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Korea I Korea I 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1. 기존 한미동맹 평가

한국전쟁 이후 한국 안보의 중심축으로 존재해 온 한미동맹은

1953년 10월 체결되고 이듬해 11월 발효된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

의 상호방위조약(이하 한미상호방위조약)’에 근거한다. 이 조약의

제2조와 제3조에서 한미는 어느 일국이 외부로부터 무력공격 위협

을 받고 있다고 인정될 때 서로 협의할 것이며, 무력공격을 방지하

기 위해 적절한 수단을 지속하고 강화시킬 것이며, 타당사국 영토에

대한 태평양지역에 있어서의 무력공격을 자국의 평화를 위태롭게

하는 것이라 인정하고 각자의 헌법상 절차에 따라 행동할 것임을 선

언했다.218) 또한 제4조에서는 미군의 대한민국 영토 내 및 그 부근

배치 권리에 합의하였다. 이와 같이 한미상호방위조약은 한미동맹

의 목적이 무력공격에 대한 방지 혹은 대비 그리고 무력공격을 받을

경우 그에 대한 대처임을 뚜렷이 밝힌다. 이 목적이 곧 주한미군 주 둔의 본원적 이유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체결된 한미동맹은 그동안 수차례의 조정

을 거치면서 변화의 과정을 밟아왔다. 제도화 측면에서 가장 뚜렷한

변화는 1978년 한미연합사령부(Combined Forces Command:

CFC)의 창설이었으며, 이 변화의 주된 배경은 1975년 11월 유엔총

회에서의 유엔사령부 해체 결의안 통과였다. 1974년 이후 북한은 북

미평화협정 체결, 주한미군 철수, 유엔사령부 해체를 적극 주장했으 며, 이 주장은 1975년 제30차 유엔총회의 주된 이슈가 되었고, 조건

적(선 정전협정 대체 협상 돌입 및 첫 조치로서 정전협정 유지를 위

한 장치 마련) 혹은 무조건적 유엔사 해체 및 외국군 철수를 각각

내용으로 담은 두 개의 결의안이 동시에 통과되기에 이르렀다.219)

결국 한미는 작전통제권을 보유한 유엔사의 해체에 대비해야 했고,

그 결과 한미연합사가 창설되었다. 1978년 이후 한미연합방위체계

218)한미상호방위조약 원문의 내용 요약재정리.

219)조성렬, 󰡔한반도 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 (서울: 푸른나무, 2007), p. 318; 임수호,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의 역사적 경험과 쟁점,” 󰡔한국정치

는 실질적 작전권을 가진 한미연합사 그리고 협의 기구인 한미안보 협의회의(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SCM)와 한미군사위원 회(Military Committee Meeting: MCM)를 중심으로 구성‧운영되 었으며, 이는 곧 한미동맹의 제도적 기반 강화를 의미했다.220) 결과

적으로 북한의 평화협정 체결 및 유엔사 해체 주장이 역설적으로 한

미동맹을 제도적으로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미동맹은 2000년대에 다시 중요한 조정기를 맞는다. 노무현 정 부는 ‘협력적 자주국방’ 정책 기조하에 전시작전권 환수를 추진하였 고, 2007년 2월 한미 국방장관은 2012년 4월 17일 자로 전시작전권을

전환하고 한미연합사를 해체하는 데 합의하였다. 물론 전시작전권

전환은 한국의 요구에 의한 것만은 아니었고, 미국의 전략이 함께

반영된 것이었다. 테러리즘과 WMD(Weapons of Mass Destruction, 대량살상무기) 확산을 주된 위협으로 규정한 부시 행정부의 안보전 략은 기존 지역별 전구체계의 전 지구적 단일체계로의 전환을 도모

하면서 해외미군의 재배치 및 신속기동군화 계획을 발표하였다.221)

이 계획은 주한미군의 해외작전 수행을 가능케 하는 전략적 유연성

추진을 요구했고, 전략적 유연성을 제약받지 않기 위해서는 전시작

전권 전환이 필요했다.222) 즉 노무현 정부 시기 동맹 재조정의 핵심

적 사안이었던 전시작전권 전환은 한국의 자주국방 정책과 미국의

안보전략 변환 사이에 합의된 산물이었다.223)

220) 이수형, “한미동맹 60주년의 성찰: 포괄적 전략동맹으로의 변화와 과제,” 󰡔군사연 구󰡕, 제135호 (2013), pp. 73~97.

221) U.S. Department of Defense, Quadrennial Defense Review, (February 2006).

222)한미연합사 체계하에서 주한미군의 해외 작전 수행은 절차상 한국 대통령과 미국 대통령의 동시 승인을 필요로 한다. 다음 참조. 조성렬, 󰡔한반도 평화체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체제의 전망󰡕, pp. 310~311.

223)이상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한미동맹의 제 문제: 외교적, 법적 문제를 중심으 로,” 󰡔군사논단󰡕, 제50호 (2007), pp. 68~93.

그러나 노무현 정부 이후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전시작전권 환수

를 비롯하여 이전 정부의 상대적으로 자주적인 대미정책이 한미동

맹의 약화를 초래하고 한국의 안보를 더욱 위험에 처하게 했다고 진

단했다. 이러한 진단은 북한의 지속적인 핵개발과 더불어 이른바

‘한미동맹복원정책’ 추진의 배경이 되었다.224) 이 같은 진단과 정책

은 박근혜 정부에서도 동일하게 이어졌다. 결국 전시작전권 전환은

이명박 정부 시기 ‘아직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2015년 12월

로 연기되었고, 박근혜 정부 시기 사실상 무기한 연기되었다.

또한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 한미는 포괄적 전략동맹을 선언하

고 글로벌(global) 파트너십을 추구하면서 동맹 강화를 추진했다.

2009년 6월 한미 정상은 공동선언을 통해 “공통의 가치와 상호 신뢰

에 기초하여 지역적, 지구적 범위의 포괄적 전략 동맹을 구축”할 것

임을 천명하였다.225) 더 나아가서 2013년 5월 한미 정상은 포괄적 전략 동맹의 기조하에 글로벌 파트너십을 구축할 것을 강조하는 가 운데 핵안보, 비확산, 테러리즘, 사이버안보, 에너지안보, 인권, 개

발협력, 기후변화 등의 이슈에 대한 공동대응을 강화할 것임을 밝혔

다.226) 가치동맹과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은 이전의 한미 정상 선언

에서 볼 수 없었던 것으로서, 한미동맹이 당면 안보 위협에 대한 대 응을 넘어서 가치‧이념 기반의 협력을 추구하며 지구적 수준으로

그 역할을 확장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227)

224) 이수훈. “한미동맹복원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과 국제정치󰡕, 제24권 4호 (2013), pp. 1~26.

225) The White House, “Joint Vision for the Allianc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Republic of Korea,” (The White House, June 16, 2009).

226) The White House, “Joint Declaration in Commemoration of the 60th Anniversary of the Alliance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 of America,” (The White House, May 7, 2013).

227)김상기 외,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동아시아 전략환경 변화와 한국의 대응󰡕(서

이와 같은 변화의 과정을 밟아온 한미동맹의 성과와 한계는 무엇

인가? 이에 대한 답은 평가의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한국의

이익 관점에서 한미동맹 본연의 목적인 한국의 안보와 평화유지에

대한 기여를 기준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한미동맹은 한반도에

서 전쟁의 발생을 억지하는 중요한 기제로서 역할을 해왔다는 점에

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주지하듯이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후 최근까지 한반도에서 남북한이 군사적으로 첨예하게 대립하는 상황에서도 대규모 전쟁은 재발하지 않았다. 특히 한국이 상대적으

로 군사적 열세에 처했던 1970년대까지 한미동맹은 대북 세력균형

을 위한 중요한 방편이 되었고,228)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취지에 부

합하는 북한의 대남 공격 가능성 차단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또

한 미국의 한미동맹 체결 이유 중 하나는 이승만 정권의 북침 가능성

차단이었다는 점도 함께 상기할 필요가 있다. 물론 한미동맹 부재에 서의 상황을 검증할 방법은 없지만, 그것이 한미동맹이 한반도에서 전쟁 재발을 억제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부인할 이유가 되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한미동맹은 특히 1990년대 이후 북한의 핵

개발과 더불어 한반도 안보딜레마의 중요한 요인이 되는 한계를 보

여 왔다. 한국과 미국은 한미동맹 강화의 주된 목적이 북한의 군사

적 위협에 대한 억지 혹은 방어라고 주장하지만, 북한은 한미동맹을

자신의 체제안전을 위협하는 존재로 인식하며, 이러한 인식은 북한

핵개발의 주된 목적과 밀접하게 관련된다.229) 북한은 특히 키리졸

228)한국의 군사력은 1980년대 초반에 북한을 추월하기 시작했다고 평가된다. 이와 관 련하여 다음 참조. 함택영, “북한 군사력 및 군사위협 평가 재론,” 󰡔현대북한연구󰡕, 제7권 3호 (2005), pp. 53~96; 이정우, “북한의 재래식 군사력 평가와 대남 군사위 협의 변화,” 󰡔현대북한연구󰡕, 제17권 2호 (2014), pp. 296~331.

229)박인휘, “북핵 20년과 한미동맹: ‘주어진’ 분단 vs. ‘선택적’ 분단,” 󰡔국제정치논총󰡕, 제53집 3호 (2013), pp. 181~208.

브(Key Resolve)-독수리 훈련, 을지 프리덤 가디언(Ulchi-Freedom

Guardian) 훈련과 같은 한미연합군사훈련 그리고 미국 핵전략 자산

의 한반도 전개 등에 대해 북침 전쟁연습이라고 비난하면서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해왔다. 이러한 북한의 반응은 한미 양국이 북한이 전쟁

억제용이라 주장하면서 개발하는 핵무기를 중대한 위협으로 간주하

는 것과 유사하다. 한 국가가 자신의 안전을 위해서 무력을 증강하

더라도 상대국은 위협으로 인식하고, 결과적으로 쌍방이 모두 무력

증강에 나서면서 안보의 불안정성이 높아지고 평화가 위협받는 전

형적인 안보딜레마가 한반도에서 발생되어왔다고 볼 수 있다.230)

따라서 한미동맹은 한반도에서 전쟁을 억지하는 긍정적 역할을 수

행해왔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안보딜레마의 발생과 그에 따른 군사

적 긴장 고조의 한 요인으로 작용해왔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위와 같은 평가와 더불어 최근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전까지) 한

미동맹의 강화가 한국의 안보와 한반도 평화유지 목적보다 지구적,

지역적 차원에서 미국의 전략적 이해를 더욱 크게 반영하는 경향이

있어왔다는 점도 중요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향은 대외

관계에서 한미동맹 우선주의를 추구한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박근

혜 정부 시기까지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009년과 2013년의

한미 간 ‘포괄적 전략적 동맹관계 선언’ 그리고 ‘글로벌 파트너십’ 구

축 선언은 사실 북한의 위협 억지라는 한미동맹에 관한 한국의 본원

적 필요성과는 거리가 멀며,231) 지역적/지구적 차원에서 패권전략

230) Robert Jervis, “Cooperation under the Security Dilemma,” World Politics, vol. 30, no. 2 (1978), pp. 167~214; Charles L. Glaser, “The Security Dilemma Revisited,” World Politics, vol. 50, no. 1 (1997), pp. 171~201.

231)김성한,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한미관계의 방향,” 󰡔신아세아󰡕, 제24권 1호 (2017), pp. 11~28; Patrick M. Cronin and Seongwon Lee, “Expanding South Korea’s Security Role in the Asia-Pacific Region,”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March, 2017; 김상기 외,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동아시아 전략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