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으로 라이프스킬 연구는 임상에서 알코올 중독, 흡연, 마약 등에 중독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증상에 대한 호전이나 치료를 목적으로 활용되 었다(Botvin et al., 1980). 즉, 흡연자를 대상으로 흡연욕구에 대처하 고, 금연에 따른 불안수준을 조절하기 위해서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을 적용 한 결과 의미 있는 효과를 발견했다(Botvin et al., 1980). 이러한 임상 에서의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는 학교현장교육에 기반 을 둔 유소년의 위험행동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활용되었고, 점차 스포츠분야로 그 아이디어가 전이 및 확대되어 활용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다(임태희, 장창용, 2017; Danish et al., 2004).
체육학영역에서 라이프스킬의 최초의 연구는 1991년 미국 대학 체육 협회(The 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NCAA)의 활동 과 지원 아래 이루어진 고등학생과 대학생, 선수를 대상으로 시작된 사회 봉사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심리기술 훈련과 전략을 활용해서 경기력과 생 활과 관련된 적응력을 증진시키는 것에 도움이 되도록 계획되었다(권성호 등, 2021). NCAA의 연구를 시작으로 스포츠 라이프스킬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는 1990년대 초반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그 개념의 틀이 점차 완성되었으며 교육적인 측면으로 스포츠 현장에 적용 되었다(Danish & Nellen, 1997). 그 예로서, 스포츠에 참가하는 유소 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운동의 심리효과를 삶의 측면에 적용시키려는 Weiss(1991)의 연구가 대표적이다(임태희, 장창용, 2017). 또한 운동선 수들의 라이프스킬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 교육심리학 관점에서 개입을 시 도한 Danish와 Donohue(1995)의 연구는 스포츠 라이프스킬에 대한 이 론적 틀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임태희, 장창용, 2017).
스포츠 라이프스킬은 스포츠를 통해 또는 스포츠 내에서 촉진되거나 발 달되며 스포츠가 아닌 다른 환경에서도 신장 될 수 있는 목표설정, 감정조
절, 시간관리, 문제해결능력 등과 같은 개인의 내적자산이나 특성 및 기술 을 의미한다(Gould & Carson, 2008; Holt, 2016). 즉 우리가 처한 환경이나 분야에서 성공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심리기술과 태도 그리고 갈등해소 전략을 포함한다(Papacharisis et al., 2005). 이러한 기술은 스포츠 환경에서 체험하고 느낀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 곳곳에 적용하고 고스란히 녹아들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임태희, 장창용, 2017).
스포츠에서 라이프스킬은 학자마다 조금씩 다른 방법으로 정의하고 있 지만, 이들의 정의를 통합해보면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내용이 있다.
구체적으로 라이프스킬의 기술을 강조한다는 것, 내적 자산(inner assets)과 역량이라는 것, 인지·행동·정서적 차원을 포함한다는 것, 그리 고 행복한 미래 삶을 위한 개념이라는 점은 모든 라이프스킬에 대한 정의 에서 강조하는 내용이다(임태희 등, 2021; Cronin & Allen, 2017;
Danish et al., 2004; Hodge & Danish, 1999). 이러한 연구자들의 견해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라이프스킬은 행복한 미래의 삶을 위해 사용 하는 인지·심리·정서·행동 기술로서 어려운 일이나 도전 상황에 직면했을 때 이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내적 자산이자 역량으로 정의된다(임 태희 등, 2021; Gould & Carson, 2008).
라이프스킬은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개념으로 등장한다. 특히 사회적 맥락이나 문화적 차이에 따라 라이프스킬의 개념은 다르게 나타난다 (O’Hearn & Gatz, 2002). 라이프스킬의 개념 자체가 문화, 환경, 상황 등에 따라 다르게 이해 적용되기 때문이다(임태희 등, 2018; O’Hearn
& Gatz, 2002). 예를 들어, 아이 콘택트(eye contact)의 경우 남자에 게는 대인관계 기술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지만, 여자에게 동아시아 유교권이나 이슬람권과 같은 문화에서는 권장되지 않을 수 있다(장창용 등, 2020). 이처럼 라이프스킬은 사회문화적 배경과 집단이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에 따라 다르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구성 요인에 대한 조작 적 정의가 명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O’Hearn & Gatz, 2002).
연구자들은 스포츠 라이프스킬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관련한 측 정도구 개발을 진행하면서 라이프스킬의 하위요인들을 제시하였다. 예를 들어, Weiss, Bolter와 Kipp(2014)은 라이프스킬의 전이를 확인하기 위 하여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을 통한 신체활동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라 이프스킬 전이 검사지(Life Skills Transfer Survey: LSTS)를 개발했 으며, 그 하위요인으로 만나기와 인사하기, 감정조절, 목표설정, 갈등해결, 건강한 선택하기, 다름 인정하기, 타인에게 도움 구하기, 타인 돕기라는 여덟 가지 요인을 제시하였다(장창용 등, 2020). 이와 유사하게 Cronin 과 Allen(2017)은 스포츠에서 습득한 라이프스킬을 측정할 수 있는 LSSS(Life Skills Scale for Sport: LSSS)를 개발하였으며, 그 하위요 인으로 팀워크, 목표설정, 시간관리, 감정기술,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사 회기술, 리더십,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 등을 포함하였다(Cronin &
Allen, 2017). 이 외에도 라이프스킬의 개념이 심리 전략 또는 심리기술 을 포함하여(Papacharisis et al., 2005), 혼잣말, 긍정적 생각, 자신 감, 불안조절 등의 내용도 포괄하고 있다(임태희, 장창용, 2017). 구체적 으로 스포츠 라이프스킬과 관련한 국내외 연구자들이 제시한 하위요인들은 표 3과 같다.
연구자 상위 개념 라이프스킬 하위요인
권오정 (2017)
심리기술 심리적 강인함, 근면함, 감정조절, 자신감 사회기술 단체생활, 에티켓, 의사소통, 대인관계적 유능감
자기관리 기술 신체 관리, 시간 관리
목표설정 기술 목표 추구, 목표설정 관리
이옥선 (2012)
기본기 자기신뢰, 자기관리, 자기성장, 대인관계, 조직생활
대응기 원인분석, 결과수용, 상황대처, 압력대처, 갈등해결
공헌기 리더십과 팔로워십, 임무완수, 희생과 봉사
임태희 등 (2019)
계획 만나기와 인사하기, 자기 이해, 목표설정 습득 긍정적 생각, 감정조절, 자신감, 자기관리 실천 다름 인정, 의사소통, 대인관계, 갈등해결,
도움 주고받기 장창용 등
(2020)
자율성 목표설정, 시간관리, 자기조절
유능성 스트레스 관리, 자기관리, 긍정적 생각
관계성 갈등해결, 의사소통, 감정조절
Danish
(2002) -
팀빌딩, 목표설정 하기, 꿈에 도전하기, 타인에게 도움받기, 실현 가능한 목표 만들기, 긍정적 혼잣말, 긴장풀기, 감정조절, 다름 인정,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 개인수행 집중, 인생 목표설정, 자신감과 용기, 강점개발 Cronin과
Allen(2017) -
목표설정, 팀워크, 감정기술, 시간관리, 사회기술, 리더십,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 Weiss 등
(2014) -
만나기와 인사하기, 목표설정, 감정조절, 갈등해결, 다름 인정, 건강한 선택, 도움주기,
도움 받기 표 3. 라이프스킬 관련 문헌과 하위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