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한미관계 - DSpace at KINU - 통일연구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한미관계 - DSpace at KINU - 통일연구원"

Copied!
256
0
0

Teks penuh

연구책임자: 김상기(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 공동연구자: 홍민(통일연구원 연구위원) 통일연구원에서 발행하는 출판물은 전국 주요 서점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요 약

Building a peace regime on the Peninsula requires a clear reduction or resolution of threats posed by Pyongyang, thus involving a realignment of the traditional ROK-U.S. In additi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develop its North Korea policy in cooperative security for the arms control of the two Koreas.

Korea I 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연구 배경과 목적

이처럼 한반도 평화체제의 구축은 한미관계의 변화를 동반하게 될 것입니다. 셋째,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한미동맹이다.

또한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체제, 그리고 기존의 한미동맹. Ⅴ장은 한반도 평화체제를 위한 한미동맹 재조정의 방향과 결과이다.

한반도 평화체제의 개념과 조건 10)

혹은 안정된 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북한은 아직 평화협정을 체결하지 않았다.

평화체제 및 비핵화의 전망 42)

두 번째는 점진적이고 선택적인 비활성화입니다. 무력화)는 실용적인 비핵화 전략이다.43) 미국. 비핵화를 촉진하기 위해 점진적인 제재 해제라는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57)

정전체제의 기원

70) 따라서 전쟁 중에 시작된 정전협상의 실제 주체는 미국과 중국이었다.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였다.76) 주한미군기지. 그러나 그는 클라크가 서명하는 것을 보았다.80) 결국 한국은 정전협정에 참여하지 않았다.

아프리카 공화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가 참여하는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다자회담이었습니다. 84) 이번 정치회의에서 남한은 UN 주관 하에 남북 총회가 열렸습니다.

냉전시대 한반도 안보딜레마와 핵문제

이는 북한, 중국, 소련 사이에 중국인민지원군 철수가 논의되던 때였다.94) 한미동맹이 강화됨에도 불구하고 중국인민지원군 철수가 논의된 이유는 펑 중국인민지원군 사령관 더화이(德懷)는 소련의 미코얀(Mikoyan)이었다. 사실상의 핵우산 제공으로 '균형'. 이를 위해 '국제체제'로서 평화지대 건설이라는 대안을 제시했습니다. 북한은 평화지대가 “핵무기와 로켓무기 없는 지대”이며 이 지역 인민들의 반제연대를 통해 만들어질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국방력을 강화하기 위한 결정이었고, 핵실험금지조약이 체결되자 북한은 비확산 금지 조치를 중국을 비롯한 사회주의 국가들의 핵 보유를 막기 위한 조치로 해석했다.

111) 유엔사령부가 한미연합사령부에 작전통제권을 부여하였다.

탈냉전시대 한반도 안보딜레마와 핵문제

이번 사건에 이해관계가 있는 한국과 미국이 내린 결정이다. 그는 “한반도의 불안정한 휴전 상황을 확고한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것이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 과정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은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자국에 대한 위협으로 규정하고 있다.

(127) 또 다른 요구 사항은 첫째, 한국에서는 “수입되었으나 인정도 거부도 되지 않는 미국 핵무기를 시작으로 모든 핵무기를 공개해야 한다”는 것이고, 둘째, 한국에서는 “모든 핵무기와 그 기지를 공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공개해야 한다” 셋째, “미국이 다시는 핵타격을 감행하지 않을 것, 즉 핵타격을 한반도와 그 주변지역에 정기적으로 전개하는 일이 없도록 보장해야 한다”, 넷째, “어떤 경우에도 결코 핵타격을 가하지 않을 것”이다. 핵무기를 사용하거나 핵무기를 사용하는 전쟁이 있습니다.” “우리는 공화국을 향해 핵무기를 사용하거나 행동으로 위협하지 않을 것임을 확언해야 합니다.”

비핵화 ‧ 평화체제 협상과 한국정부의 트릴레마

이로 인해 비핵화와 평화체제가 의제로 올라갔습니다. 평창임시평화체제. 132) 더 많은 사실은 확인이 필요하지만 미국 언론인 CNN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를 ​​몇 주 앞두고 주한미군 가족들에게 철수 준비를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도발적'이었다고 인정하면서 이를 중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142) 한미 연합군사훈련.

한반도 평화체제를 둘러싼 또 다른 이슈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평창임시평화체제로 인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길은 판도라의 상자가 열리는 협상과정이 될 것이다.

탈냉전 미국 패권과 한미 전략 동맹

구체적으로 트럼프의 정치적 승리는 냉전 이후 미국의 손실이다. 냉전은 미국의 외교정책 전략이었다. 한국은 대외무역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미국이 주도하는 'WTO 체제'에 속해 있다.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미국 독점은 탈냉전 한국의 정치 지형을 반영한다.

트럼프의 국가안보전략

헤게모니 전략으로서 미국의 국가 이익은 미국 국가 안보 전략의 기초입니다. 트럼프의 국가안보전략은 패권논리의 핵심인 미국과 이익의 조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트럼프의 '복지증진'은 미국이 구축한 자유주의 국제경제체제다.

트럼프의 America First 전략은 동맹국들에게는 말이 되지 않습니다.

트럼프 시대 한미동맹

모토는 "우리는 세계주의 대신 애국주의 교리를 받아들인다"이다. 제품에 수입관세를 부과하거나 수입량을 제한하는 무역장벽이다.200) 일반적으로 국제무역에서는 대등한 관계에 있는 두 국가 간의 이익 교환 원칙에 기초한 관세를 의미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201)

미국 주류의 미지근한 공격을 고려할 때, 펜스가 중국의 위협을 관세 보복을 통한 미국 내정 간섭으로 정의한 것은 의미가 크다.215)

기존 한미동맹 평가

이처럼 한미상호방위조약은 한미동맹이다. 한미동맹 강화의 주요 목표는 북한군 전력 강화다. 따라서 한미동맹은 한반도 전쟁억제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한미동맹 강화는 한국 외교정책의 일환이다.

한미동맹 재조정의 기본 방향

구축에는 한미동맹의 재편이 필요합니다.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한미동맹은 어떤 방향으로 조정되어야 할까요? 향후 한미동맹 재조정은 대북 인식의 변화로 이어질 것이다.

이에 따라 한미동맹 재편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 과제

254) 작전통제권은 유엔사령부로 이관되었다. 안보리와 한미군사위는 전략대화체제로 계속 유지되며 한미군사협력본부를 관리하게 된다.260) 새로운 한미연합방위체제를 구축하려는 이 계획은 달성되지 못하였지만, 대한민국의 리더십. 주한미군 문제는 전통적으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연계돼 왔다.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 또는 평화체제 구축 이후 주한미군이 주둔하는 경우.

Referensi

Dokumen terkait

∙ “예비수강신청”의 목적 - 수강신청방법의 개선을 통한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예비수강신청 과목 중에서 선택하여 본수강신청 우선 가능 - 예비수강신청을 통한 과목에 대한 수요조사 영어 및 BDU 사이버강좌를 제외한 모든 과목은 정원 제한이 없으므로 실제 수강과목 수요조사 기대, 이를 통한 분반 조절 가능... ∙ 예비수강신청에

-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국제원자력기구IAEA 의 아마노 유키야 사무총장이 최근 북한의 영변 재처리 시설 재가동 가능성을 제기한 것을 평가해달라는 요청에 중국의 ‘한반도 문제에 대한 3원칙’한반도 비핵 화, 한반도의 평화 안정,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을 재차 강조하며 이같이 말함.. - 아마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