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의 경우 다른 국가를 목적지로 의도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중국 을 거쳤음은 확인되므로, “불가항력이나 기타 긴급한 사정으로 인해 임 시 입국이 필요한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처리된다.
경자에 인도주의적 지원을 제공했고, 미얀마의 국내정치적 상황이 완화 되는 대로 이들의 자발적 본국 귀한을 촉구했다. 그 구체적 이유는 다음 과 같았다.
중국에는 한족 이외에 총 55개의 소수 민족이 있다.(54) 그중에 중국 윈 남성에서 사는 소수 민족 중 하나인 중국 징푸어족(中国景颇族)은 미얀 마 월경자인 미얀마 크어친족(缅甸克钦族)과 국경을 접하는데, 이들은 서 로 혈통도 같고 언어도 통하며 같은 퐁속, 문화, 종교 신앙을 가진다. 미 얀마 크어친족은 독립자치상태를 유지했으며, 1961년에 크어친 독립군을 성립했다. 그 후 미얀마 국내의 무력 충돌 상태가 계속되는 불안정한 상 황 속에서 수많은 월경자가 중국과 미얀마 국경 근처에서 발생하였다.
대표적으로, 2014년 6월에 발발한 미얀마 정부군과 크어친 독립군
(Kachin Independence Army, KIA)간 전쟁으로 인해 천여 명의 크어친 족 사람들이 고향을 잃었으며, 이를 피해 국경을 넘어 중국 징푸어족에 게 갔다. 이에 대한 중국 정부의 태도는 다음과 같았다.
“Most (of the Kachin from Burma) come to visit friends and relatives…. Through our(중국 정부) channels, they have been able to be housed by their relatives. ... We have used a humanitarian approach based on the principle of good neighborliness. Our local government and border community have also provided necessary assistance.”(55)
(54) 2010년 제6차 중국 전국 인구 조사(第6次全国人口普查)의 결과는 한족 12,2084만 명, 총인구의 91.51%의 비율이고, 조선족은 183만명, 징푸어족은 14만명으로 나왔다.
(55) Yunnan Provincial Security Department Director Meng Sutie, referring to Kachin refugees as “border residents,” March 10, 2012. Human Rights Watch, “Isolated in Yunnan: Kachin Refugees from Burma in China’s Yunnan Province”,
https://www.hrw.org/report/2012/06/25/isolated-yunnan/kachin-refugees-burma-chinas- yunnan-province
즉, 미얀마 월경자의 경우, 당시 발생한 무력충돌로 인해 해당 지역의 불안정 정도가 상당했으며, 이로 인한 월경자들 생명의 위협도 있었으므 로, 인도주의적 차원에서의 긴급조치 및 부상자 구조가 행해진 것이다.
또한, 미얀마 월경자가 난민에 해당하는지의 문제에 있어서, 중국은 미 얀마 무장 충돌로 인해 대규모로 유입된 미얀마 국민을 협약 난민으로 대우하지 않는다.(56) 이는 일부 미얀마 사람들은 신변 안전의 이유로 일 시적으로 중국에 입국하며, 미얀마 국내 상황이 나아진 후 즉시 미얀마 로 돌아간다는 판단에 따른 처리였다.(57) 또, 1951년 난민협약에 따르면
“인종, 종교, 국적, 특정 사회 집단의 구성원 신분 또는 정치적 의견을 이유”(58)만으로 입경하는 경우 중국에서 난민으로 인정한다. 따라서 무력 충돌로 인해 중국에 진입한 대규모의 미얀마 월경자는 난민의 정의를 충 족시키지 못하므로 난민이 아니다.
반면, 중국 주재 UNHCR은 미얀마 월경자를 난민이라고 인정하며 이 는 가장 광범위한 난민 개념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59) 이 같은 중국과
(56) 중국 공공기관에 의한 “난민”용어의 정의는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외교부의 경 우 주로 “협약난민”을 의미하고, 지방 정부의 경우 주로 “일반사람이 이해하는 도움을 필요한 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57) 2012年2月10日, 외교부 대변인 刘为民 정례기자회견을 사회한다. 중국 외교부 공식 사이트http://www.fmprc.gov.cn/web/fyrbt_673021/jzhsl_673025/t903749.shtml.참조.(중
국어 원문: 问:据报道,有许多缅甸民众为躲避战事越过中缅边境进入云南,请介绍有
关情况,中方采取了哪些救济措施?答:一些媒体报道大量缅甸“难民”涌入中缅边境 中方一侧,经核实,这些报道与事实不符。近来,由于缅政府军同个别少数民族地方武 装之间不时发生零星交火,一些缅甸边民出于安全考虑暂时进入中国境内,局势平息后 就立即返回缅甸。这些人不是难民,人数也远没有外界报道的那么多。中缅是友好邻 邦,中方处理此事时始终秉持人道主义精神,向入境的缅甸边民提供了必要的生活便 利。缅甸少数民族地方武装组织问题由来已久,是缅内部事务。中方一直敦促缅国内有 关各方通过和平谈判协商解决有关问题,以有效维护中缅边境地区和平与安宁。)
(58) 1951년 난민협약 제1조 A(2).
(59) 刘国福,《中国难民法》, p.214.
UNHCR의 입장 차이는 각 나라에서 인정되는 난민의 개념 범위가 UNHCR이 주장하는 난민의 범위와는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중국의 경우 1951년 난민협약 및 1967년 채택된 ‘난민 지위에 관한 의정서 (Protocol Relating to the Statue of Refugees: 난민 의정서)’에서 규율하 는 협의의 협약 난민 개념만을 인정하고 있다. 난민 인정의 권한과 절차 는 국제법상 통일된 표준과 규범은 없고 각 국가한테 맡겨져 있다. 이러 한 국제법의 헛 점을 틈타 중국은 미얀마 월경자를 비롯한 탈북자 등 사 람들을 협약 난민으로 인정하지 않는 행위가 자국의 사법적 주권의 행사 라고 주장해 왔다.
일부 미얀마 월경자가 중국 정부로부터 인도주의적 지원을 받고 나머 지 대부분은 중국 징푸어족에 도움을 구하는 경우가 더 일반적이다. 또 한, 이들이 중국 정부 당국에 “인도주의적 지원”을 받은 적이 없다는 증 언이 상당수 확인된다.(60) 이러한 미얀마 월경자와 탈북자의 경우, 정치 적 이유로 인해 박해받았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중국법상 인도차이나 난민에게 주어진 난민 지위를 누리지 못했다. 탈북자와 미얀마 월경자의 상황이 어느 정도 비슷함을 고려할 때, 이 두 사안을 비교 연구하는 것 도 의미 있을 것이다. 그러나 미얀마 월경자와 달리 탈북자의 경우 전쟁 같은 무력 충돌의 요소가 없으므로, 이 같은 긴급조치보다는 사회질서 유지의 요소가 강력히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과연 미얀마 월경자를 처 리하는 법적 근거인 긴급상황대응법을 탈북자에 적용하여 이들의 보호 가능성을 도출할 수 있을지의 여부를 제5장 제1절에서 검토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