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 평가지표의 보완 및 확대
2. 외국의 뇌졸중 평가 지표
가. 국가별 뇌졸중 평가 지표
◦ 국외의 뇌졸중 평가와 관련된 지표는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 독일, 덴마크, 스웨덴과 국제기구로는 OECD 지표가 있으며 검토를 시행한 질 평가 기관과 지표는 다음과 같음.
국 가 기 관 M e asu re S e t / In d icato r n am e
미 국
C M S (C e n te rs fo r M e d ic a re &
M e d ic a id S e rv ic e s )
H o s p ita l C o m p a re : N a tio n a l H o s p ita l In p a tie n t Q u a lity M e a s u re s (1 0 개 의 지 표 )
T JC (T h e Jo in t C o m m is s io n ) C o m p re h e n s iv e S tro k e p e rfo rm a n c e m e a s u re m e n t (8 개 의 지 표 )
P C P I(P h y s ic ia n C o n s o rtiu m fo r P e rfo rm a n c e Im p ro v e m e n t)
S tro k e a n d S tro k e R e h a b ilita tio n P e rfo rm a n c e M e a s u re m e n t S e t (1 6 개 의 지 표 )
A H R Q (A g e n c y fo r H e a lth c a re
R e s e a rc h a n d Q u a lity ) A c u te S tro k e M o rta lity R a te (IQ I 1 7 ) A m e ric a n H e a rt A s s o c ia tio n /
A m e ric a n S tro k e A s s o c ia tio n T im e to In tra v e n o u s T h ro m b o ly tic T h e ra p y
B rid g e s to E x c e lle n c e P ro p o rtio n o f P a tie n ts H o s p ita liz e d w ith S tro k e th a t h a v e a P o te n tia lly A v o id a b le C o m p lic a tio n
영 국
N IC E (N a tio n a l In s titu te fo r H e a lth
a n d C a re E x c e lle n c e ) S tro k e Q u a lity S ta n d a rd (1 5 개 의 지 표 ) Q O F (Q u a lity a n d O u tc o m e s
F ra m e w o rk )
S tro k e a n d T ra n s ie n t Is c h a e m ic A tta c k (S T IA ) In d ic a to r S e t (5 개 의 지 표 )
S IN A P (S tro k e Im p ro v e m e n t N a tio n a l A u d it P ro g ra m m e )
A c u te O rg a n is a tio n a l A u d it 2 0 1 4 K e y In d ic a to r (3 1 개 의 지 표 )
캐 나 다 A c c re d ita tio n C a n a d a O p tio n a l P e rfo rm a n c e In d ic a to r P ro to c o ls (1 1 개 의 지 표 )
C a n a d ia n S tro k e S tra te g y C o re P e rfo rm a n c e In d ic a to r (2 7 개 의 지 표 )
호 주
A C H S (T h e A u s tra lia n C o u n c il o n
H e a lth c a re S ta n d a rd s ) C lin ic a l In d ic a to r P ro g ra m (8 개 의 지 표 ) A u s tra lia n C o m m is s io n o n S a fe ty a n d
Q u a lity in H e a lth C a re A c u te S tro k e C lin ic a l C a re S ta n d a rd s (1 9 개 의 지 표 ) 독 일 A D S R (T h e G e rm a n S tro k e R e g is te rs
S tu d y G ro u p )
q u a lity in d ic a to rs fo r a c u te h o s p ita l c a re o f s tro k e p a tie n ts in G e rm a n y (1 9 개 의 지 표 )
덴 마 크 D N IP (D a n is h N a tio n a l
In d ic a to r P ro je c t) A c u te S tro k e (1 0 개 의 지 표 ) 스 웨 덴 T h e N a tio n a l B o a rd o f H e a lth a n d
W e lfa re
Q u a lity a n d E ffic ie n c y o f S tro k e C a re in S w e d e n (2 8 개 의 지 표 )
국 제 기 구 T h e O rg a n is a tio n fo r E c o n o m ic
C o - o p e ra tio n a n d D e v e lo p m e n t H e a lth C a re Q u a lity In d ic a to r 중 A c u te C a re 표 4-2. 뇌졸중 평가를 시행하고 있는 외국의 질 평가 기관과 지표
나. 외국의 뇌졸중 평가 지표의 분류
◦ 국외 지표의 지표 정의나 산출식, 사용한 용어 등에서 나라마다 차이가 있으나 지표가 측정하려는 개념을 기준으로 구조, 과정, 결과지표로 분류를 하여 뇌졸중 적정성 평가 지표와 비교하였음.
◦ 국외 지표 중에는 뇌졸중 발생 3개월, 12개월 후 측정하는 지표가 있는데 뇌졸중 적정 성 평가는 급성기 뇌졸중에 대하여 병원에서 제공하는 진료의 질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 이므로 지표 측정 기간이 3개월 미만인 지표에 한정하여 정리하였음(표 4-2).
◦ 뇌졸중 적정성 평가 지표를 포함한 국가별 지표를 살펴보았을 때, 다음의 지표는 심평 원의 평가 지표에는 포함되어 있으나 국외에서는 사용하는 사례가 없었음.
전문인력 구성 여부
금연교육 실시율
지질검사 실시율
건당 입원일수
◦ 반대로 국외에서는 사용하는 지표이나 뇌졸중 적정성 평가 지표에는 포함되어 있는 않 은 지표는 다음과 같음(3회 이상 나타난 지표 기준).
Stroke Unit 입원
재활치료 실시
퇴원 시 지질저하제 투여
입원 또는 퇴원 시 항고혈압제 투여
퇴원 시 뇌졸중 관련 교육 실시
퇴원 시 치료계획 수립
퇴원환자 사망률
혈전용해술 후 뇌출혈 발생 또는 사망
대 한 민 국
미 국
영 국 * 호 주 ** 캐 나 다 독 일 덴 마 크 스 웨 덴 O E C D C M S TJC
구 조
전 문 인 력 구 성 ○
stro k e u n it 운 영 ○
과 정
응 급 실 에 서 뇌 졸 중 선 별 검 사 도 구 사 용 ○ ○
stro k e u n it 입 원 ○ ○ ○ ○ ○
뇌 졸 중 적 정 성 평 가 sca le 사 용 (N IH S S sco re 등 ) ○
뇌 영 상 검 사 실 시 ○ ○ ○ ○ ○
경 정 맥 에 대 한 영 상 검 사 ○
e x tra c ra n ia l v a scu la r im a g in g ○
혈 전 용 해 제 투 여 ○ ○ ○ ○ ○ ○ ○
A cu te a sp irin th e ra p y ○
P ro co a g u la n t 투 여 ○
C a ro tid e n d a rte re c to m y 실 시 ○
금 연 교 육 실 시 ○
연 하 장 애 선 별 검 사 실 시 ○ ○ ○ ○ ○
식 이 위 험 사 정 ○
재 활 치 료 사 정 ○ ○ ○ ○ ○ ○ ○
작 업 치 료 사 정 ○
재 활 치 료 실 시 ○ ○ ○
재 활 병 동 에 서 의 치 료 ○
조 기 이 동 ○
언 어 치 료 ○
실 금 평 가 , 환 자 및 보 호 자 교 육 ○
기 분 장 애 , 인 지 장 애 선 별 검 사 시 행 ○ ○
표 4-3. 외국의 뇌졸중 평가 지표 현황
대 한 민 국
미 국 영 국 * 호 주 ** 캐 나 다 독 일 덴 마 크 스 웨 덴 O E C D
C M S TJC
과 정
정 맥 혈 전 색 전 증 예 방 치 료 ○
지 질 검 사 실 시 ○
퇴 원 시 지 질 저 하 제 투 여 ○ ○ ○
입 원 중 또 는 퇴 원 시 항 고 혈 압 제 투 여 ○ ○ ○
입 원 중 항 혈 전 제 처 방 ○
퇴 원 시 항 혈 전 제 처 방 ○ ○ ○ ○
퇴 원 시 항 응 고 제 처 방 ○ ○ ○ ○ ○ ○
퇴 원 시 뇌 졸 중 관 련 교 육 실 시 ○ ○ ○ ○
퇴 원 시 치 료 계 획 수 립 ○ ○ ○
퇴 원 시 돌 봄 제 공 자 에 대 한 사 정 ○
퇴 원 시 돌 봄 시 필 요 한 간 병 교 육 실 시 ○
결 과
사 망 률 (7 일 , 2 8 일 , 3 0 일 ) ○ ○ ○ ○ ○
혈 전 용 해 술 후 뇌 출 혈 발 생 또 는 사 망 ○ ○ ○
와 파 린 치 료 후 출 혈 로 인 한 입 원 또 는 사 망 ○
뇌 졸 중 후 합 병 증 발 생 (폐 렴 , 욕 창 등 ) ○ ○
기 능 변 화 (A D L , ID L 등 ) ○
건 당 입 원 일 수 ○
재 활 병 동 전 동 까 지 기 간 ○
건 당 진 료 비
의 료 기 관 의 뇌 졸 중 진 료 에 대 한 환 자 만 족 ○
3 0 일 재 입 원 ○
*영국: Th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호주: Australian Commission on Safety and Quality in Health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