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 1.1. ’당스’: 농당스 이전 춤의 관념

I.2. 농‘당스’: ‘춤이 아닌’ 춤

I.2.1. 농당스의 등장

미술계에서는 예술제도론의 영향 아래 ‘이것이 미술인가’의 문제가

비교적 쉽게 해결되었지만, 농당스의 등장과 함께 무용계에서는 여전히

‘이것이 춤인가’의 문제가 화두에 올랐다. 프랑스의 무용평론가 도미니크

프레타르는 농당스의 첫 등장을 제롬 벨의 <저자가 부여한 이름>으로

보고 1994년을 농당스가 시작된 해로 상정한다. 당시의 관객 반응은

기록된 바 없지만 그로부터 10년 후 있었던 다음의 반응과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2004년 7월 7일 더블린에서는 아일랜드 국제 무용 축제(International Dance Festival of Ireland)을 상대로 민사소송이 진행되었다. 이 축제에 초청되어 상연된 제롬 벨의 <제롬 벨(Jérôme Bel)>(1995)90)이 외설적이며 춤이 아니라는 이유에서였다.91) 이 작품에서는 네 명의 남녀 무용수가 어두운 블랙박스 안에서 나체로 등장하는데, 그 중 한 명이 백열전구를 들고 등장해 공연 내내 그 불빛으로 무대 공간을 비춘다. 두 명의 무용수들은 무대에 설치된 흑판에 자신의 인적사항과 숫자화된 개인정보를 적기도 하고, 립스틱으로 피부 위에 자신에게 유의미한 이름,

90) <제롬 벨>은 1995 벨기에 브뤼셀의 벨론 브리짓트니스 축제(Bellones-Brigittines Festival) 참가작으로 제작되어 그해 9 1일 초연되었다. 무용수로는 클레어 에니(Claire Haenni), 미셸 바르그(Michèle Bargues), 에릭 에퍼간(Eric Affergan), 이죄 로쉬(Yseult Roch), 프레데릭 세게트가 출연한다.

(“Jérôme Bel (1995),” RB JEROME BEL, accessed January 30, 2016, http://www.jeromebel.fr/performances/presentation?performance=J%C3%A9r%C3%B4me%20 Bel)

91) 아일랜드 국제 무용 축제에서의 상연 중에 세 명의 관객들이 조용히 자리를 뜬 것에 대해 벨은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을 보이며 몽펠리에에서는 관객들이 무대 위로 올라와 공연을 방해하려는 시도까지 했다고 말했고, 고소에 대해서는 이건 단지 모든 것이 가짜인 연극일 뿐”이라며, 진실은 밖에 있고 길거리에서는 더 충격적인 일들이 벌어지지 않느냐며 ‘상식’에 호소했다. (Michael Seaver, "Naked in the Presence of His Enemies." Dance Magazine. 2004. HighBeam Research. (March 17, 2016). https://www.highbeam.com/doc/1G1-123752880.html 참고.)

[도판 6] 제롬 벨 <제롬 벨>(1995)

날짜, 그림, 선 등을 쓰고 그렸다가 또 지운다. 이 모든 과정 중 배경음악은 오직 한 여성 무용수가 허밍으로 부르는 “봄의 제전(Le sacre

du printemps)” 뿐이다. 그녀는 흑판에 스트라빈스키의 이름을 쓰고 그

아래 서있다. 공연은 두 명의 남녀 무용수가 무대 바닥에 소변을 보고, 그 소변으로 흑판의 글씨 중 일부 알파벳을 지워내 “에릭이 스팅92) 노래를 부른다(ERIC CHANTE STING)”이라는 문장을 만들어내면 실제로 에릭이라는 이름을 가진 무용수가 등장해 스팅의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끝난다.

고소는 결국 기각되었지만

일반 관객이었던 고소인은 외설적 행위와 거짓광고 혐의를 빌미로 축제 주최 측에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여기서 흥미로운 사실은 그가 제롬 벨의 작업이 무용 공연에 속하지 않는다고 주장한 것이었다. 그는 라디오에 출연해 춤의 정의에 대해 역설하면서, “춤이란 무용수들이 리듬감 있게 주로 음악에 맞춰 위아래로 뜀박질을 하며 관객에게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것인데, 제롬 벨의 공연에는 춤이라고 할 만한 것이 아무것도 없었는데도 축제 측은 입장권의 환불을 거부했다.”고 항변했다.93) 물론 무용 관련 지식이 없었을 고소인94)이 ‘농당스’라는 용어를 알거나 사용했을 법하지는

92) 스팅은 영국 출신의 가수이자 배우인 고든 섬너(Gordon Sumner)의 활동명이다.

벨은 ‘배경음악 전환’ 효과를 위해 시대와 장르 면에서는 스트라빈스키와 대비를

이루면서도 동시대 대중에게 쉽게 인식될 수 있을 인물을 고른 것으로 보인다.

93) Lepecki, op. cit., p. 2 참조 및 재인용.

94) 아이리쉬 타임즈에 따르면 고소인 레이먼드 화이트헤드는 법정에서 자신이 갤러리와 나이트클럽을 운영했던 적이 있으며 현재는 골동품과 인테리어 디자인, 연기 분야에 종사한다고 밝혔다. (“Action Against Dance Festival Fails”, The Irish

Times, July 8, 2004.

http://www.irishtimes.com/news/action-against-dance-festival-fails-1.1148139)

않지만, 그의 주장은 ‘농당스’라는 이름의 최초 의미, 즉 ‘저것은 춤이 아니다’라는 춤에 대한 존재론적 부정과 일치한다.

하지만 그 이름의 기원과는 별개로, 농당스를 계속해서 '춤이 아닌

것'만으로 보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비록 농당스가 출현했을 당시에는 그것이 기존의 춤이 아니라는 의미에서 부정적인 함의를 가진 채

‘농당스’라고 불렸을지 몰라도, 200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농당스라는 이름은 발레와 누벨 당스 등 전통적인 춤 위주로 형성되어있던 프랑스 무용계에서 이미 받아들여졌다.95) 따라서 농당스를 ‘춤이 아닌 것’으로서가 아니라, ‘당스’ 또는 춤의 닫힌 개념 밖에서 실행된 무용 실천으로 보는 것이 그러한 춤 현상 자체와 그 전후의 무용사를 이해하기에 적합한 해석일 것이다. 누벨 당스 시대로부터 등장한 농당스는 기본적으로는 누벨 당스가 가지고 있던 무용극 형식과 무용 창작 및 상연의 전통적인 개념에 대한 비판적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생겨났다.

따라서 농당스는 극장의 환영을 창출하는 재현 장치와 전통적인 안무 개념, 서사나 감정을 재현하고 표현하는 기호적(semiotic) 몸으로서의 무용수에 대한 인식을 사유의 대상으로 삼는다. 요컨대 농당스는 춤과 안무를 포함한 다양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무용극이 구성되고 인식되는 일련의 방식에 대한 비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프레타르는

2004년 출판된 에세이에서 농당스를 “컨템퍼러리 댄스의 발전, 정의, 또는

범주의 일부이자 그리고 아마도 시대에 따라 다른 형태를 취하면서 반복되는 일종의 미적 현상”으로 본다.96) 즉 농당스는 컨템퍼러리 댄스의 발전 과정의 일부이자 컨템퍼러리 댄스가 무엇인지를 정의할 때 제시될

95) 셀린 루는 1993년부터 1997년까지를 농당스가 생겨난 시기로, 1997년부터

2000년까지를 인지와 의문의 기간으로, 그리고 2000년부터 2003년을 농당스가

제도적 체제에 진입하게 된 시기로 본다. 벨은 2004년 <베로니크 두아노>로 파리오페라 발레단과 작업했고, 같은 해 크리스티앙 리쪼는 리옹 오페라 발레단의 의뢰로 <니 플뢰르, 니 포드 머스탱(Ni fleurs, ni Ford mustang)>을 안무했다. (Céline Roux, “Performative Practices / Critical Bodies #2: What Makes Dance”, in Danse: An Anthology, ed. Noémie Solomon (Dijon: Les Presses du Reel, 2014), pp. 261-273 참고.)

96) Frétard, op. cit., p. 7.

수 있는 예시인 동시에 컨템퍼러리 댄스의 여러 하위 범주들 중 하나라는 것이다.

춤의 전통적 관념으로서 ‘당스’는 물론 이 장의 앞부분에서 묘사한

무용미학적 측면 외에 다양하고 복잡한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앞의 논의로부터 첫째, 누벨 당스에서 나타나는 뚜렷한 춤의 속성으로서 극장의 환영을 창출하는 재현 장치, 둘째, 전통적인 안무 개념, 셋째, 서사나 감정을 재현하고 표현하는 기호적 몸으로서의 무용수, 이 세

가지를 ‘당스’의 주요한 속성이자 기존 춤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구성하는 것으로 보고, 다음 장에서는 그것을 의문시하고 춤을 통해 사유하는 농당스 실천들을 작품 예시를 통해 살펴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