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에게 일상생활에서 요구되는 라이프스킬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노 인라이프스킬의 구성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65세~84세 노인들을 대 상으로 심층면담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라이프스킬과 관련된 문헌 고찰과 수집된 자료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노인라이프스킬을 구성하 는 개념들로 정립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생명윤리 심의위원회(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 SNUIRB)로부터 승인심의 를 받아 실시하였다(승인번호 IRB No. 2209/002-017).
1. 연구 참여자
1) 심층 면담 참여자
노인라이프스킬의 구성개념을 탐색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65세~84세에 해당하는 노인들을 목적적 표집 방법을 통해 심층 면담 대 상자로 선정하였다. 노인의 기준점을 65세 이상으로 정한 것은 노인복지 법 기준연령에 근거하였으며, 상한 연령을 84세로 한정한 것은 노년기 확 장으로 인해 노인의 연령 기준을 세분화하는데 85세 이상을 초고령 노인 (the oldest old)으로 규정하기 때문이다(Baltes & Smith, 2003;
Gonyea, 2010). 의식이 명료하고 실제로 이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노 인을 고려했을 때, 초고령 노인(the oldest old)을 제외한 연소 노인 (young old)과 노인(old-old)에 해당하는 연령인 84세까지가 적합할 것 으로 판단하여 상한 연령을 84세까지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노인의 연령 기준에 대한 근거를 바탕으로 노인들에게 적용되는 라이프스킬을 파악하기
위해 대상자의 성별, 연령의 비율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성하고자 노력하 였다.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노인라이프스킬의 개념에 대한 설명, 연구 의 목적과 방법 등에 관련해 구체적이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였으며, 연 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과정을 거쳐 총 17명(남성 8명, 여성 9명) 의 노인 심층 면담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심층 면담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 의 특성은 다음의 표 4와 같다.
참여자 성별 연령 동거형태 건강상태 생활수준
A 남 80 부부 좋음 좋음
B 여 70 부부 좋음 매우 좋음
C 여 68 부부 좋음 보통
D 남 70 부부 좋음 보통
E 남 67 부부 보통 좋음
F 여 66 부부 좋음 좋음
G 남 67 부부 보통 보통
H 남 69 부부 좋음 보통
I 남 77 부부 보통 좋음
J 여 67 부부 좋음 좋음
K 여 73 부부 보통 좋음
L 여 75 미혼자녀 좋음 좋음
M 여 74 혼자 좋음 보통
N 남 83 부부 보통 좋음
O 여 84 혼자 보통 보통
P 여 74 부부 좋음 보통
Q 남 65 부부 매우 좋음 좋음
표 4. 심층 면담 참여자 특성
2) 개방형 설문 참여자
노인라이프스킬에 대한 더욱 다양한 의견과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65 세~84세에 해당하는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성별, 연령 등에서 다양한 특성을 가진 노인참여자를 목적적 표 집 방법을 통해 선정하였다. 이후 수집된 자료 중 답변 내용이 미비하거나 미기재된 답변이 많은 9부는 제외하고 총 91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 다. 개방형 설문 참여자의 특성은 다음의 표 5와 같다.
분류 구분 인원(명) 백분율(%)
성별 여성 63 69.2
남성 28 30.8
연령
65~69 26 28.6
70~74 27 29.7
75~79 23 25.3
80~84 15 16.5
평균(SD) 73.51(SD=5.256)
동거형태
혼자 18 19.8
배우자 59 64.8
미혼자녀 7 7.7
기혼자녀 6 6.6
기혼자녀와 손자 1 1.1
평균(SD) 2.04(SD=.802)
신체적 건강상태
매우 건강하지 않다 4 4.4
건강하지 않다 7 7.7
보통이다 35 38.5
건강하다 36 39.6
매우 건강하다 9 9.9
평균(SD) 3.43(SD=.933)
심리적 건강상태
매우 건강하지 않다 1 1.1
건강하지 않다 6 6.6
보통이다 32 35.2
건강하다 38 41.8
매우 건강하다 14 15.4
평균(SD) 3.64(SD=.863)
교육수준
무학 0 0
초졸 2 2.2
중졸 13 14.3
고졸 29 31.9
대졸 37 40.7
대학원 이상 10 11.0
평균(SD) 4.44(SD=.945)
생활수준
아주 나쁘다 0 0
나쁘다 7 7.7
보통이다 50 54.9
좋다 28 30.8
아주 좋다 6 6.6
평균(SD) 3.36(SD=.723)
표 5. 개방형 설문 참여자 특성 (n=91)
2. 연구절차
1) 문헌고찰
노인의 라이프스킬 구성개념을 탐색하기 위해 현재까지 연구되어온 노 인라이프스킬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문헌고찰 과정에서는 라 이프스킬, 스포츠 라이프스킬, 노인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사회적 변인, 노인의 성공적 노화 등과 관련한 여러 가지 문헌을 살펴봄으로써 보 다 깊이 있는 탐색을 하고자 노력하였다. 문헌고찰 과정 이후 추출한 내용 과 전문가 회의 내용을 바탕으로 심층 면담과 개방형 설문에 대한 전반적 인 내용을 구성하였다.
2) 심층 면담
노인의 라이프스킬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65세~84세의 노인 17명(남성 8명, 여성 9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심층면담을 실시하 였다. 미리 제작한 질문사항을 토대로 진행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연구참 여자에게 추가적인 질문을 하였다. 심층면담은 연구참여자로 선정된 노인 참여자를 대상으로 약 50~60분 동안 연구자와 1:1 대면 면담으로 진행 되었다. 심층면담을 실시하기 전 라이프스킬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해하기 쉽도록 신체·심리·사회적 영역의 라이프스킬에 관해 예시를 들어 설명하였 으며, 그 이후 연구에 관한 설명문을 제시하고, 연구 참여 동의서에 서명 을 받고 난 후 본격적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명문에는 라이프스킬의 개 념, 연구의 목적 및 의의, 연구절차, 자료보관 방법 등에 대해 설명을 기 재하였으며, 동의서에는 자발적 참여, 자료 활용, 녹취, 연구 참여 시 보 상 등에 관련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심층 면담 시 라이프스킬이라는 용어 는 참여자들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생활 기술’, ‘삶의 지혜’ 등의 용어로 대체하여 질문하였으며, 성공적 노화와 관련한 내용을 질문하는 경우 ‘멋지게 늙어가는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와 같은 이 해하기 쉬운 문장으로 변경하여 질문하였다. 또한 일상적인 대화로 시작하
여 참여자가 최대한 편안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였고, 좀 더 심층적인 답변이 나올 수 있도록 참여자의 상황에 따라 질문사항을 유동적 으로 변경하여 제시하였다. 면담 시간은 참여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대 60분을 넘지 않도록 하였으며, 추가적인 질문이 있는 경우는 일정을 재조 율하여 추가 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 면담 내용을 기록하기 위해 휴대전 화의 녹음기능을 이용해 녹취하였으며, 녹음 내용은 한글 프로그램을 통해 전사하였다. 심층 면담의 내용은 노인라이프스킬의 개념과 노인라이프스킬 의 구성요인을 묻는 문항, 노인라이프스킬의 유지 및 발전에 대해 묻는 문 항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3) 개방형 설문조사
개방형 설문조사는 노인라이프스킬에 대해 좀 더 다층적이고 심도 있는 의견을 수집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개방형 설문 전 노인의 특성을 감안하 여 참여자가 연구주제에 대한 개념 및 목적에 대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 록 예시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며, 노화로 인하여 글을 보는 것이 힘들거 나 설문을 작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참여자의 경우는 직접 설문 문항을 읽어주고 참여자의 답변을 대신 받아 적어 기재하였다. 개방형 설문조사의 내용은 심층 면담과 동일하게 구성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의 표 6 과 같다.
구분 질문 내용
노인라이프스킬 개념
청소년에게 적용되는 라이프스킬과 노인라이프스킬은 어떤 점에서 다를까요?
노인라이프스킬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노인라이프스킬 구성요인
노인들에게 가장 필요한 라이프스킬은 무엇일까요?
노인들에게 신체적으로 필요한 라이프스킬은 무엇일까요?
노인들에게 심리적으로 필요한 라이프스킬은 무엇일까요?
노인들에게 사회적으로 필요한 라이프스킬은 무엇일까요?
신체적 건강에 따라 가장 필요한 라이프스킬은 어떻게 다를까요?
노인라이프스킬 유지 및 발전
자신이 가장 자신이 있는 라이프스킬은 무엇인가요?
가장 자신이 있는 라이프스킬을 유지 및 발전시키기 위해 자신만의 어떤 노력이나 방법이 있나요?
본인이 생각하기에 성공적인 노화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성공적인 노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계신가요?
자신이 현재 가장 습득하고 싶은 라이프스킬은 무엇인가요?
자신이 현재 가장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라이프스킬은 무엇인가요?
자신이 가장 습득하고 싶거나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라이프스킬을 어떻게 하면 내 것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기타 노인라이프스킬을 위해서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는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표 6. 심층 면담과 개방형 설문의 질문 내용
3. 자료분석
심층 면담과 개방형 설문을 통해 수집된 원자료는 Creswell(2007)이 제시한 질적연구 방법론을 바탕으로 개방형 코딩 과정을 거쳐 주요 세부적 인 개념들을 도출하고, 이 개념의 공통적인 의미를 묶어 주제별 분류와 범 주화하는 귀납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자가 분석한 자료는 전문가 회 의를 통해 수정 및 보완하는 절차를 거쳐 분석을 진행하였다.
심층 면담 시 휴대폰의 녹음기능을 활용하였으며, 녹취한 심층 면담 내 용은 전사하여 문서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전사 시 최대한 연구 참여자가 응답한 내용을 있는 그대로 왜곡하지 않고 담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응답 내용을 참여자가 의도한 대로 전달하되 어법의 오류가 있는 문장은 적합한 매끄러운 문장으로 수정하였다. 전사 이후 세부개념을 도출하고, 주제별 분류된 것들을 노인라이프스킬의 주제에 맞게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화 과 정을 거쳤다. 개방형 설문 또한 심층 면담 코딩 작업과 동일하게 세부적인 내용을 도출하고, 공통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을 분류한 뒤 의미화의 순 서로 진행하였다.
심층 면담 자료와 개방형 설문자료는 공통의 의미를 지니는 자료들끼리 묶었으며, 이 자료는 기존 문헌들을 참고하여 다시 연구주제에 맞게 의미 를 부여하는 의미화 과정을 거쳐 노인라이프스킬의 수준을 측정하는 예비 문항 제작에 활용되었다.
4.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자료의 진실성 확보와 연구과정에서 연구자의 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연 구 참여자가 심층 면담 자료와 개방형 설문자료를 검토하는 과정을 실시하 였다. 즉 연구 참여자에게 분석결과를 제공하고 답변 내용에 대한 분석이 타당한 지에 관해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였다. 또한 자료를 분석하는 것 에 있어 연구자의 편견이나 주관성으로 연구결과가 편향되는 것을 배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