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주요 선태식물

Dalam dokumen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Halaman 191-200)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154국립공원연구원

그림 Ⅱ-3-2-13. 홍류동 계곡 전경(좌) 및 능선부 생육환경(우)

그림 Ⅱ-3-2-14. 대호꼬리이끼(좌) 및 둥근날개이끼(우)

국립공원연구원155

Ⅱ. 연구분야 / 3-2. 식물(선태)

(2) 긴털귀이끼[Nipponolejeunea pilifera (Steph.) S. Hatt., 가시지네이끼과]

긴털귀이끼는 잎의 가장자리에 긴 털이 달리는 특징으로 구분한다. 기존 지리 산, 덕유산, 울릉도 성인봉에서 드물게 확인되었으며, 가야산에서는 상왕봉에서 칠불봉으로 이어지는 북사면 구상나무군락 아래에서 발견되었다

.

기후변화에 의 한 구상나무군락의 변화관찰 연구에 있어서, 구상나무군락의 쇠퇴 및 이동에 의 한 긴털귀이끼의 변화상도 관찰이 필요하겠다.

(3) 칼잎이끼[Drepanolejeunea angustifolia (Mitt.) Grolle, 작은귀이끼과]

칼잎이끼는 식물체가 매우 작고, 잎 끝이 피침형으로 굽는 특징으로 구분한다.

가야산 상왕봉 부근에서 처음 발견되어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발표되었다(최,

2012).

기존 가야산, 지리산, 한라산 등지에 매우 드물게 생육하는 것이 확인되었

으며, 최근 소백산국립공원에서도 발견되었다. 가야산 상왕봉은 본 종의 최대 자 생지로서 비법정탐방로 출입을 통제하는 안내판 등 설치로 보호 및 관리가 필요 하다.

(4) 동굴작은귀이끼[Lejeuena otiana S. Hatt., 작은귀이끼과]

동굴작은귀이끼는 식물체가 매우작고 연약하며 소열편이 선형인 특징으로 구 분한다. 홍류동 계곡 길가 작은 동굴에서 발견되어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발표 되었다(최, 2012). 작은 동굴 입구에 안내판 등 설치로 보호 및 관리가 필요하다.

(5) 물겉게발이끼[Cylindrocolea recurvifolia (Steph.) Inoue, 물겉게발이끼과]

물겉게발이끼는 계곡부 그늘지고 습한 바위 겉에 생육하며

,

식물체가 매우 작 고, 잎은 요두로 드물게 붙는다. 비교적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홍류동 계곡이 가장 큰 자생지로 판단된다. 본 종이 생육하는 홍류동 계곡부에 안내판 등 설치 로 홍보 및 보호, 관리가 필요하다.

(6) 그늘들솔이끼[Pogonatum contortum (Menzies ex Brid.) Lesq., 솔이끼과]

그늘들솔이끼는 산지의 다소 습한 반음지 토양에서 주로 생육한다

.

같은 속의 다른 식물체에 비해 색이 짙은 녹색이고, 건조해지면 잎이 약하게 안으로 말리거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156국립공원연구원

나 구불구불 해진다. 위의 특징들로 인해 같은 속의 다른 식물체들과 구분이 비 교적 쉽다. 강원도 산지나 지리산, 한라산 등의 산지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본 조사에서는 상왕봉-칠불봉 능선의 북사면 암벽이 그늘진 토양 위에서 확인되었다.

라. 선행연구와의 비교

가야산국립공원의 선태식물을 중심으로 이뤄진 식물상 조사는 본 조사가 처음 으로, 기존 문헌에 기록된 선태식물은 한반도 식물의 전체적인 식물상 작업에 일 부 포함되어 조사되었다. 한국 최초의 선태식물도감인 한국동식물도감 선태류편

(최, 1980)에 기록된 10분류군(선류 4종,

태류 6종)과 가야산의 태류식물상(Song

& Yamada, 2009)

에 기록된

38

분류군

,

그리고 한반도 태류와 뿔이끼류의 분류

(최, 2013)에 기록된 30분류군 등 22과 35속 64분류군이 선행연구에서 기록된 종

이다(표 Ⅱ-4-2-3). 문헌 64분류군과 현장조사 173분류군를 통해 확인된 소백산 국립공원의 선태식물은 198분류군이다. 이번 조사에서 기존 문헌에 기록되었지 만, 확인하지 못한 선태식물은 새이끼, 처녀부채이끼, 초록지네끼, 물가지네이끼, 사슴주름이끼, 세모날개이끼, 빗타날개이끼, 심장형망울이끼, 방추형망울이끼 등

24종이다.

본 종들에 대해서는 논문에 기록된 확증표본 등을 확인하여 가야산의

선태식물상을 밝힐 필요가 있다.

표 Ⅱ-3-2-4. 기존 문헌에 기록된 소백산국립공원의 선태식물

분류군 국명 1980 2009 2013

Bryophyta 선류식물문

Andreaeaceae 검정이끼과

Andreaea rupestris var. fauriei (Besch.) Takaki. 검정이끼

Hedwigiaceae 톳이끼과

Hedwigia ciliata (Hedw.) P.Beauv. 톳이끼

Myuriaceae 새이끼과

Myuriopsis sinica (Mitt.) Nog. 새이끼

Anomodontaceae 명주실이끼과

Anomodon giraldii Müll. Hal. 큰명주실이끼

국립공원연구원157

Ⅱ. 연구분야 / 3-2. 식물(선태)

표 Ⅱ-3-2-4. 계속

분류군 국명 1980 2009 2013

Marchantiophyta 태류식물문

Conocephalaceae 패랭이우산이끼과

Conocephalum conicum (L.) Underw. 패랭이우산이끼

Aneuraceae 초록우산대끼과

Aneura pinguis (L.) Dumort. 초록우산대이끼

Porellaceae 세줄이끼과

Porella grandiloba Lindb. 큰세줄이끼

Porella ulophylla (Steph.) S. Hatt. 주름세줄이끼

Porella vernicosa Lindb. 가시세줄이끼

Radulaceae 부채이끼과

Radula cavifolia Hampe 큰잎부채이끼

Radula constricta Steph. 무성아부채이끼

Radula oyamensis Steph. 처녀부채이끼

Frullaniaceae 지네이끼과

Frullania appendiculata Steph. 침지네이끼

Frullania aoshimensis Horik. 국명미상

Frullania davurica Hampe 빨간지네이끼

Frullania densiloba Steph. 가는지네이끼

Frullania diversitexta Steph. 지네이끼

Frullania ericoides (Nees ex Mart.) Mont. 초록지네이끼

Frullania inflata Gottsch. 물가지네이끼

Frullania muscicola Steph 참지네이끼

Frullania parvistipula Steph. 종지네이끼

Frullania pedicellata Steph. 검정지네이끼

Frullania taradakensis Steph. 들지네이끼

Frullania usamienesis Steph. 우사미지네이끼

Lejeuneaceae 작은귀이끼과

Acrolejeuea pusilla (Steph.) Grolle & Gradst. 사슴주름이끼

Cheilolejeunea obtusifolia (Steph.) S. Hatt. 아기사슬이끼

Cololejeunea japonica (Schiffn.) Mizut. 세모귀이끼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158국립공원연구원

표 Ⅱ-3-2-4. 계속

분류군 국명 1980 2009 2013

Dicranolejeunea yoshinagana (S.Hatt.) Mizut. 검정비늘이끼

Lejeuena discreta Lindb. 낫작은귀이끼

Lejeuena japonica Mitt. 작은귀이끼

Lejeuena parva (S. Hatt.) Mizut. 들작은귀이끼

Lejeuena ulicina (Taylor) Gottsche 아기작은귀이끼

Trocholejeunea sandvicensis Mizut. 둥근귀이끼

Neotrichocoleaceae 털이끼과

Trichocoleopsis sacculata (Mitt.) S. Okamura 가시잎이끼

Herbertaceae 쌍갈고리이끼과

Herbertus aduncus (Dicks.) Gray 쌍갈고리이끼

Lophocoleaceae 두끝벼슬이끼과

Chiloscyphus polyanthos (L.) Corda 물비늘이끼

Heteroscyphus planus (Mitt.) Schiffn. 비늘이끼

Lophocolea minor Nees 아기두끝벼슬이끼

Plagiochilaceae 날개이끼과

Pedinophyllum truncatum (Steph.) Inoue 누운날개이끼

Plagiochila hakkodensis Steph. 빗타날개이끼

Plagiochila ovalifolia Mitt. 둥근날개이끼

Plagiochila porelloides (Torrey) Lindenb. 숲날개이끼

Xenochila integrifolia (Mitt.) Inoue 세모날개이끼

Jamesoniellaceae 가을비늘이끼과

Crossogyna autumnalis (DC.) Schljakov 가을비늘이끼

Cephaloziaceae 게발이끼과

Cephaloziella hampeana (Nees) Schiffn. ex Leske 산겉게발이끼

Cephaloziella microphylla (Steph. )Douin 세모겉게발이끼

Cephaloziella spinicaulis Douin 가시겉게발이끼

Cephaloziellaceae 겉게발이끼과

Cylindrocolea recurvifolia (Steph.) Inoue 물겉게발이끼

Scapaniaceae 엄마이끼과

Scapania integerrima Steph. 들엄마이끼

국립공원연구원159

Ⅱ. 연구분야 / 3-2. 식물(선태)

표 Ⅱ-3-2-4. 계속

분류군 국명 1980 2009 2013

Scapania parvitexta Steph. 배루카엄마이끼

Lophoziaceae 갈래잎이끼과

Hattoria yakushimensis (Horik.) R.M. Schust. 하늘이끼

Plicanthus birmensis (Steph.) R.M. Schust. 단풍이끼

Calypogeiaceae 목걸이이끼과

Calypogeia arguta Nees & Mont. ex Nees 아기목걸이이끼

Jungermanniaceae 망울이끼과

Jungermannia atrovirens Dumort. 암록망울이끼

Jungermannia exsertifolia Steph. 심장형망울이끼

Solenostomataceae 둥근망울이끼과

Nardia assamica (Mitt.) Amak. 빨간비늘이끼

Solenostoma fusiformis Steph. 방추형망울이끼

Solenostoma major (S. Hatt.) Bakalin & Vilnet 산둥근망울이끼

Plectocolea erecta Amak. 곧은망울이끼

Plectocolea ovalifolia (Amakawa) Bakalin & Vilnet 누운큰망울이끼

Plectocolea rosulans (Steph.) S. Hatt. 망울이끼

Plectocolea rotundata (Amakawa) S.S. Choi, Bakalin

& B.-Y. Sun 산망울이끼

Gymnomitriaceae 은비늘이끼과

Marsupella tubulosa Steph. 양끝통이끼

Marsupella yakushimensis (Horik.) S. Hatt. 산양끝통이끼

전체종수 22과 35속 64종

1980: 최두문. 1980. 한국동식물도감 「제24권 식물편(선태류)」. 문교부. pp. 790.

2009: Song, J.S. & K. Yamada. 2009. Liverworts from Mt. Kaya (Gaya), South Korea.

Journal of Phytogeography and Taxonomy 57: 35-38.

2013: 최승세. 2013. 한반도 태류와 뿔이끼류의 분류. 2013.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606.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160국립공원연구원

마. 참고문헌

최두문. 1980. 한국동식물도감「제24권 식물편(선태류)」. 문교부.

최승세, VA Bakalin, 김철환, 선병윤. 2012. 한반도 미기록 태류식물. 한국식물분류학 회지 42: 80-90.

최승세. 2013. 한반도 태류와 뿔이끼류의 분류.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환경부·국립생물자원관. 2011. 국가생물종목록집「선태식물」. 국립생물자원관.

Crandall-Stotler B, RE Stotler, DG Long. 2009. Morphology and classification of the Marchantiophyta. In: Goffinet, B. & A.J. Shaw (ed.): Bryophyte B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Goffinet B, WR Buck, AJ Show. 2009. Morphology and classification of the Bryophyta. In: Goffinet, B. & A.J. Shaw (ed.): Bryophyte B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Hallingbäck T, N Hodgetts. 2000. Mosses, Liverworts and Hornwort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for Bryophytes. IUCN.

Iwatsuki Z. 2001. Mosses and Liverwort of Japan. Heibon-sha, Tokyo.(in Japanese).

Kim YH, HJ Hwang. 1991. Korean Spore Plant 8 (Hepaticae). Publiching House of Science on Encyclopodia, Pyongyang.

Simpson MG. 2005. Plant Systematics. Academic Press. London.

Song JS, K Yamada. 2009. Liverworts from Mt. Kaya (Gaya), South Korea.

Journal of Phytogeography and Taxonomy 57: 35-38.

4-1. 포유류 (중·대형)

조사위원

김의경(국립공원연구원)

보 조 원

방기정 ・ 윤광배 ・ 오윤겸

Dalam dokumen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Halaman 19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