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 평가의 성과 분석
1. 뇌졸중 사망률
◦ 우리나라의 뇌졸중 사망률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임. 사망률 감소에 영향을 미친 직접적인 원인은 알 수 없지만, 뇌졸중 적정성 평가 시행,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설치 등 뇌혈관 질환 진료를 개선하려는 정부의 다각적인 노력과 여러 요인들이 반영된 결과 로 생각해 볼 수 있음.
가. OECD 뇌졸중 사망률 36)
◦ 우리나라의 연령 표준화 뇌졸중 사망률은 2002년부터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로 2012 년에는 인구 10만 명당 76.5명임. 그래프 중앙에 노란 점선은 뇌졸중 적정성 평가 시작 시기로 평가가 시행된 이후로도 사망률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그 림 3 -1 . 연 도 별 연 령 표 준 화 뇌 졸 중 사 망 률 출 처 . O E C D , 2 0 1 5
36) OECD Health Statistics 2015 Database. Avaliable at:
http://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HEALTH_STAT
◦ 45세 이상에서의 출혈성과 허혈성 뇌졸중 입원환자의 원내·외 30일 사망률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2009년 이후 그 감소 폭이 둔화되고 정체된 상황임.
그 림 3 -2 . 4 5 세 이 상 뇌 졸 중 입 원 환 자 의 원 내 ·외 3 0 일 사 망 률 출 처 . O E C D , 2 0 1 5
나. 종합병원 이상 뇌졸중 입원환자의 조사망률 37)38)
◦ 뇌졸중 적정성 평가의 대상인 종합병원 이상에서의 뇌졸중 입원환자의 조사망률도 2005 년 이후 다소 감소하였으나, 현재는 그 감소 폭이 미미하며, 원내 사망률은 2012년보다 2013년에 소폭 증가하였음.
37)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4년 급성기 뇌졸중 적정성평가 보고서. 서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4.
3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2년도 급성기 뇌졸중 적정성평가 보고서. 서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2.
그 림 3 -3 종 합 병 원 이 상 뇌 졸 중 입 원 환 자 의 원 내 사 망 률 출 처 . 건 강 보 험 심 사 평 가 원 , 2 0 1 4
그 림 3 -4 . 종 합 병 원 이 상 뇌 졸 중 입 원 환 자 의 퇴 원 3 0 일 내 사 망 률 출 처 . 건 강 보 험 심 사 평 가 원 , 2 0 1 4
1. 지표별 결과
◦ 지표별 결과 분석은 전술한 바와 같이 뇌졸중 적정성 평가를 위해 수집된 조사표 자료 를 이용하였으며, 기관 단위의 결과 비교를 중점으로 분석하였음.
◦ 결과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2차와 6차 평가 자료이며, 일부 지표는 3차 평가 자료를 이 용하였음. 각 평가 차수별 평가 대상의 일반 현황은 다음과 같음.
(단위 : 기관, 건) 구 분
2차 (2008.10~ 12월 )
3차 (2010.1~ 3월 )
6차 (2014.6-8월 )
기 관 수 건 수 기 관 수 건 수 기 관 수 건 수
1 . 평 가 대 상 청 구 건 수 2 7 5 1 0 ,8 1 4 2 8 6 1 2 ,1 6 0 2 8 7 1 2 ,3 3 6 2 . 자 료 수 집 대 상 건 수
1 )
1 9 4 9 ,0 5 5 2 0 1 9 ,7 7 7 1 8 9 1 1 ,8 2 1 3 . 평 가 대 상 건 수2 )
1 9 4 5 ,8 8 73 )
2 0 1 7 ,8 6 43 )
1 8 9 9 ,8 0 3 1) 평가대상 청구건수에서 10건 미만, 폐업 기관 제외 적용 후 건수2) 자료수집 대상건수에서 조기종료 및 작성불가 제외 적용 후 건수 3) 2차, 3차 평가에서 100건 이상 청구기관은 100건 표본추출 하였음.
출처. 연도별 급성기 뇌졸중 적정성 평가 보고서 표 3-1. 평가차수별 평가대상 기관수 및 건수 현황
(단위: 기관, 건)
구 분 2차 평 가 3차 평 가 6차 평 가
기 관 수 건 수 기 관 수 건 수 기 관 수 건 수
전 체 194 5,887 201 7,864 189 9,803
병 원 구 분
상 급 종 합 병 원 43 2,427 44 3,453 42 4,773
종 합 병 원 151 3,460 157 4,411 147 5,030
병 상 규 모
1000 이 상 7 505 9 757 13 1,820
700~ 1000 미 만 41 2,394 39 3,092 42 4,294
500~ 700 미 만 42 1,437 40 1,812 34 1,707
300~ 500 미 만 44 881 54 1,405 52 1,393
100~ 300 미 만 60 670 59 798 48 589
지 역
서 울 42 1,496 42 1,964 36 2,217
인 천 9 247 11 357 10 462
대 전 7 265 7 346 8 432
대 구 7 354 7 430 6 680
광 주 8 205 10 303 8 484
부 산 14 474 18 665 13 848
울 산 3 92 3 150 3 167
경 기 33 1,122 35 1,430 34 1,763
강 원 9 285 7 300 8 357
충 북 8 141 7 278 9 318
충 남 7 163 8 256 8 292
전 북 10 342 10 408 7 490
전 남 9 139 10 213 9 228
경 북 14 307 13 336 16 439
경 남 9 150 9 325 9 510
제 주 5 105 4 103 5 116
뇌 졸 중 적 정 성
평 가 대 상 건 수 † 80건 이 상 4 333 39 3,395 48 5,966
50~ 80건 미 만 43 2,813 31 2,026 22 1,440
20~ 50건 미 만 56 1,851 51 1,601 47 1,598
10~ 20건 미 만 45 607 44 619 44 606
10건 미 만 46 283 36 223 28 193
Stro ke U nit
유 29 1,714 39 5,279 65 5,865
무 165 4,173 162 2,585 124 3,938
응 급 의 료 센 터
중 앙 및 권 역 센 터 17 931 17 1,289 17 2,136
전 문 센 터 4 211 4 308 3 361
지 역 센 터 96 3,789 107 5,074 96 5,968
지 역 응 급 77 956 73 1,193 73 1,338
권 역 심 뇌 혈 관 질 환 센 터
지 정 11 651 11 833 11 1,551
미 지 정 183 5,236 190 7,031 178 8,252
당 해 연 도 평 가 등 급
1등 급 87 4,303 96 6,097 106 8,548
2등 급 43 917 39 962 30 683
3등 급 16 289 29 470 13 207
4등 급 13 138 17 218 9 107
5등 급 16 153 8 75 1 11
등 급 제 외 19 87 12 42 30 247
† 2차, 3차 평가에서 100건 이상 청구기관은 100건 표본추출 하였음.
표 3-2. 평가차수별 요양기관 특성에 따른 평가 대상 현황
가. 전문인력 구성여부
(1) 산출식
◦ 상근하는 전문의 과목(신경과,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수에 따라 4등급으로 구분함
A등급: 신경과,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모두 상근하는 기관
B등급: 신경과,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중 두 과의 전문의만 상근하는 기관
C등급: 신경과,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중 한 과의 전문의만 상근하는 기관
D등급: 세 과의 전문의가 모두 상근하지 않는 기관
(2) 평가 결과
◦ 평가 대상 기관의 전문인력 구성 분포를 살펴보면 신경과,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전문의 가 모두 상근하는 A등급의 기관의 구성비가 증가하고 있음.
(단위: 기관)
구 분 2차 평 가
1)
6차 평 가2)
전 체 상 급 종 합 종 합 병 원 전 체 상 급 종 합 종 합 병 원
전체 194 43 151 189 42 147
A등급 112 39 73 136 42 94
B등급 43 4 39 40 - 40
C등급 38 - 38 13 - 13
D등급 1 - 1 - - -
1) 2008년 11월 1일 기준 2) 2014년 7월 1일 기준 표 3-3. 전문인력 구성 현황
그 림 3 -5 . 전 문 인 력 구 성 현 황
◦ 요양기관 종별로 구성을 살펴보면, 상급종합병원은 6차 평가 시 42개 기관 모두 A등급 을 받았고, 종합병원도 2차 평가에 비해 A등급 기관의 분포가 증가하였음.
그 림 3 -6 . 상 급 종 합 병 원 의 전 문 인 력 구 성 주 . C , D 등 급 기 관 은 없 음
그 림 3 -7 . 종 합 병 원 의 전 문 인 력 구 성
나. Stroke unit 운영 현황
(1) 산출식
◦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국가적으로 사용되는 stroke unit에 대한 정의는 없으며, 2012년 부터 대한뇌졸중학회에서 stroke unit에 대한 규정을 만들고 인증 제도를 시작하였음.
◦ 뇌졸중 적정성 평가에서는 stroke unit 운영에 대해 의료기관에서 제출한 자료를 가지 고 결과를 산출하며, 5차 평가부터는 대한뇌졸중학회의 인증 여부에 대해 추가로 자료 를 수집하고 있음.
(2) 평가 결과
◦ Stroke unit 운영 기관은 6차 평가 189기관을 대상으로 65기관(34.4%)로 2차 평가 20 기관(10.3%)보다 증가하였음.
◦ 요양기관 종별로 살펴보면,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2차 평가 대비 2배 이상 증가하여 약 80%에서 stroke unit을 운영하고 있지만, 종합병원의 경우에는 6배 정도 증가하였지만 아직도 80%가 stroke unit을 운영하지 않고 있음.
(단위: 기관)
구 분 2차 평 가 † 6차 평 가 ‡
전 체 상 급 종 합 종 합 병 원 전 체 상 급 종 합 종 합 병 원
전 체 1 9 4 4 3 1 5 1 1 8 9 4 2 1 4 7
S tro k e U n it 운 영 2 0 1 4 6 6 5 3 3 3 5
S tro k e U n it 미 운 영 1 7 4 2 9 1 4 5 1 2 4 9 1 1 5
† 2009년 5월 1일 기준
‡ 2014년 7월 1일 기준 표 3-4. Stroke unit 운영 현황
그 림 3 -8 . 요 양 기 관 종 별 stro k e u n it 운 영 현 황
다. 구급차 이용률 (1) 산출식
구급차 이용률 =
구급차를 타고 내원한 급성기 뇌졸중(I60-I63) 건수
X 100 급성기 뇌졸중(I60-I63) 건수
※ 제외기준: 없음
(2) 평가 결과
◦ 구급차를 이용하여 내원한 비율은 6차 평가 56.76%로 2차 평가 대비 9.33%p 증가하였 으나, 전체 대상자의 절반 정도만 구급차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단위: 건, %)
대 상 건 수 이 용 건 수 구 급 차 이 용 률
2 차 평 가 5 ,8 8 7 2 ,7 9 2 4 7 .4 3
6 차 평 가 9 ,8 0 3 5 ,5 6 4 5 6 .7 6
표 3-5. 구급차 이용률
(3) 기관별 결과
◦ 기관별 구급차 이용률도 6차 평가 57.57%으로 2차 평가 대비 5.47%p 향상되었음.
(단위: %)
평 균 표 준 편 차 변 이 계 수 중 앙 값 사 분 위 수 범 위
2 차 평 가 5 2 .1 0 1 8 .4 0 0 .3 5 5 0 .0 0 4 0 .0 0 ~ 6 3 .6 4 6 차 평 가 5 7 .5 7 1 4 .4 4 0 .2 5 5 8 .3 3 5 0 .0 0 ~ 6 4 .5 8 표 3-6. 기관별 구급차 이용률
그 림 3 -9 . 기 관 별 구 급 차 이 용 률
라. 증상 발생(발견) 후 응급실 도착시간
(1) 산출식
증상 발생(발견) 후
응급실 도착시간 = 급성기 뇌졸중(I60-I63) 건의 증상 발생 또는 발견 시각으로부터 응급실 도착 시간(분)
※ 제외기준: 증상발생 및 발견 시각을 모르는 건
(2) 평가 결과
◦ 증상 발생(발견) 시각이 확인되는 뇌졸중 환자의 증상 발생(발견) 후 응급실 도착까지의 소요 시간은 평균 868분으로 2차 평가 대비 평균 소요시간이 216분이 길어졌음.
◦ 이는 평가 기간, 평가 대상의 선정(2차 평가 시 100건 표본 추출), 환자 특성, 환경적인 요인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산출된 결과를 직접 비교하기 어려움. 따 라서 현황 정보로 참고하는 것이 적절하겠음.
(단위: 건, 분)
대 상 건 수 평 균 표 준 편 차 중 앙 값 사 분 위 수 범 위
2 차 평 가 5 ,0 5 1 6 5 2 1 ,1 7 5 1 8 9 6 1 ~ 6 9 7
6 차 평 가 8 ,9 9 2 8 6 8 1 ,5 2 6 2 4 5 7 4 ~ 9 5 1
표 3-7. 증상 발생(발견) 후 응급실 도착시간
(단위: 건) 1시 간 이 내 1시 간 초 과
3시 간 이 내
3시 간 초 과 4.5시 간 이 내
4.5시 간 초 과
6시 간 이 내 6시 간 초 과
2 차 평 가 1 ,2 5 1 1 ,2 2 2 4 3 1 3 0 7 1 ,8 4 0
6 차 평 가 1 ,8 9 5 2 ,0 7 8 6 7 8 5 6 4 3 ,7 7 7
◦ 증상 발생(발견) 후 응급실 도착까지의 소요 시간대별 분포는 1시간 이내 도착 건 이 6차 평가 기준 21.1%로 2차 평가보다 3.7%p 감소하였고, 6시간을 초과하여 도착한 건은 5.6%p 증가하였음.
표 3-8. 증상 발생(발견) 후 응급실 도착까지의 소요시간별 분포
그 림 3 -1 0 . 증 상 발 생 (발 견 ) 후 응 급 실 도 착 까 지 소 요 시 간 별 분 포
(3) 기관별 결과
◦ 기관별 증상 발생(발견) 후 응급실 도착시간은 중앙값으로 결과를 산출하였고, 기관 별 평가 대상이 1건인 경우에는 그 값을 대푯값으로 하여 산출함.
◦ 6차 평가 기준 기관별 소요시간 중앙값의 평균은 314분으로 2차 평가 대비 105분 증 가하였음.
(단위: 분)
평 균 표 준 편 차 변 이 계 수 중 앙 값 사 분 위 수 범 위
2 차 평 가 2 0 9 1 8 5 0 .8 9 1 5 5 9 2 ~ 2 5 0
6 차 평 가 3 1 4 6 4 8 2 .0 7 2 1 8 1 4 6 ~ 3 2 0
표 3-9. 기관별 증상 발생(발견) 후 응급실 도착시간 중앙값
그 림 3 -1 1 . 기 관 별 증 상 발 생 (발 견 ) 후 응 급 실 도 착 까 지 의 중 앙 값
마. 흡연력 조사율
◦ 흡연력 조사율은 4차 평가부터 금연교육 실시율로 변경되었음. 금연교육 실시를 위해서 는 흡연력 조사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2차 평가의 자료가 있는 흡연력 조사율로 2차와 6 차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음.
(1) 산출식
흡연력 조사율 =
의사의 흡연력 조사(기록) 건수
X 100 급성기 뇌졸중(I60-I63) 건수
※ 제외기준: 없음
(2) 평가 결과
◦ 급성기 뇌졸중 환자 대상 의사가 흡연력을 조사하여 기록한 비율은 6차 평가에는 98.55%로 2차 평가 대비 4.53%p 증가하였음.
(단위: 건, %)
대 상 건 수 조 사 건 수 흡 연 력 조 사 율
2 차 평 가 5 ,8 8 7 5 ,5 3 5 9 4 .0 2
6 차 평 가 9 ,8 0 3 9 ,6 6 1 9 8 .5 5
표 3-10. 흡연력 조사율
(3) 기관별 결과
◦ 기관별 평균 흡연력 조사율은 6차 평가에는 98.55%로 2차 평가 대비 4.53%p 증가하였 음.
(단위: %)
평 균 표 준 편 차 변 이 계 수 중 앙 값 사 분 위 수 범 위
2 차 평 가 8 3 .8 4 3 1 .2 9 0 .3 7 1 0 0 .0 8 7 .5 ~ 1 0 0 .0
6 차 평 가 9 1 .7 5 2 4 .7 8 0 .2 7 1 0 0 .0 1 0 0 .0 ~ 1 0 0 .0
표 3-11. 기관별 흡연력 조사율
그 림 3 -1 2 . 기 관 별 흡 연 력 조 사 율 현 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