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V. 사망률 중증도 보정 모형 구축

1. 주요 결과

가. 허혈성 뇌졸중

(1) 분석 대상

◦ 5차 평가 자료 중 전원 온 환자를 제외하면 200개 기관 6,789명이었고, 이중 모형개발 에 사용한 분석 대상자에 해당하는 사람은 115개 기관 5,754명으로 뇌졸중 적정성 평 가 대상자 중 보정 사망률 분석에 이용되는 것은 전체 기관의 58%, 전체 대상자의 85%에 해당하였음. 분석대상 병원별 허혈성 뇌졸중 적정성 평가 대상자는 10명~190명 범위였고, 병원별 조사망률 범위는 0~33.3%이었음.

◦ 분석 대상의 병원내 30일 사망률은 3.72%이었고, 분석 제외 대상의 경우 5.41% 이었으 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04)를 보였음. 분석 대상자와 제외 대상자의 특 성 차이는 표 5-1에 제시하였음.

◦ 모형 검증을 위한 자료(validation dataset)는 94개 기관 4,494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분

석 대상자와 제외 대상자의 사망률이 각각 3.74%, 5.99%로 유의하게 달랐음.

V a ria b le s n (% )

P -va lu e In clu sio n (n = 5 7 5 4 ) E x clu sio n (n = 1 0 3 5 )

3 0 -d a y h o sp ita l m o rta lity 2 1 4 (3 .7 2 ) 5 6 (5 .4 1 ) 0 .0 1 0 4

A g e ,m e a n (S D ) 6 8 .5 (1 2 .4 ) 7 1 .5 (1 1 .9 ) < .0 0 0 1

S e x fe m a le 2 3 8 8 (4 1 .5 ) 4 6 6 (4 5 .0 ) 0 .0 3 4 6

S m o k e * N o n sm o k e r 3 3 6 9 (5 8 .7 ) 5 8 6 (6 5 .3 ) 0 .0 0 0 9

E x -sm o k e r 8 5 8 (1 5 .0 ) 1 1 8 (1 3 .1 )

C u rre n t sm o k e r 1 5 1 2 (2 6 .4 ) 1 9 4 (2 1 .6 ) C o -m o rb id ity

A tria l fib rilla tio n /A tria l F lu tte r 1 0 9 0 (1 8 .9 ) 1 2 7 (1 2 .3 ) < .0 0 0 1

A rrh y th m ia 1 3 2 0 (2 2 .9 ) 1 5 4 (1 4 .9 ) < .0 0 0 1

C o ro n a ry A rte ry D ise a se 1 0 2 3 (1 7 .8 ) 1 3 4 (1 3 .0 ) 0 .0 0 1 C o n g e stiv e H e a rt F a ilu re 1 5 3 (2 .7 ) 3 4 (3 .3 ) 0 .2 5 7 3

C a ro tid ste n o sis 4 6 9 (8 .2 ) 8 7 (8 .4 ) 0 .7 8 3 0

D ia b e te s m e llitu s 3 4 1 7 (5 9 .4 ) 5 0 7 (4 9 .0 ) < .0 0 0 1

H y p e rte n sio n 3 8 6 0 (6 7 .1 ) 5 8 3 (5 6 .3 ) < .0 0 0 1

D y slip id e m ia 4 0 1 5 (6 9 .8 ) 5 6 6 (5 4 .7 ) < .0 0 0 1

P e rip h e ra l V a scu la r D ise a se 3 0 (0 .5 ) 1 9 (1 .8 ) < .0 0 0 1

C a n ce r 2 2 1 (3 .8 ) 2 8 (2 .7 ) 0 .0 7 3 6

C O P D 1 5 7 (2 .7 ) 2 3 (2 .2 ) 0 .3 5 0 6

C h ro n ic R e n a l F a ilu re 1 2 7 (2 .2 ) 2 1 (2 .0 ) 0 .7 1 7 8 P sy c h o lo g ic d iso rd e r 1 9 9 (3 .5 ) 6 4 (6 .2 ) < .0 0 0 1

* 152개 missing

표 5-1. 허혈성 뇌졸중 사망 위험도 보정 모형 개발을 위한 분석 포함/제외 대상의 특성

(2) 단변수 분석결과

◦ 허혈성 뇌졸중 대상자 중 30일 병원내 사망자와 생존자간의 일반적 특성, 임상적 특성, 병원 특성 간의 차이를 표 5-2에 제시하였음. 성별, 연령, NIHSS 점수, 흡연력에서 유 의한 차이를 보였고, 동반질환 중에서는 심방세동, 부정맥, 울혈성 심부전, 이상지질혈 증,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음.

◦ 병원 관련 요인을 살펴보면 상급종합병원이 종합병원보다 생존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

며, 생존군에서 병원의 병상수와 3개월간 허혈성 뇌졸중 진료건수가 유의하게 높았음.

V a ria b le s

n (% )

P -va lu e S u rv iva l

(n = 5 5 4 0 )

D e a th (n = 2 1 4 )

A g e , m e a n (S D ) 6 8 .3 (1 2 .4 ) 7 4 .9 (1 1 .0 ) < .0 0 0 1

S e x fe m a le 2 2 6 3 (4 0 .9 ) 1 2 5 (5 8 .4 ) < .0 0 0 1

N IH S S , m e a n (S D ) 5 .1 (5 .6 ) 1 7 .5 (8 .2 ) < .0 0 0 1

0 ~ 5 3 4 3 6 (6 9 .2 ) 1 9 (8 .9 ) < .0 0 0 1

6 ~ 1 3 1 1 4 5 (2 0 .7 ) 3 9 (1 8 .2 )

1 4 ~ 4 2 5 5 9 (1 0 .1 ) 1 5 6 (7 2 .9 )

S m o k e N o n sm o k e r 3 2 1 3 (5 8 .1 ) 1 5 6 (7 3 .9 ) < .0 0 0 1

E x -sm o k e r 8 3 4 (1 5 .1 ) 2 4 (1 1 .4 )

C u rre n t sm o k e r 1 4 8 1 (2 6 .8 ) 3 1 (1 4 .7 ) C o -m o rb id ity

A tria l fib rilla tio n /A tria l F lu tte r 1 0 1 0 (1 8 .2 ) 8 0 (3 7 .4 ) < .0 0 0 1

A rrh y th m ia 1 2 3 5 (2 2 .3 ) 8 5 (3 9 .7 ) < .0 0 0 1

C o ro n a ry A rte ry D ise a se 9 7 9 (1 7 .7 ) 4 4 (2 0 .6 ) 0 .2 7 8 C o n g e stiv e H e a rt F a ilu re 1 3 8 (2 .5 ) 1 5 (7 .0 ) < .0 0 0 1

C a ro tid ste n o sis 4 4 9 (8 .1 ) 2 0 (9 .3 5 ) 0 .5 1 5

D ia b e te s m e llitu s 3 2 9 3 (5 9 .4 ) 1 2 4 (5 7 .9 ) 0 .6 6 1 8 H y p e rte n sio n 3 7 2 2 (6 7 .2 ) 1 3 8 (6 4 .5 ) 0 .4 0 9 8 D y slip id e m ia 3 8 9 9 (7 0 .4 ) 1 1 6 (5 4 .2 ) < .0 0 0 1 P e rip h e ra l V a scu la r D ise a se 2 9 (0 .5 2 ) 1 (0 .4 7 ) 1 .0 0 0

C a n ce r 2 1 0 (3 .8 ) 1 1 (5 .1 4 ) 0 .3 1 3 4

C O P D 1 4 5 (2 .6 ) 1 2 (5 .6 ) 0 .0 0 8 4

C h ro n ic R e n a l F a ilu re 1 2 6 (2 .3 ) 1 (0 .4 7 ) 0 .0 9 2 5 P sy c h o lo g ic d iso rd e r 1 9 3 (3 .5 ) 6 (2 .8 ) 0 .5 9 3 2 O n se t에 서 병 원 도 착 까 지 의 시 간 (분 ), m e a n (S D ) 1 0 7 7 (1 5 7 6 ) 6 8 8 (1 1 9 8 ) < .0 0 0 1

4 8 시 간 내 a sp irin 투 여 5 4 1 5 (9 7 .8 ) 1 5 7 (7 3 .4 ) < .0 0 0 1

t-P A 투 여 5 0 0 7 (9 0 .4 ) 1 7 4 (8 1 .3 ) < .0 0 0 1

S tro k e U n it 인 증 센 터 2 6 0 4 (4 7 .0 ) 9 9 (4 6 .3 ) 0 .8 8 9 1

비 인 증 센 터 9 5 0 (1 7 .2 ) 3 5 (1 6 .4 )

센 터 없 음 1 9 8 6 (3 5 .9 ) 8 0 (3 7 .4 )

병 원 유 형 상 급 종 합 병 원 3 2 1 0 (5 7 .9 ) 1 0 4 (4 8 .6 ) 0 .0 0 6 6

종 합 병 원 2 3 3 0 (4 2 .1 ) 1 1 0 (5 1 .4 )

병 상 수 , m e a n (S D ) 9 9 7 (4 8 7 .2 ) 8 9 7 .6 (8 4 0 .5 ) 0 .0 0 0 9

3 개 월 간 허 혈 성 뇌 졸 중 진 료 건 수 , m e a n (S D ) 8 9 .5 (5 2 .2 ) 7 6 .3 (4 9 .5 ) 0 .0 0 0 3 표 5-2. 허혈성 뇌졸중 분석대상 중 30일내 생존군과 사망군의 특성 비교

(3) 다변량 로지스틱 모형 비교

◦ 허혈성 뇌졸중 위험도 보정 사망에 대한 다변량 로지스틱 모형 분석 결과는 표 5-3에 제시하였음.

◦ 네 개의 모형 모두에서 성별, 연령, NIHSS 점수는 위험예측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 였음. Model 1의 c-statistics는 0.881이었고, Hosmer-Lemeshow test 결과도 P=0.371로 좋은 calibration 결과를 보였음.

◦ NIHSS 점수는 범주형으로 넣었을 때보다 연속형으로 넣었을 때 c-statistics이 증가하 는 양상을 보였음.

◦ Model 3과 4에서 30일 병원내 사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질환은 이상지질혈증 (dyslipidemia)이었고, 사망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음

  M o d el 1   M o d el 2 M o d el 3 M o d el 4

  O R U C I LC I O R U C I LC I O R U C I LC I O R U C I LC I

A g e

1.015 1.001 1.029 1.017 1.002 1.031 1.015 1.001 1.029 1.016 1.002 1.031

Sex (fem ale)

1.377 1.007 1.884 1.486 1.073 2.056 1.410 1.028 1.935 1.508 1.087 2.091

Sex (m ale)

1.000

N IH S S (6 -1 3 )

6.399 3.674 11.144 6.357 3.649 11.076

N IH S S (1 4 ~ 4 2 )

49.161 30.064 80.388 47.185 28.826 77.236

N IH S S (0 ~ 5 )

1.000

N IH S S (co n tin u o u s)

1.201 1.180 1.224 1.199 1.178 1.222

D yslip id em ia

0.586 0.433 0.791 0.556 0.407 0.759

D evelo p m en t set

                       

C -statistics

0.881 0.894 0.881 0.893

R -sq u are

0.085 0.088 0.086 0.086

H o sm er-Lem esh o w

test p -valu e

0.371     0.126     0.723     0.111    

V alid atio n set

                       

C -statistics

0.900 0.910 0.895 0.905

R -sq u are

0.082 0.085 0.081 0.082

H o sm er-Lem esh o w

test p -valu e

0.507     0.048     0.036     0.021    

표 5-3. 허혈성 뇌졸중 사망의 예측인자에 관한 다중로지스틱 분석 결과

◦ Model 1을 제외하고는 개발 모형을 다른 자료(dataset)에 적용시켰을 때 c-statistics

는 높게 유지가 되었으나 Hosmer-Lemeshow test 결과 P<0.05 여서 다른 모형에 적

용시켰을 때 calibration 능력이 조금 떨어짐을 볼 수 있음. Model 1과 Model 2을 검

증 자료(validation dataset)에 적용시켰을 때의 decile of risk table을 표 5-4에 제시

하였음.

기 대 사 망 율 의 1 0 분 위 수

M o d e l 1   M o d e l 2    

대 상 자 수 기 대

사 망 자 수

실 제

사 망 자 수 대 상 자 수 기 대

사 망 자 수

실 제 사 망 자 수

1 4 5 3 1 .5 0 4 4 5 1 .8 1

2 4 6 7 1 .8 1 4 5 7 2 .6 0

3 4 4 0 1 .9 0 4 4 2 3 .0 0

4 4 2 9 2 .1 1 4 5 3 3 .7 2

5 4 8 2 2 .7 1 4 4 6 4 .4 2

6 4 2 2 2 .8 3 4 5 6 5 .5 2

7 4 4 8 6 .4 5 4 4 8 7 .1 6

8 4 5 3 1 4 .0 1 4 4 4 8 1 1 .3 6

9 4 5 2 3 7 .3 3 6 4 5 1 2 6 .6 3 4

1 0 4 4 8 1 0 5 .0 9 4 4 4 8 1 0 7 .9 1 0 2

표 5-4. 검증자료를 이용한 허혈성 뇌졸중 사망 위험도 보정 모형의 타당도 평가

나. 출혈성 뇌졸중

(1) 분석 대상

◦ 5차 평가 자료 중 전원 온 환자를 제외하면 189개 기관 2,380명이었고, 이중 모형개발 에 사용한 분석 대상자에 해당하는 사람은 68개 기관 1,316명으로 뇌졸중 적정성 평가 대상자 중 보정 사망률 분석에 이용되는 것은 전체 기관의 36%, 전체 대상자의 55%에 해당하였음. 분석 대상 병원별 출혈성 뇌졸중 적정성 평가 대상자는 5명~57명 범위였 고, 병원별 조사망률의 범위는 0~60.0%이었음.

◦ 분석 대상의 병원내 30일 사망률은 20.4% 이었고, 분석 제외 대상의 경우 18.8% 이었 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음(p=0.3162). 분석 대상자와 제외 대상자의 특성 차이는 표 5-5에 제시하였음.

◦ 모형 검증을 위한 자료(validation dataset)는 75개 기관 1431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분석 대상자와 제외 대상자의 사망률이 각각 20.3%, 22.7%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음(p=0.1513).

V a ria b le s

n (% )

P -va lu e In clu sio n (n = 1 4 3 1 ) E x clu sio n (n = 9 3 7 )

3 0 -d a y h o sp ita l m o rta lity 2 9 0 (2 0 .3 ) 2 1 3 (2 2 .7 ) 0 .1 5 1 3

A g e ,m e a n (S D ) 6 1 .1 (1 4 .4 ) 6 2 .4 (1 4 .9 ) 0 .0 4 6 2

S e x fe m a le 7 5 3 (5 2 .6 ) 4 7 4 (5 0 .6 ) 0 .3 3 2 8

S m o k e * N o n sm o k e r 9 6 6 (7 0 .5 ) 5 8 6 (6 8 .4 ) 0 .2 1 1 5

E x -sm o k e r 1 2 1 (8 .8 ) 9 5 (1 1 .1 )

C u rre n t sm o k e r 2 8 3 (2 0 .7 ) 1 7 6 (2 0 .5 )

C o -m o rb id ity

A tria l fib rilla tio n /A tria l F lu tte r 4 5 (3 .1 ) 3 1 (3 .3 ) 0 .8 2 5 0

A rrh y th m ia 7 0 (4 .9 ) 8 4 (9 .0 ) < .0 0 0 1

C o ro n a ry A rte ry D ise a se 8 8 (6 .2 ) 1 5 2 (1 6 .2 ) < .0 0 0 1 C o n g e stiv e H e a rt F a ilu re 2 1 (1 .5 ) 2 6 (2 .8 ) 0 .0 2 5 7

C a ro tid ste n o sis 9 (0 .9 3 ) 8 (0 .8 5 ) 0 .5 2 6 2

D ia b e te s m e llitu s 4 0 0 (2 8 .0 ) 4 3 7 (4 6 .6 ) < .0 0 0 1

H y p e rte n sio n 8 0 3 (5 6 .1 ) 6 3 8 (6 8 .1 ) < .0 0 0 1

D y slip id e m ia 2 1 9 (1 5 .3 ) 2 4 2 (2 5 .8 ) < .0 0 0 1

P e rip h e ra l V a scu la r D ise a se 1 (0 .0 7 ) 4 (0 .4 3 ) 0 .0 6 4 2

C a n ce r 3 7 (2 .6 ) 2 1 (2 .2 ) 0 .5 9 6 0

C O P D 2 0 (1 .4 ) 2 1 (2 .2 ) 0 .1 2 3 8

C h ro n ic R e n a l F a ilu re 5 4 (3 .8 ) 2 8 (3 .0 ) 0 .3 0 6 7 P sy c h o lo g ic d iso rd e r 3 7 (2 .6 ) 3 4 (3 .6 ) 0 .1 4 5 6 표 5-5. 출혈성 뇌졸중 사망 위험도 보정 모형 개발을 위한 분석 포함/제외 대상의 특성

*141개 missing

(2) 단변수 분석결과

◦ 출혈성 뇌졸중 대상자 중 30일 병원내 사망자와 생존자간의 일반적 특성, 임상적 특성, 병원 특성 간의 차이를 표 5-6에 제시하였음. 성별, 연령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뇌졸 중 유형, GCS점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동반질환 중에서는 고혈압과 만성신부전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음.

◦ 병원 관련 요인을 살펴보면 Stroke Unit이 있는 병원에서 유의하게 생존분율이 높았으

며, 생존군과 사망군에서 병원 유형이나, 병상 수, 3개월간 출혈성 뇌졸중 진료건수에서

는 차이가 없었음.

V a ria b le s

n (% )

P -v a lu e S u rviva l

(n = 1 0 5 7 )

D e a th (n = 2 5 9 )

A g e ,m e a n (S D ) 6 0 .8 (1 4 .3 ) 5 9 .8 (1 4 .8 ) 0 .3 1 5 7

S e x fe m a le 5 3 5 (5 0 .6 ) 1 3 1 (5 0 .7 ) 0 .9 9 1 8

G C S , m e a n (S D ) 1 2 .7 (3 .3 ) 6 .0 (3 .5 ) < .0 0 0 1

3 ~ 8 7 3 9 (6 9 .9 ) 2 5 (9 .7 ) < .0 0 0 1

9 ~ 1 2 1 6 2 (1 5 .3 ) 2 9 (1 1 .2 )

1 3 ~ 1 5 1 5 6 (1 4 .8 ) 2 0 5 (7 9 .2 )

뇌 졸 중 유 형 거 미 막 하 출 혈 3 7 1 (3 5 .1 ) 1 1 4 (4 4 .4 ) 0 .0 0 7 8

뇌 내 출 혈 6 1 0 (5 7 .5 ) 1 3 4 (5 1 .7 )

기 타 비 외 상 성

머 리 내 출 혈 7 6 (7 .2 ) 1 0 (3 .9 )

흡 연 력 N o n sm o k e r 7 3 5 (7 0 .5 ) 1 6 7 (6 7 .6 ) 0 .0 5 2 7

E x-sm o k e r 7 3 (7 .0 ) 1 0 (4 .1 )

C u rre n t sm o k e r 2 3 4 (2 2 .5 ) 7 0 (2 8 .3 ) 동 반 질 환

A tria l fib rilla tio n / A tria l F lu tte r 3 2 (3 .0 ) 4 (1 .5 4 ) 0 .1 8 9 7

A rrh y th m ia 4 7 (4 .5 ) 8 (3 .1 ) 0 .3 2 7 8

C o ro n a ry A rte ry D ise a se 1 2 3 (1 1 .6 ) 2 1 (8 .1 ) 0 .1 0 3 0 C o n g e stive H e a rt F a ilu re 1 7 (1 .6 ) 7 (2 .7 ) 0 .2 9 5 6 D ia b e te s m e llitu s 3 5 7 (3 3 .8 ) 8 0 (3 0 .9 ) 0 .3 7 6 6 H y p e rte n sio n 6 7 6 (6 4 .0 ) 1 2 2 (4 7 .1 ) < .0 0 0 1

D y slip id e m ia 2 3 8 (2 2 .5 ) 3 4 (1 3 .1 ) 0 .0 0 0 8

C a n ce r 3 4 (3 .2 ) 8 (3 .1 ) 0 .9 1 6 5

C O P D 2 9 (2 .7 ) 4 (1 .5 ) 0 .2 6 8 6

C h ro n ic R e n a l F a ilu re 2 7 (2 .6 ) 2 2 (8 .5 ) < .0 0 0 1 P sy ch o lo g ic d iso rd e r 6 6 (6 .2 ) 6 (2 .3 ) 0 .0 1 2 7 S tro k e

ce n te r 인 증 센 터 4 5 6 (4 3 .1 ) 8 8 (3 4 .0 ) 0 .0 0 3 4

비 인 증 센 터 2 0 1 (1 9 .0 ) 7 1 (2 7 .4 )

센 터 없 음 4 0 0 (3 7 .8 ) 1 0 0 (3 8 .6 )

병 원 유 형 상 급 종 합 병 원 6 3 7 (6 0 .3 ) 1 5 1 (5 8 .3 ) 0 .5 6 3 4

종 합 병 원 4 2 0 (3 9 .7 ) 1 0 8 (4 1 .7 )

병 상 수 , m e a n (S D ) 9 4 4 (3 4 3 .4 ) 9 1 0 (3 3 1 .8 ) 0 .1 5 2 1

3 개 월 간 출 혈 성 뇌 졸 중 진 료 건 수 , m e a n (S D ) 3 1 .6 (1 5 .3 ) 3 0 .8 (1 5 .9 ) 0 .4 5 2 8 표 5-6. 출혈성 뇌졸중 분석대상 중 30일내 생존군과 사망군의 특성 비교

(3) 다변량 로지스틱 모형 비교

◦ 출혈성 뇌졸중 위험도 보정 사망에 대한 다변량 로지스틱 모형 분석 결과는 표 5-7에 제시하였음.

◦ 네 개의 모형 모두에서 GCS 점수는 사망 위험에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뇌졸중 유형 에 따른 사망 위험 증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음.

◦ Model 1의 c-statistics는 0.867이었고, Hosmer-Lemeshow test 결과도 P=0.850로 좋은 calibration 결과를 보였음.

◦ GCS 점수는 범주형으로 넣었을 때보다 연속형으로 넣었을 때 c-statistics, R-square 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음.

◦ Model 3과 4에서 30일 병원내 사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질환은 고혈압과 만성신 부전이었으며, 고혈압은 사망 위험을 낮추는 효과를, 만성신부전은 사망 위험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냈음. Model 3의 경우 개발 자료와 검증 자료에서 모두 Hosmer-Lemeshow test 결과 p-value<0.05로 적절하지 않은 모형으로 판단됨.

 

M o d e l 1 M o d e l 2 M o d e l 3 M o d e l 4

  O R U C I LC I O R U C I LC I O R U C I LC I O R U C I LC I

연 령

0.987 0.975 0.999 0.987 0.974 1.000 0.990 0.977 1.002 0.990 0.977 1.003

성 별 (fem ale)

0.990 0.693 1.415 1.001 0.688 1.457 1.045 0.727 1.503 1.040 0.710 1.523

성 별 (m ale)

1.000 1.000 1.000 1.000

지 주 막 하 출 혈

1.696 0.737 3.905 1.345 0.570 3.177 1.679 0.711 3.965 1.416 0.584 3.434

뇌 내 출 혈

1.410 0.627 3.171 1.276 0.556 2.930 1.427 0.621 3.278 1.367 0.584 3.203

기 타 출 혈

1.000 1.000 1.000 1.000

G C S(3 -8 )

40.268 25.549 63.467 5.564 3.130 9.891

G C S(9 -1 2 )

5.718 3.244 10.079 39.556 24.965 62.676

G C S(1 3 -1 5 )

1.000 1.000

G C S(co n tin u o u s)

0.667 0.638 0.698 0.669 0.639 0.700

H y p erten sio n

0.471 0.330 0.672 0.478 0.328 0.696

C R F

4.209 1.923 9.212 4.153 1.895 9.100

D evelo p m en t set   

                 

c-statistics

0.867 0.899 0.879 0.900

r-sq u are

0.283 0.318 0.297 0.330

H o sm er lem esh o w

test p -valu e

0.850     0.233     0.0003     0.177    

V alid atio n set

                       

c-statistics

0.840 0.876 0.856 0.878

r-sq u are

0.257 0.285 0.260 0.288

H o sm er lem esh o w

test p -valu e

0.119     0.607     0.001     0.147    

표 5-7. 출혈성 뇌졸중 사망의 예측인자에 관한 다중로지스틱 분석결과

◦ Model 1과, 2 그리고 Model 4를 검증하였을 때 c-statistics도 높게 유지가 되고, Hosmer-Lemeshow test 결과 P>0.05로 모형의 discrimination과 calibration 능력이 유지되었음. Model 1과 Model 2을 검증 자료(validation dataset)에 적용시켰을 때의 decile of risk table을 표 5-8에 제시하였음.

기 대 사 망 율 의 1 0 분 위 수

M o d e l 1   M o d e l 2    

대 상 자 수 기 대

사 망 자 수

실 제

사 망 자 수 대 상 자 수 기 대

사 망 자 수

실 제 사 망 자 수

1 1 3 9 3 .1 5 1 4 3 2 .9 1

2 1 4 8 4 .0 8 1 4 1 3 .6 4

3 1 4 5 4 .5 1 1 4 5 4 .2 4

4 1 4 4 5 .1 5 1 4 3 4 .8 6

5 1 3 8 5 .6 4 1 4 3 6 .1 8

6 1 4 4 1 1 .1 1 2 1 4 4 9 .3 1 4

7 1 4 4 2 3 .7 2 4 1 4 3 2 1 .6 2 3

8 1 4 5 6 9 .5 8 1 1 4 3 5 1 .9 4 4

9 1 3 9 7 8 .1 7 3 1 4 3 8 4 .6 8 5

1 0 1 4 5 9 0 .7 7 7 1 4 3 1 0 8 .3 1 0 1

표 5-8. 검증자료를 이용한 출혈성 뇌졸중 사망 위험도 보정 모형의 타당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