는 곳을 선정하여 그 구간에 출현한 주요 식물종과 그 피복 범위, 기타 구조적 특기사항이 나타나도 록 표현하여 작성하였다.
나) 현존식생도 작성
현존식생도는 1:5,000의 산림청 임상도, 다음 위성영상 등을 참고하여 지형도
(1:5,000)상에 식생을 구분한 다음,
현지답사를 통하여 식생 상관 등을 확인 및 수정하는 작업을 거쳐 작성하였다. 현존식생도의 최소면적은
50m × 50m(지형도상
의 1㎝ × 1㎝)로 하고, 분포면적이 작아 지형도에 표기하기 어려운 식생은 주변 군락에 편입하였다. 한편 특이식물군락 즉 법정보호식물군락 등은 면적이 협소하 더라도 식생도에 표기 하였다.다. 결과 및 고찰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82❚국립공원연구원
습성림 0.83% 순으로 분포하고 있다. 한편 가야산국립공원의 대표적인 군락의 특 성은 다음과 같다.
표 Ⅱ-2-2. 가야산국립공원 식생유형별 식물군락
대분류 소분류(식물군락)
패치수 분포면적
(
㎡)
분포비율(%)
산지낙엽활엽수림683 39,254,916.37 52.17
산지습성림
36 597,135.44 0.83
산지침엽수림566 28,752,949.36 38.19
식재림
268 5,714,315.69 7.60
기타식생
27 273,261.21 0.36
암벽식생
39 461,621.11 0.61
하반림
6 171,523.63 0.22
비식생
2 16,131.19 0.02
소계
1,627 75,241,854.00 100.00
가) 신갈나무군락
구분 수고(m) 식피율(%) 우점종 및 출현종
군락구조
교목층
13.0∼15.0 80∼95
신갈나무, 굴참나무, 물푸레나무아교목층
5.0∼10.0 15∼40
신갈나무, 당단풍, 물푸레나무,쪽동백나무, 소나무
관목층
1.5∼4.0 20∼70
철쭉꽃, 진달래, 싸리, 생강나무,비목나무, 당단풍, 신갈나무
초본층
0.3∼1.0 20∼85
대사초, 애기나리, 고사리, 기름새, 앵초, 알록제비꽃, 방아풀, 참취, 대사초,
노루오줌, 여로, 비비추, 구절초
국립공원연구원❚83
Ⅱ. 연구분야 / 2. 식생
나) 소나무군락
구분 수고(m) 식피율(%) 우점종 및 출현종
군락구조
교목층
15.0∼18.0 90∼95
소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아교목층
6.0∼8.0 10∼30
신갈나무, 산벚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관목층
1.5∼3.0 25∼60
진달래, 졸참나무, 떡갈나무, 갈참나무,생강나무, 국수나무, 개옻나무, 작살나무 초본층
0.3
∼0.8 20
∼70
고사리, 주름조개풀, 구절초, 큰기름새, 대사초
,
둥굴레,
방아풀,
단풍취,
족도리풀,
노루오줌, 맑은대쑥
다
)
졸참나무군락구분 수고(m) 식피율(%) 우점종 및 출현종
군락구조
교목층
11.0∼14.0 70∼95
졸참나무, 신갈나무, 고로쇠나무아교목층
5.0∼7.0 10∼40
쪽동백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층층나무관목층
1.5∼3.0 30∼55
신갈나무, 회잎나무, 생강나무, 당단풍,병꽃나무
,
쪽동백나무초본층
0.2∼0.6 20∼60
고사리, 산수국, 개고사리, 애기나리,산박하, 족도리풀, 승마, 개다래, 노루발
라
)
굴참나무군락구분 수고(m) 식피율(%) 우점종 및 출현종
군락구조
교목층
8∼14 75∼95
굴참나무, 신갈나무, 소나무아교목층
5∼8 10∼25
굴참나무, 신갈나무, 산벚나무관목층
2.0∼3.5 20∼55
생강나무, 신갈나무, 조록싸리, 노린재나무초본층
0.3∼0.7 30∼60
가는잎그늘사초, 새, 삽주, 고사리, 참취,맑은대쑥, 매화노루발, 청가시덩굴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84❚국립공원연구원
마) 상수리나무군락
구분 수고(m) 식피율(%) 우점종 및 출현종
군락구조
교목층
10∼13 80∼95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소나무, 졸참나무아교목층
5∼6.5 5∼20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물오리나무관목층
1.5∼2.5 15∼70
졸참나무, 조록싸리, 노린재나무,물오리나무, 생강나무, 싸리, 찔레꽃
초본층
0.3∼0.7 30∼60
그늘사초, 큰기름새, 청미래덩굴, 새, 맑은대쑥,매화노루발, 싸리, 주름조개풀, 산국
바) 층층나무군락
구분 수고 식피율 우점종 및 출현종
군락구조
교목층
12.0∼16.0 80∼90
층층나무, 물푸레나무, 졸참나무, 서어나무,신갈나무
아교목층
5.0∼7.5 5∼30
쪽동백나무, 당단풍, 물푸레나무, 신갈나무관목층
2.0
∼3.5 25
∼65
생강나무, 당단풍, 국수나무, 박쥐나무, 함박꽃나무
,
고추나무,
작살나무,
가막살나무
초본층
0.4∼1.0 40∼75
조릿대, 개고사리, 참취, 청가시덩굴,둥근털제비꽃, 산수국, 노루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