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탄력성은 단기의 경우는 -0.538, 장기의 경우는 -0.426로 비교적 높 게 나타났다. 경유의 경우 IP탄력성은 단기 0.659, 장기 1.669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경유의 가격탄력성은 단기의 경우는 -0.377, 장기의 경우
는 -0.955로 장기의 가격 탄력성이 단기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LPG의 단기 가격탄력성은 -0.027, 장기 가격탄력성은 -0.076로 매우 낮 게 나타났다.
세 수송용 유류를 비교하면, 단기탄력성은 휘발유가 -0.538로 가장 높 게 나타났으며, 경유는 -0.377로 휘발유보다 조금 탄력성이 낮게 나타났 으며, LPG는 -0.027로 탄력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장기탄력성의 경우 는 경유의 가격탄력성이 -0.955로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경유 가격의 상 승은 경유 설비의 대체를 크게 발생시킨 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유에 비 해 휘발유와 LPG의 장기 가격탄력성은 각각 -0.426, -0.076으로 매우 비 탄력적으로 나타났으며, 휘발유의 경우는 장기탄력성이 오히려 단기탄력 성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2007년 6월의 휘발유 가격10)은 리터당 세전가격이 603.26원, 정유사 가격이 1,482.30원, 주유소 가격이 1,550.93원이며, 경유는 세전가격이 610.45 원, 정유사 가격이 1,215.10원, 주유소 가격이 1,248.58원이며, LPG는 세 전가격이 396.98원, 정유사 가격이 702.75원, 충전소 가격이 781.01원이 다. 2007년 이후 수송용 유류의 가격 상승을 유통단계별로 살펴보면, 휘 발유의 세전가격은 25.15%, 정유사 가격은 9.88%, 주유소 가격은 9.94%
상승하였다. 경유의 세전가격은 14.76%, 정유사 가격은 7.65%, 주유소
가격은 6.70% 상승하였다. LPG의 세전가격은 17.78%, 정유사 가격은
10.35%, 충전소 가격은 9.45% 상승하였다.
이처럼 유통단계별로 휘발유, 경유 및 LPG의 가격상승률이 다르게 나 타나는 이유는 가격결정 과정에서 작용하는 요인이 단계별로 다르기 때 문이다. 세전 가격은 주로 국제 원유가격, 환율, 정유사의 이윤 등에 의 해 결정되며, 정유사 가격은 세전 가격에 교통세, 교육세, 주행세, 부가 가치세 등의 세금이 부과되어 결정된다. 정유사 가격에 주유소(충전소) 유통마진과 유통마진에 대한 부가가치세가 부과되면 주유소 및 충전소 의 판매가격이 된다. 따라서 세전가격의 상승률이 높은 것은 국제 원유 가와 환율 변화로 인해 국내 원유 도입단가가 상승하거나 정유사의 판 매이익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10) 산자부 고시 제2007-92호 "석유류 가격표시제 등 실시요령" 개정(07.7.18)에
의거 2007년 7월부터 석유공사에는 기존의 주간 정유사 공장도가격 조사발
표를 중지하고 매월 말일 월간 실제판매가격을 발표하고 있다. 이러한 국 내석유제품 가격조사체계의 변경 이유는 정유사 석유판매가격의 이중구조 논란을 해소하며 이용자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시행되었다.
구 분 휘발유 경유 LPG
세전가 정유사 주유소 세전가 정유사 주유소 세전가 정유사 충전소 1997년 223.17 769.20 838.65 244.70 329.90 376.15 - - - 1998년 288.32 1,042.88 1,122.57 319.38 484.46 553.47 - - - 1999년 247.28 1,112.43 1,191.91 243.40 470.14 521.82 - - - 2000년 330.26 1,175.91 1,248.35 336.19 567.44 612.78 - - - 2001년 359.67 1,214.49 1,280.00 343.32 607.63 644.58 293.03 393.12 440.00 2002년 350.50 1,203.93 1,269.10 323.76 651.06 677.58 247.97 404.31 457.69 2003년 375.89 1,231.62 1,294.76 363.94 748.93 772.03 277.98 508.26 567.38 2004년 431.74 1,292.96 1,365.29 433.36 878.70 907.93 304.27 609.03 673.94 2005년 492.01 1,359.38 1,432.25 530.73 1,045.59 1,079.73 332.99 654.93 723.36 2006년 535.05 1,406.91 1,492.43 606.91 1,185.85 1,228.17 371.84 675.10 747.86 1분기 523.29 1,396.63 1,470.88 579.05 1,130.82 1,162.12 412.49 719.81 789.58 2분기 576.23 1,451.87 1,531.61 647.84 1,206.49 1,239.51 337.28 637.09 709.92 3분기 561.80 1,436.70 1,532.44 647.69 1,256.06 1,289.31 368.57 671.50 746.46 4분기 474.19 1,340.33 1,421.29 548.59 1,147.05 1,190.70 368.78 671.74 745.31 2007년 548.12 1,421.65 1,477.14 573.13 1,176.77 1,206.53 373.82 677.28 755.54
1월 482.02 1,348.92 1,410.72 531.92 1,128.72 1,170.16 337.04 636.83 713.59 2월 477.01 1,343.42 1,402.38 541.51 1,139.21 1,164.37 380.05 684.14 760.14 3월 540.17 1,412.90 1,455.96 557.27 1,156.60 1,185.85 370.05 673.13 750.00 4월 579.53 1,456.20 1,505.16 591.86 1,194.65 1,215.32 371.34 674.55 751.33 5월 606.71 1,486.10 1,537.64 605.76 1,209.94 1,238.50 387.45 692.27 769.71 6월 603.26 1,482.30 1,550.93 610.45 1,215.10 1,248.58 396.98 702.75 781.01 자료: 한국석유공사
<표 7> 수송용 유류 가격 추이
(단위: 원/리터)
정유사 가격과 주유소(충전소) 판매가격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것은 세전 가격에 부과되는 세금 중 교통세(특소세)가 종량세 형태로 부과되고, 교육세와 주행세는 교통세의 일정 비율로 부과되기 때 문이다. 교통세, 교육세, 주행세의 총액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정유사 가 격과 판매소(충전소) 판매가격의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주유소(충전소) 판매가격의 상승률이 정유사 가격 상승률보다 낮은 것은 주유소 유통마진과 유통마진에 붙는 부가가치세의 증가가 정유사 가격 의 증가보다 높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는 최근에 이루어 진 휘발유, 경유 및 LPG의 가격 상승은 주로 세전 가격의 상승에 기인 한 것임을 보여주며, 최근의 국제유가의 변동 및 환율 변동을 볼 때 최 근의 국제유가의 상승이 세전 가격 상승의 주요한 요인인 것을 알 수 있다.
나. 수송용 유류세 현황
수송용 유류의 소비자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유류세로, 유류 세는 휘발유, 경유, LPG 등 유류에 부과되는 교통세와 특별소비세, 이들 세금에 추가하여 부과되는 교육세, 주행세, 부가가치세, 판매부과금 등을 의미한다. 2007년 상반기 평균 주유소 및 충전소에서 판매되는 가격은 휘발유의 경우 리터당 1,477.14원, 경유는 1,206.53원, LPG는 751.90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각각의 유류세의 비중이 휘발유가 878.58원으로 59.5%, 경유가 606.35원으로 50.3%, LPG가 310.57원으로 41.1% 수준이다.
휘발유, 경유 및 LPG에 부가되는 세금의 비중은 40~60% 수준으로 다 른 재화에는 10%의 부가가치세만 부가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상당히 높 은 수준이다. 고유가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이러한 높은 세금의 비중은
유류세 인하를 통한 유가 인하 주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상황이며, 향 후 유류세 부담문제는 중요한 쟁점이 될 것이다.
구 분 휘발유 (원/리터)
경유 (원/리터)
LPG
(원/리터) 비고
세전가격 548.12 573.13 373.82 2007년상반기 평균
교통세 526.00 351.00 -
특소세 - - 178.71
교육세 78.90 52.65 26.81 교통세(특소세)의 15%
주행세 139.39 93.02 - 교통세의 26.5%
판매부가금 - - 36.37 LPG만 부가 부가가치세 129.24 106.98 61.57 세후 정유사 가격 1,421.65 1,176.77 677.28 주유소 마진 50.45 27.05 71.15
주유소 부가세 5.04 2.71 7.11 주유소 마진의 10%
주유소 판매가 1,477.14 1,206.53 755.54 유류세 계 878.58 606.35 310.57 유류세 비중(%) 59.5% 50.3% 41.1%
주: 주유소의 마진은 주유소 판매가격과 정유사 판매가격의 차이를 주유소 마진과 주유소 부가세로 나누어 계산했으며, 2007년 상반기 평균 주유소 가격과 정유사 가격을 통해 평균 마진을 산정하였다.
자료: 한국석유공사
<표 8> 수송용 유류 세금 현황(2007년 상반기 기준)
유류세의 부가 현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휘발유의 경우 교통세
로 526원이 부과되며, 교통세의 15%인 78.9원이 교육세로, 교통세의
26.5%인 139.39원이 주행세로, 그리고 세전 공장도가격과 교통세, 교육
세, 주행세를 합한 액수의 10%인 129.24원이 부가가치세로 부과된다. 또 한 주유소의 유통과정에서 붙는 유통마진의 10%에 해당하는 5.04원의 주유소 부가가치세가 추가적으로 부가된다. 경유의 경우 교통세로 351원 이 부과되며, 교통세의 15%인 52.65원이 교육세로, 교통세의 26.5%인
93.02원이 주행세로, 그리고 세전 공장도가격과 교통세, 교육세, 주행세
를 합한 액수의 10%인 106.98원이 부가가치세로 부과된다. 또한 주유소 의 유통과정에서 붙는 유통마진의 10%에 해당하는 2.71원의 주유소 부 가가치세가 추가적으로 부가된다. LPG의 경우는 교통세가 존재하지 않 으며 특소세로 178.71원 부과되며, 특소세의 15%인 26.81원이 교육세로 부과되며, 교통세는 부가되지 않고 판매부가금으로 36.37원 부가된다. 그 리고 세전 공장도가격과 특소세, 교육세, 판매부가금을 합한 액수의 10%
인 61.57원이 부가가치세로 부과된다. 또한 주유소의 유통과정에서 붙는
유통마진의 10%에 해당하는 7.11원의 충전소 부가가치세가 추가적으로 부가된다.
다. 유류세 변화에 따른 가격효과
고유가의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국민, 언론은 물론 정치권까지 한목 소리로 유가 인하를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유류세 인하는 에너지절약 및 에너지 효율 정책에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석유를 전량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입장에서 에너지절약 및 에너지 효율 정책의 지속적 추 진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유류세 인하 이전에 유류세 인하에
따른 가격효과, 유류세 인하에 따른 석유류 소비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유류세 인하로 인한 휘발유, 경유, LPG의 가격 변화에 따른 에너지 소비 패턴의 변화는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통하여 측정할 수 있다. 수요 의 가격탄력성은 가격이 1% 변했을 경우 수요가 몇 % 변하는지를 측정 한 값이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3장 1절에서 추정한 수송용 석유류의 소비함수 추정 결과를 사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휘발유, 경유, LPG의 가격탄력성은 각각 -0.538, -0.377, -0.027로 나타나고 있다.
유류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함께 유류세 인하가 판매가격에 미치는 효 과가 에너지소비 변화 효과에 선행하여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2007년 9 월 국제유가 배럴당 80불인 상황을 기준으로 교통세 및 특소세를 10%
인하하는 경우와 탄력세율 -30%를 적용하는 경우 두 가지에 대해 휘발 유, 경유 및 LPG의 판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해 보았다. 교통세 및 특소세가 변화하는 경우, 교통세(특소세)에 추가하여 부가하는 교육 세와 주행세, 부가가치세가 자동으로 변화하게 된다.11)
국제유가가 80불인 경우, 소비자 가격은 휘발유가 리터당 1581.38원, 경유가 리터당 1336.72원, LPG가 리터당 751.23원이며, 부가되는 세금은
2007년 7월 이후의 교통세 등 유류세의 변동을 반영하였다.
휘발유의 교통세는 리터당 505원, 경유의 교통세는 리터당 358원,
LPG의 특소세는 리터당 160.6원이며, 주행세는 교통세의 32.5% 부과를
반영하였다.
11) LPG의 판매부가금의 경우는 특소세에 연동하여 부가하고 있지 않고 리터당
36.37원을 부가하고 있어, 특소세에 인하에도 판매부가금을 유지된다고 가
정하였다.
구 분 휘발유 (원/리터)
경유 (원/리터)
LPG
(원/리터) 비고
세전가격 642.30 662.72 447.90 2007년 9월 국제유가
80불 기준
교통세 505.00 356.21 -
특소세 - - 160.60
교육세 75.75 53.43 24.09 교통세(특소세)의 15%
주행세 164.13 115.77 - 교통세의 32.5%
판매부가금 - - 36.37 LPG만 부가 부가가치세 138.72 118.81 66.90 세후 정유사 가격 1,525.89 1,306.96 735.86 주유소 마진 50.45 27.05 71.15
주유소 부가세 5.04 2.71 7.11 주유소 마진의 10%
주유소 판매가 1,581.38 1,336.72 814.12 유류세 계 888.64 646.94 295.07 유류세 비중(%) 56.2% 48.4% 36.2%
주1: 산자부 고시 제2007-92호(07.7.18)에 의거 2007년 7월부터 석유공사에는 기존의 주 간 정유사 공장도가격 조사발표를 중지하고 있으며, 세전가격 및 정유사 가격은 실제 판매가격에 따라 산정하였다.
주2: 경유의 교통세는 재경부 보도자료(07.6.2)에 의하면 리터에 358원을 부과하도록 되어있지만 경유에 대해 바이오디젤을 0.5% 혼합하여 판매하며, 바이오디젤은 과제하지 않도록 하고 있어, 교통세를 조정하였다.
<표 9> 수송용 유류 가격 현황(07년 9월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