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부패와 분석 대상 북한주민의 권리

Dalam dokumen PDF 이 교 덕 외 - Kinu (Halaman 61-66)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부패는 다양한 권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로 작용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인권선언과 북한이 가입한 주요 국제인권조약, 특히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과 경제적·사 회적·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에서 공인된 권리에 초점을 두고 부 패와 구체적 북한주민 권리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다만, 반부패 협약과 주요 국제인권조약에서는 부패를 거의 언급하지 않고 있다. 따 라서 조약에 기반을 둔 유엔 기구의 ‘일반논평’에서 언급하고 있는 권 리를 중심으로 부패가 북한주민의 인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자유권규약위원회에서 일반논평을 통하여 특정 권리에 대한 공식 견해를 표명하여 오고 있는데, 일반논평의 대상 권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Ⅱ-3 자유권규약위원회 일반논평 상의 권리

- 생명권(6)

- 고문 혹은 잔혹하고, 비인간적이며 잔혹한 대우 및 처벌(7) - 표현의 자유(10)

- 공정한 재판권(13) - 사생활존중권(16) - 가족권(19) - 사상의 자유(22) - 소수자의 권리(23) - 이동의 자유(27) - 남녀평등(28) - 비차별(18)

* 괄호는 논평번호

* 굵은 글씨로 표기한 것은 분석 대상으로 설정한 권리를 의미

그리고 일반논평의 해석 대상의 권리 이외에도 종교의 자유도 중요 한 권리의 범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권리 이외에도 부패와 인권의 상관성에 주목하는 연구35에서는 정치참여권을 핵심 권리 범 주로 설정하고 있다. 본 과제에서는 주로 북한주민의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만연하고 있는 부패와 북한주민 인권의 상관성을 분석 대상으 로 설정하고자 한다.

그런데 북한의 경우 부패가 정치참여권에 미치는 영향은 아주 미미 하다는 점에서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고자 한다. 정치부패는 입법가들 이 규범과 기준을 만드는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공익을 도외시하 고 자기 지지자들에게 혜택이 가도록 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특히 정치 참여권은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통하여 행사될 수 있다. 자유민주주의

35_Martine Boersma and Hans Nelen (eds.), Corruption & Human Rights: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pp. 38~39.

체제에서는 유권자를 매수하거나 후보자가 되기 위해 뇌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북한은 조선노동당 일당 중심의 사회주의체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부패행위를 통해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영향을 받지는 않 는다. 후보자를 선정하는 피선거권의 경우에도 당에서 결정하는데, 이 과정에서 뇌물을 통하여 후보자로 결정될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 그러나 현재까지 탈북자들의 증언을 통하여 이러한 부패행위는 파악할 수 없었다. 다만 북한은 당 중심의 국가체제이기 때문에 당원 이 될 경우 대의원 후보자로 선정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점에서 뇌 물을 주고 입당을 하는 경우 뇌물은 피선거권에 영향을 주는 원격적 요소의 하나로 작용할 수는 있다. 그렇지만 북한체제의 전반적 특성을 고려하여 정치참여권은 분석의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기로 한다. 구체 적으로 자유권에 대해서는 이동의 자유(북한 내 이동, 탈북, 여권발급) 를 중심으로 살펴보되, 표현의 자유 및 사생활 존중권, 법 앞에 평등과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평등권을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고자 한다.

다만, 생명권, 종교의 자유, 사생활 존중권, 소수자 권리, 고문 등은 현 재 북한 내 부패 현상과 연계성이 미약하므로 본 과제에서는 다루지 않기로 한다.

다음으로 사회권규약위원회에서 일반논평을 통하여 특정 권리에 대 한 공식 견해를 표명하여 오고 있는데, 일반논평의 대상 권리를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표 Ⅱ-4 사회권규약위원회 일반논평 상의 권리

- 적절한 주거권(4) - 적절한 식량권(12) - 교육권(3) - 건강권(14) - 식수권(15)

-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 향유에 대한 남녀평등(16) - 노동권(18)

- 사회보장권(19)

-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에서의 비차별(20)

* 괄호는 논평번호

* 굵은 글씨로 표기한 것은 분석 대상으로 설정한 권리를 의미

사회권 중 식수권과 남녀평등, 사회보장권은 북한주민의 실생활 속 에서 발생하는 부패와 연관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고 위층에서 발생하는 자원의 배분과정에서의 부패행위로 이러한 권리들 이 영향을 받겠지만 현재로서는 이러한 부패행위에 대해 전문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외에도 여성권과 아동권도 부패와 직접적으로 연관될 수 있는 권 리가 많지만 위에서 분석 대상으로 설정한 권리와 부패의 연계성을 다 루는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포함시키기로 한다. 예를 들어 인신매매와 국경관리, 경찰, 사법성원의 부패가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북한의 경우 탈북과정에서 이러한 연계성을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부 패와 아동권과의 상관성과 관련하여 입양절차 동안 보호되어야 할 권리, 인신매매와 성착취로부터의 보호권, 강제노동으로부터 보호받을 권리 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런데 북한의 경우 교육권을 핵심 분석 대상 으로 설정하되, 교육권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부패와 아동권의 상관성 을 부분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현재 북한당국은 공식적으로 무상의무

교육제도를 유지하고 있지만 경제난으로 인해 사실상 무상교육의 의 미는 퇴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이 무상의무교육이 현장에서 사 실상 붕괴되는 과정에서 부패행위가 개입될 가능성은 더욱 커지고 있 다. 본 과제에서는 차별, 접근, 교육의 질이라는 차원에서 부패행위가 교육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Dalam dokumen PDF 이 교 덕 외 - Kinu (Halaman 6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