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Ⅰ-2-2)
2) 조사방법
가) 문헌조사
조사 대상지역에 대한 지형경관은 행정, 지리, 지형적 정보를 지형도를 통해 사 전에 확인하였으며, 조사지역에 대한 격자를 설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문헌정보
(조사지역 및 인접지역의 보고서,
전국자연환경조사 보고서 등)를 통하여 조사대상지역에 대한 지형 및 지질자원의 위치와 정보를 확인하였다. 기존의 문헌정 보, 지리적 상황, 지형적 특징,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조사 경로를 설정하였으며, 2007년도 조사에서 누락된 지역을 중점 조사하였다. 지질분야는 기존의 문헌정보
(
조사지역 및 인접지역의 보고서,
지질조사보고서,
지질자원연구 원 홈페이지 등)를 통하여 조사 대상지역에 대한 지질의 현황 등을 파악하였고, 기타 학술지 논문, 학위논문은 물론 다른 지역 지질정보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 다. 또, 금번 조사에서는 탐방로의 신설 혹은 이설 등을 바탕으로10년 전의 가야
산 지형경관 변화상도 조사하고자 하였다.국립공원연구원❚23
Ⅱ. 연구분야 / 1. 지형・지질
나) 현지조사
현지 조사는 현지 개황조사와 정밀조사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현지 개황조 사는 기존의 지형도
,
지질도 및 문헌조사 등을 통하여 파악된 특별 지형경관 및 지질 등에 대한 위치 파악과 현지 도로망 등을 분석하여 정밀조사 계획의 수립하 였다. 또한 정밀조사는 개황조사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계획을 수립하였다.지형경관에 대한 정밀조사는 현장조사 시 GPS(Garmin)를 이용하여 위치를
TM좌표로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각 지형자원은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되 자원이 갖는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도록 촬영 하였다. 현지조사 시 각 자원들의 위치는 GPS와 지형도로 확인 후 기록하였으며, 표 Ⅱ-1-2의 지형조사 항목 기준 을 적용하였다(국립공원관리공단, 2006, 2012, 2014).
지질분야에 대한 정밀조사는 지형경관과 동일하게 현장조사 시 GPS를 이용하 여 TM좌표로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각 지질 자원은 반드시 디지털 카메라로 촬 영하되 가능하면 사진 상에서 지질정보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촬영하였다
.
현지조사를 통해 확인된 지질 단위의 1:25,000 지형도 상에 표기하고 해당 지질의 자료를 별도의 지질조사표에 기록하였다. 지질조사표는 GPS 좌표와 격자 등 현 장에서 수집된 자료를 기록하였다.여러 가지 지질자원 중 그 자체가 자원으로 이용가치가 있는 것과 다른 자원의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구분하여 기재하였다. 또 경관적 가치가 높은 것과 학술적으로 가치가 높은 것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기술하였다. 뿐만 아니라 경관적 가치가 높은 것은 그 생성기작을 과학적으로 기술하였다.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24❚국립공원연구원
대구분 중구분 지형경관 단위
산지지형
(Mountaineous
Landform)
침식 및 풍화지형
급애(cliff) 암석돔(dome)
판상절리지형(sheeting joint landform) 수직절리지형
(vertical joint landform)
토르(tor)악지(badland)
고위평탄면(high rank planated surface) 고립구릉(isolated dome)
권곡(kar or cirque) 설식와지(nivation hollow) 풍화동굴(cave)
그루브
(groove)
나마(gnamma) 산지타포니(tafoni) 단층(선)곡(fault valley) 삼각말단면(triangular facet)퇴적지형
구조토(patterned ground) 암괴류(block stream) 암괴원(block field) 애추(talus or talus cone) 산지습지(montane wetland) 표 Ⅱ-1-2. 지형조사 항목
국립공원연구원❚25
Ⅱ. 연구분야 / 1. 지형・지질
대구분 중구분 지형경관 단위
평지 및 하천지형
(Plain and Stream
related Landform)
침식지형
폭포
(water fall)
폭호(plunge pool) 포트홀(pothole)
소(pool)감입곡류구간(incised meander) 미앤더코어(meander core) 협곡(canyon or gorge) 하식애(stream cliff) 하식동(stream cave)
퇴적지형
삼각주(delta or delta fan) 선상지(alluvial fan)
하성충적지(fluvial deposits) 포인트바(point bar)
자연제방(natural levee) 하중도(mid-channel island) 사력퇴적지(bar)
구하도(old channel)
yazoo
하도(yazoo stream) 우각호(oz-bow lake) 천정천(영문)망류하도구간(braided stream) 지류습지(branch marsh) 배후습지(back marsh)
구분류습지(interrupt tributary wetland) 하안단구(fluvial terrace)
호소성 습지(lacustrine wetland) 용천(spring)
카르스트지형
(Karst Landform)
돌리네(doline) 우발라(uvala)
자연교(natural bridge)
카렌 또는 라피에(karren or lappie)
카르스트 건곡(blind valley or sinking creek) 카르스트 용천(karst spring)
표 Ⅱ-1-2. 계속
2016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26❚국립공원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