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제가 적합한 목적에 사용되는 경우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세금차액이 전액 환급되는 보완적 제도가 병행해서 실시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환급 의 필요성은 용제에 대한 교통세 부과로 인한 추가적인 납세․징세비용 등이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그러므로 용제에 대한 교통세 부과는 보완적인 환급제도가 동시에 실 시되어야 하며 이로인해 발생되는 추가비용도 향후 용제과세 정책실시 의 비용산정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용제에 대한 교통세율의 부과는 유사휘발유 근절이라는 유통 질서의 확립, 유사휘발유 근절에 따른 차량 마모감소, 환경오염 감소, 운 전자를 포함한 국민의 건강증진 등의 부수적 효과를 가져오며, 현재 논 의되고 있는 유류세의 인하가 가져오게 되는 세수손실을 효율적으로 보 전할 수 있는 방안이라는 점에서 향후 유류세 관련 정책에서 반드시 고 려되어야 할 사항이라고 판단된다.
생산요소인 노동과 자본을 일반소비자가 소유하는 반면, 1차에너지원인 발전용연료 등은 일반소비자의 소유대상이 아니므로 전력생산량에 직접 부과하기보다는 발전용연료에 부과하는 것이 국민후생수준에 미치는 부 정적 파급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보다 합리적인 전 력부문 과세방안으로 판단된다.
나. 발전용 연료의 과세 방안
재원확보를 위해 수입부과금을 부과하는 방식은 발전용 연료에 부과 금을 부과하는 것과 발전용 외에 일반용까지 포함하여 부과하는 것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나, 현 분석에서는 현행 수입부과금에서 징수 제외 대상인 석유류제품 및 천연가스에 수입부과금을 징수하는 방식으로, 발 전용 연료에 과세하는 방법만 고려하였다.
통상적으로 부과금이 면제되고 있는 석유, 천연가스, 유연탄, 무연탄, 원자력 연료 등 발전용 연료에 부과금을 부과하는 방식은 세 가지 방안 을 검토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생산된 전력에 부과금을 부과하는 방식이 고, 둘째는 에특회계 또는 전력산업기반기금으로부터의 출연금을 통해, 셋째는 석유 등 화석연료 에너지로부터 징수되는 부담금이다. 본 연구에 서는 세 번째 화석연료 에너지에 부과금을 징수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발전원별 부과는 두 개의 안이 있는데 A안은 발전용 석유, 발전용 천연 가스, LPG의 경우는 일반용과 동일하게 수입부과금을 징수하고, 유연탄, 무연탄, 원자력 연료의 경우는 원유와 열량당 동일한 수준의 부과금을 징수하는 방법이다. B안은 발전용 석유, 발전용 천연가스, LPG의 경우는 일반용 수입부과금의 50% 수준을 부과하며, 유연탄, 무연탄, 원자력 연 료의 경우에는 발전비용 중 연료가격비중을 고려하여 부과하는 방식이다.
A안의 경우 발전용 석유는 리터당 14원, 발전용 천연가스는 톤당
9,750원, LPG는 리터당 14원, 유연탄과 무연탄은 각각 톤당 10,771원, 9,790원, 원자력 연료는 16,320원/toe의 부과금을 징수하며, 2007년 1조
4,846억원이 징수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된 징수액에서 유연탄과 원
자력의 징수액이 전체의 징수액의 약 80%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구 분 발전용 석유
발전용
가스 LPG17) 유연탄 무연탄 원자력
소비량 4,781 10,945 7,469 53,529 2,361 37,175
백만ℓ 천톤 백만ℓ 천톤 천톤 toe
부과금 단가
(원/리터, 톤, toe) 14 9,750 14 10,771 9,790 16,320
부과금 징수액(억원) 669 1,067 1,046 5,766 231 6,067 주: 소비량 전망자료는 중기 에너지수요전망(에너지경제연구원, 2006) 및 2006년 석유
수급 실적 및 2007년 전망(산업자원부, 2007)을 이용
<표 16> A안의 2007년 수입부과금 징수전망
B안의 경우는 발전비용 중 연료가격 비중은 유연탄 46%, 무연탄 58%, 원자력 10%, LNG 71%, 중유 77%로 설정하며, 발전용 석유, 발전용 천 연가스, LPG는 일반용 수입부과금의 50%를 적용하며, 유연탄과 무연탄 은 각각 톤당 6,453원, 5,524원, 원자력 연료는 2,119원/toe의 부과금을 징수하며, 2007년 1조 5,754억원의 징수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된 징 수액의 대부분인 약 60% 징수액을 유연탄 차지할 것으로 추정되며 원자 력이 그 다음의 비중으로 788억원의 징수액을 차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17) LPG의 경우 LPG 소비중 수송부분의 소비를 제외한 산업 및 가정상업 부 문의 LPG 소비를 의미한다.
구 분 발전용석유 발전용
가스 LPG 유연탄 무연탄 원자력
소비량 4,781 10,945 7,469 53,529 2,361 37,175
백만ℓ 천톤 백만ℓ 천톤 천톤 toe
부과금 단가
(원/리터, 톤,toe) 7 4,875 7 6,435 5,524 2,119
부과금 징수액(억원) 335 534 523 3,445 130 788 주: 소비량 전망자료는 중기 에너지수요전망(에너지경제연구원, 2006) 및 2006년 석유
수급 실적 및 2007년 전망(산업자원부, 2007)을 이용
<표 17> B안의 2007년 수입부과금 징수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