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Ⅱ. 노인라이프스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2. 제언
본 연구에서는 후속 연구와 실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노인에게 적합한 설문방식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는 노인라이프스킬에 대한 구성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심층 면담과 함께 개 방형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객관식으 로 된 번호를 선택하는 것이 아닌 글로 서술을 해야 되는 부분이 노인연구 참여자에게는 부담과 어려움으로 다가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 체적인 노화로 인해 글 자체를 읽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거나 글을 쓰 는 것에 대한 부담스러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노인연구참여자들이 개방형 설문에 참여할 때 어려움을 겪게 되면 자료의 질이 떨어지게 되고 결과를 도출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노인들에게 적합한 설문방식을 고려하여 노인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필요성이 요구된 다.
둘째, 노인들을 대상으로 신체활동을 통한 라이프스킬 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유소년들의 체계적인 신체활동은 라이프스킬을 발달시키 는데 효과가 있다는 많은 기존 연구를 근거로, 유소년을 대상으로 다양한 스포츠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 노인을 대상 으로 진행된 신체활동을 통한 라이프스킬 개발 프로그램은 초기 연구단계 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노인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신체활동을 통한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은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을 유지 및 발달시키는데 기 여할 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차원의 라이프스킬을 통합적으로 향상시키 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신
체활동에 참여하여 라이프스킬을 발달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노인라이프스킬 척도는 노인의 라이프스킬에 대한 개념을 정의함 으로써 노인교육전문가와 노인정책과 관련한 정부부서에 노인라이프스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노인들의 라이프스킬을 예측 및 진단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이 진단을 통해 노인복지관이나 노인 대학 등에서는 라이프스킬의 수준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개설하거나 취약한 라이프스킬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개입방법을 계획할 수 있을 것 이다.
참 고 문 헌
강인(2003). 성공적 노화의 지각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0(2), 95-116.
강지웅, 박용남(2017). 체육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라이프스킬 습득 과 정과 영향요인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4(2), 39-55.
강현욱, 김지태(2009). 노인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건강 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3), 57-66.
고수현, 윤선오(2008). 새로운 노인복지론. 양서원.
공경희(2014). 라이프스킬 개발의 관점에서 본 청소년 승마교육의 현 황 파악 및 대안 탐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권성호, 김용세, 장도진(2021). 노인도 라이프스킬이 필요하다. 레인보 우북스.
권성호, 안지훈, 김용세(2019). 노인 라이프스킬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 그램의 개발과 적용. 노인복지연구, 74(4), 37-68.
권오정(2017). 중도탈락 엘리트 선수의 생활기술 탐색. 체육과학연구, 28(3), 724-738.
권재숙, 김성진(2012). 여성 고령장애인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 구. 발달장애학회지, 16(2), 23-45.
김경식, 이은주(2009).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4), 424-432.
김대근, 정진성(2013). 신체활동 참여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4(1), 913-924.
김동배(2008).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 회복지학, 60(1), 211-231.
김미령(2012). 베이비붐세대의 적응역량이 디지털기기 활용에 미치는 영
향. 노인복지연구, 58, 303-324.
김미령(2013). 노후연령인식 여부에 따른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 차이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지, 65(1), 227-245.
김미령(2017). 노인의 성공적 노화 요소의 삶의 만족도 영향 연구: 성인 자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57, 159-182.
김미혜, 신경림(2005).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 구. 한국노년학회지, 25(2), 35-52.
김미혜, 신경림, 최혜경, 강미선(2006). 한국의 성공적 노후 삶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지, 26(1), 91-104.
김사엽, 양종훈(2008). 노인의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6(1), 97-107.
김석일(2012).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의 사회적지지 경험과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1(1), 333-344.
김석일(2016).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자기효능감, 자기통합감 및 성공적노화. 한국체육학회지, 55(6), 509-520.
김석일, 오현옥(2013). 신체활동 참여노인들의 사회자본, 사회지원 및 삶 의 만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3(1), 607-616.
김수겸(2014). 노인의 신체활동이 자아통합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학회지, 12(1), 331-345.
김원배(2009).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 정책, 36(3), 449—470.
김재휘, 김지호, 신상화(2001). 노인들의 인터넷 이용에 관한 연구. 사회 과학연구, 14, 67-91.
김제한(2001). 발달 심리학. 양서원.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커뮤니 케이션북스.
김지연, 홍준희(2017).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정도가 주관적 건강, 노화태 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 변인 간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
심리학회지, 28(4), 27-37.
김진호(2006). Positive Youth Development의 의미와 정책적 시사점.
미래청소년학회지, 3(2), 71-88.
김태호(2014). 베이비부머 퇴직자의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 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경아, 오명화(2016). 신체활동 참여 노인의 인지기능과 자기효능감, 건 강 행위와의 관계. 재활복지, 20(1), 189-210.
박경란, 이영숙(2002).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한국노년학 회, 22(3), 53-66.
박성준(2016).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후준비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SOC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대구 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영신, 김의철(2001).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교육과학사.
박인숙(2015). 중·장년층의 자아효능감과 노후생활인식에 따른 은퇴준 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 학원.
박일혁, 엄한주, 이기봉(2014). 체육학연구에서 확인적 요인분석 이용의 문제점과 올바른 적용.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6(1), 1-22.
박형란(2010).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과정.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 교 대학원.
배나래, 박충선(2009).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2), 761-779.
배병렬(2014). Amos 21 구조방정식모델링. 청람.
배준수(2019). 태권도 학생선수들의 기본심리욕구와 라이프스킬의 구 조적 관계.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배준수(2021). 스포츠 지도자의 코칭과 학생선수의 라이프스킬 및 전 이에 관한 다층모형 분석. 박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배준수, 임태희, 장창용(2019). 태권도 라이프스킬 교육 모델 탐색. 한국
스포츠심리학회지, 30(1), 81-91.
백지은(2006). 한국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비교문화적 접 근.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변루나, 김영숙, 현택수(2011). 베이비붐 세대 은퇴 후 사회참여 지원정 책에 관한 한ㆍ일 비교연구. 보건사회연구, 31(4), 315-344.
서상민(2019). 스마트폰 활용 교육이 노인들의 자기 효능감, 행복감, 삶 의 질에 미치는 효과. 융합정보학회지, 9(5), 165-171.
서은희(2019). 남자중학생 대상 플립드러닝 적용 생활기술훈련 금연프 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성혜영, 유정헌(2002). 성공적 노화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 학, 22(2), 75-93.
성혜영, 조희선(2006). Rowe와 Kahn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성공적 노화 모델. 한국노년학, 26(1), 105-123.
손석정(2014). 노인체육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연구. 한국스포츠엔터 테인먼트법학회지. 17(1), 133-154.
손화희, 윤종희, 김덕성, 안령미(2000). 거동불편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 에 관한 생태학적 접근. 한국노년학, 20(1), 93-112.
송지준(2011).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 세기사.
심지은, 정샘, 이윤표, 유민수, 윤홍식, 한가을, 맹성호(2018). 노인의 사 회경제적 지위와 운동참여도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국노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8(춘계), 293-294.
안지언, 이병준(2020). ‘진지한 여가’ 담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노인여가교 육의 미래방향 탐구. 한국문화교육학회지. 15(4), 277-295.
양영순(2004). 인터넷 활용 만족도가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 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오은택, 김성주, 윤영구(2012).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사회적지지, 생활만족 및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1(2), 179-188.
유용식, 손호중(2012). 인터넷활용과 노인의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콘텐 츠학회논문지, 12(4), 235-244.
윤형준(2010).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인식에 관한 연구. 박 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이가은(2009). 생활기술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자 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이수진, 송미순(2015). Rowe와 Kahn 의 모델을 바탕으로 한 한국 노인 의 성공적 노화: 지역사회 노인여가복지시설 활용별 집단간 비교분 석. 한국간호과학회, 45(2), 231-239.
이묘숙(2012).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노인의 경제상태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57, 289-313.
이아진(2004). 생활기술훈련에 입각한 약물예방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옥선(2012). 체육 전공 대학생들의 청소년기 스포츠 참여를 통한 생활 기술(life skill) 습득 경험과 요인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9(1), 1-22.
이옥선(2015). 방과후학교 체육활동의 운영특성 및 요구분석을 통한 라이 프스킬 개발 프로그램의 방향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54(1), 255-270.
이옥선(2016). 스포츠를 통한 방과후학교 라이프스킬 개발 프로그램의 실 행 이해.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0(4), 231-253.
이지모(2021). 중·고령자의 노후준비도가 성공적노화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칼빈대학교 대학원.
이지영(2014). 생산적 활동을 통한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 제고방안. 한국 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4(10), 373-392.
임미숙(1985). 도시노인의 노인정 참여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 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