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법적보호종

Dalam dokumen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Halaman 145-149)

가) 멸종위기야생식물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에 해당하는 식물로는 기생꽃, 한라 송이풀, 복주머니란, 구름병아리난초 4분류군이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Ⅱ-3-1-3,

그림 Ⅱ-3-1-2).

기생꽃(Trientalis europaea var. arctica

(Fisch.) Ledeb.)은 상왕봉과 칠불봉

사이 북쪽사면의 해발고도 1,400m 지역에 약 100여 개체가 소규모 군락을 이루 고 있었다(격자번호 8). 대부분 유묘(幼苗)로 확인되었으며, 탐방객에 의해 훼손 될 우려가 있어 보호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라송이풀(Pedicularis hallaisanensis Hurus.)은 상왕봉 헬기장 주변의 해발

고도

1,390m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

격자번호

8).

개체 및 집단의 생육상태

는 비교적 양호하나 탐방객에 의한 훼손 우려가 존재하므로 보호가 필요할 것으 로 판단된다. 한편, 본 종은 학자에 따라 이삭송이풀, 구름송이풀로 보는 견해도 있으므로 본 분류군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복주머니란(Cypripedium macranthos Sw.)은 별유산 지역의 해발고도 850∼

960m

지역에서 3개체가 산생(散生)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격자번호 27). 해

당 개체는 비법정탐방로 주변에 분포하고 있으며, 관상 가치가 높아 탐방객들에 의한 훼손 또는 남획(濫獲)의 우려가 있으므로 보호대책이 요구된다.

구름병아리난초(Gymnadenia cucullata (L.) Rich.)는 봉천대, 상왕봉 헬기장, 칠 불봉, 동성봉의 해발고도

1,200∼1,400m

사이에 형성된 암반지대 곳곳에 산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격자번호

8, 9).

본 지역의 구름병아리난초는 일반적으로 잎에 뚜 렷한 반점이 있어 점박이구름병아리난초라고 부르기도 한다. 관상용 가치가 뛰어 나 남채의 위험에 처해 있으며, 조사기간 동안에도 남채의 흔적을 곳곳에서 확인하 였다. 따라서 본종에 대한 현지내

외의 보존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립공원연구원109

Ⅱ. 연구분야 / 3-1. 식물(관속)

Trientalis europaea var. arctica (Fisch.) Ledeb.

기생꽃

Pedicularis hallaisanensis Hurus.

한라송이풀

Cypripedium macranthos Sw.

복주머니란

Gymnadenia cucullata (L.) Rich.

구름병아리난초 그림 Ⅱ-3-1-2. 가야산국립공원의 멸종위기야생식물

표 Ⅱ-3-1-3. 가야산국립공원의 멸종위기야생식물

번호 과명 학명 및 국명 관찰격자

1 Primulaceae

앵초과

Trientalis europaea var. arctica (Fisch.)

Ledeb.

기생꽃

8

2 Scrophulariaceae

현삼과

Pedicularis hallaisanensis Hurus.

한라송이풀

8

3 Orchidaceae

난초과

Cypripedium macranthos Sw.

복주머니란

27 4 Orchidaceae

난초과

Gymnadenia cucullata (L.) Rich.

구름병아리난초

8, 9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110국립공원연구원

나) 적색자료집 식물

국립생물자원관(2012)에서 발행한 적색자료집에 의거, 위기종(Endangered,

EN)

은 구상나무

,

승마

,

한라송이풀

,

제주상사화

,

복주머니란 등 총

5

분류군이 확 인되었으며, 취약종(Vulnerable, VU)은 향나무(식재), 기생꽃, 구름병아리난초 등 총 3분류군, 관심대상종(Least Concern, LC)은 목련(식재), 금강제비꽃, 개회향, 흰참꽃나무, 덩굴꽃마리, 솔나리, 게박쥐나물, 말나리, 뻐꾹나리, 범부채, 보춘화 등 총 11분류군, 준위협(Near Threatened, NT)은 선백미꽃, 애기물꽈리아재비 등 2분류군이 각각 확인되었다(표 Ⅱ-3-1-4, 그림 Ⅱ-3-1-3).

Abies koreana Wilson

구상나무

Ligusticum tachiroei (Franch. & Sav.) M.Hiroe & Constance

개회향

Rhododendron tschonoskii Maxim.

흰참꽃나무

Tricyrtis macropoda Miq.

뻐꾹나리

그림 Ⅱ-3-1-3. 가야산국립공원의 적색자료집 식물

국립공원연구원111

Ⅱ. 연구분야 / 3-1. 식물(관속)

번호 과명 학명 및 국명 등급

1 Pinaceae 소나무과

Abies koreana

Wilson 구상나무 위기(EN)

2 Cupressaceae 측백나무과

Juniperus chinensis

L. 향나무(식재) 최약(VU)

3 Magnoliaceae 목련과

Magnolia kobus

DC. 목련(식재) 관심(LC)

4 Orchidaceae 난초과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승마 위기(EN)

5 Violaceae 제비꽃과

Viola diamantiaca

Nakai 금강제비꽃 관심(LC)

6 Umbelliferae 산형과

Ligusticum tachiroei

(Franch. & Sav.) M.Hiroe

& Constance 개회향 관심(LC)

7 Ericaceae 진달래과

Rhododendron tschonoskii

Maxim. 흰참꽃나무 관심(LC) 8 Primulaceae 앵초과

Trientalis europaea var. arctica

(Fisch.)

Ledeb. 기생꽃 최약(VU)

9 Asclepiadaceae 박주가리과

Cynanchum inamoenum

(Maxim.) Loes.

선백미꽃 준위협(NT)

10 Boraginaceae 지치과

Trigonotis icumae

(Maxim.) Makino 덩굴꽃마리 관심(LC) 11 Scrophulariaceae 현삼과

Mimulus tenellus

Bunge 애기물꽈리아재비 준위협(NT) 12 Scrophulariaceae 현삼과

Pedicularis hallaisanensis

Hurus. 한라송이풀 위기(EN)

13 Compositae 국화과

Parasenecio adenostyloides (Franch. & Sav.

ex Maxim.) H.Koyama

게박쥐나물 관심(LC)

14 Liliaceae 백합과

Lilium cernuum

Kom. 솔나리 관심(LC)

15 Liliaceae 백합과

Lilium distichum

Nakai ex Kamib. 말나리 관심(LC)

16 Liliaceae 백합과

Tricyrtis macropoda

Miq. 뻐꾹나리 관심(LC)

17 Amaryllidaceae 수선화과

Lycoris chejuensis

K.H.Tae & S.C.Ko

제주상사화 위기(EN)

18 Iridaceae 붓꽃과

Belamcanda chinensis

(L.) DC. 범부채 관심(LC)

19 Orchidaceae 난초과

Cymbidium goeringii

(Rchb.f.) Rchb.f. 보춘화 관심(LC)

20 Orchidaceae 난초과

Cypripedium macranthos

Sw. 복주머니란 위기(EN)

21 Orchidaceae 난초과

Gymnadenia cucullata

(L.) Rich.

구름병아리난초 최약(VU)

표 Ⅱ-3-1-4. 가야산국립공원의 적색자료집 식물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112국립공원연구원

Dalam dokumen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Halaman 145-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