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표Ⅰ-2-2)

3) 지질

한반도는 아시아 동부 연변에 위치하므로 아시아 대륙의 지질 및 지체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반도는 대부분 한중지괴에 속하며, 양쯔습곡대와 친링습 곡대의 연장부분이 산동반도를 거쳐 한반도로 연장되고, 북동부는 시코테-알린 조산대, 북쪽은 연변습곡대와 연결된다(그림 Ⅱ-1-26).

그림 Ⅱ-1-25. 한반도와 주변의 지체구조도

한반도에 발달하는 산맥의 방향은 한반도의 지체구조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 방향에 따라 한국방향, 지나(중국)방향, 요동방향 등으로 구분하며, 한 국방향은 북북서 방향, 동해안 해안선, 태백, 낭림, 마천령산맥의 방향과 동일하 다. 지나방향은 북동-남서 방향으로 옥천습곡대, 대보화강암, 묘향, 차령 산맥 등 의 방향과 일치하며, 요동방향은 동-서 방향으로 추가령지구대 이북지역의 산계 와 지질구조선 방향과 일치한다(김, 1982; 조, 2004; 장 등, 1996; 정 등, 2004; 국립 공원관리공단, 2015).

구조구

(tectonic province,

지질구조적 특징을 기준으로 구역화한 것

)

는 암상과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56국립공원연구원

암질, 형성과정과 지사의 공통성과 연속성, 변형작용의 공통성 및 지질구조의 연 속성 등을 기준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기준으로 설정하면 가야산국립공원은 경상 분지17)에 해당된다(그림 Ⅱ-1-26). 따라서 가야산국립공원지역은 주로 소백산육 괴

,

불국사변동 등의 다양한 지구조운동으로 조성되었다

.

그림 Ⅱ-1-26. 한반도의 지체구조도

17) 중생대 퇴적작용으로 형성됨

국립공원연구원57

Ⅱ. 연구분야 / 1. 지형・지질

표 Ⅱ-1-4. 한반도의 조구조(構造區)운동과 특징

시 기 구조 운동 특 징

중생대

불국사변동 동-서 방향 습곡, 주향이동 단층, 화강암 관입 대보조산운동 북동 방향의 습곡, 드러스트 단층운동, 화강암 관입 송림조산운동 북동 방향의 습곡, 드러스트 단층운동,

대동분지 형성

고생대 옥천구조운동 옥천누층군의 변성퇴적암과 화성암류 4회의 변형 작용

전기 원생대 말 춘성변동

소백산 육괴 내 관입활동. 경기육괴 북부 장락층군을 관입한 우백질 화강암의 관입 후 일어난 지각변동.

북부지역 마천령조산운동 전기 원생대 초 초기 장락

지각운동

한반도 대부분 지역이 융기. 21억년에서 22억년 사이에 화성활동. 북부지역에서는 강렬한 습곡작용을 일으킨 중산조산운동

시생대 경기 지각변동

강렬한 조산운동의 흔적은 미약. 북부지역에서는

26억년 내지 25억년 전 조산운동을 연화산조산운동

또는 낭림조산운동이라 부름.

표 Ⅱ-1-5. 한반도의 구조구와 지질 특성

구조구 층서 및 암질 특징 비 고

소백 산 육괴

소백산 지역

선캠브리아 시대로부터 백악기에 이르는 여러 종류의 암층

화강암내 편리구조와 페그마타이트 발달

지리산 지역

백악기 퇴적암류와 화산암류

중생대의 편상 화강암류와 괴상화강암류 고생대의 퇴적암류

시대미상의 변성퇴적암류 선캠브리아 이언의 변성암류

여러 차례의 변형, 변성 작용으로 지질구조 복잡

경상분지

후기 백악기-3기초 화강암류 및 화산암류 백악기 퇴적암류, 화산암류

쥬라기(?) 묘곡층

3개의 지괴(소분지)로

구분

불국사 변동 환동해알칼리

화산지구 플라이오세-플라이스토세 알칼리 암석 제주도-포항 지역 길주-명천 지역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58국립공원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