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 142 -

남의 집을 엿보며 인하여 도둑질과 겁탈하며 빈둥빈둥 놀면서 먹으니, , 금후로는 떼를 이루어 행걸 하는 자는 한결같이 금 하라

(行乞) ( )禁 .31)

요컨대 백정은 범죄를 저지르는 폭력적이고 비규범적이며 반사회적 집단이라는 인식이 확산되, 면서 통제와 검찰이 강화되고 차별과 억압 배제를 당연하게 여기게 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 , . 반사회적 범죄 집단이라는 인식은 별난 생활습관을 갖고 특정한 일에 종사하는 천한 집단이라는 백정의 집합 표상에 덧붙여져서 다른 사람들로부터 격리하여 통제하여야 한다는 주장의 확산에 기 여하였다 요컨대 통제 강화와 강력한 처벌 편호정책의 시행 등이 이루어지면서 백정 범죄가 감소. , , 하였지만 폭력적이고 비규범적이며 반사회적인 범죄 집단이라는 집합 표상은 약화되지 않고 오히, , 려 더욱 공고화되었던 것이다.

다른 인종 4. ‘ ’

백정에 대한 집합 표상은 차별과 억압 그리고 배제를 정당화하는 사회적 기제로 작용하는데 그, , 핵심에는 그들이 우리 와 다른 별난 종류의 집단이라는 인종화가 깔려 있었던 것이다 그 인종화의‘ ’ . 결정체는 백정이 북방에서 온 유목민이라는 인식이었다 백정을 별난 종류의 집단으로 인식하는. 인종화가15세기 중반부터16세기 초에 이르는 기간에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급기야는 우리“ 나라의 재인과 백정은 그 선조가 오랑캐의 종족[胡種]”이라는 낙인까지 생겨났다 백정을 별난 종. ‘ 류 의 인종이라고 보는 인식을 고려시대나 조선 초기에는 별로 찾아볼 수 없었는데 백정 범죄가’ , 폭발적으로 늘어난 성종과 중종 조에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것이다 특히 그들은 습성. , (習性)이 보통 사람과 달라 자기들끼리만 혼인하여 별도로 한 종족(種族)을 이루었다거나 본디 모두 이류, (異

라거나 다른 종류 별종 라거나 재인 과 백정 의 용맹을 강조하며 군정

) , ‘ [ , ]’ , ( ) ( ) ( )

類 別種 才人 白丁 軍丁

에 보충하자는 제안을 하면서 그 선조가 오랑캐의 종족[胡種]이라거나 또 나라에서도 다른 종류, (種 로 여겨 군역 을 정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외래 종족이라는 것을 기정사실화하였다 이러한

) ( ) .

類 軍役

인종화에는 북방 종족의 빈번한 침략을 겪으면서 갖게 된 적대감도 기여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와 같이 이류(異類), 이종(異種), 별종(別種),호종(胡種)등과 같이 백정을 다른 종류의 인간이 라는 낙인과 함께 그들의 선조인 양수척이 고려 때 거란의 침략에 향도 역할을 하였다거나 왜구로, , 위장하여 노략질을 하였다고 하면서 잠재적인 매국 집단으로 묘사하는 사례가 늘어났다 또 만약. “ 에 변고(變故)가 있게 되면 반드시 떼로 모여서 난, ( )亂을 일으키는 위험한 반역세력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그러면서 백정은 기원이나 종류가 다른 별난 인종 집단이라는 집합 표상이 더욱 공고화되. 고 그들을 차별하고 억압하며 배제하는 사회적 기제가 확산되었던 것이다, .

사회적 배제의 제도화 .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생활 풍습 직업 행태 기원 등에 대한 편견이나 낙인 사회 인식이 복, , , , , 31) 성종실록『 』 14권 성종 년3 (1472 ) 1년 월 30 .일

조선의 도살업자 백정 ,

- 143 -

합적이며 중층적으로 결합 작용하면서 백정의 집합 표상이 만들어졌다 곧 백정은 일반 농민들과. , 다른 생활 풍습과 직업을 갖고 있으며 반사회적 범죄 집단이며 북방 유목민의 후예 집단이라는, 집합 표상을 통하여 우리 와 다른 별난 인종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그에 기반하여 그들에 대한‘ ’ , 차별과 억압 사회적 배제가 정당화되고 강화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 기제가 법과 사회 관습으로, . 제도화되면서 백정은 아래 버림받은 집단 으로 간주되며 그들에 대한 차별과 격리 배제가 지속되‘ ’ , 었던 것이다 이제 그러한 사회적 배제의 기제를 정당화되고 강화한 법제화와 관습을 살펴보고자. 한다.

법제화 1.

백정을 일반인 거주 지역에서 떨어져 따로 거주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세종 때부터 성종에 이르기 까지 간헐적으로 제안되고 또 백정 범죄에 대한 강력한 처벌과 엄격한 국가 관리가 시행되었지만, , 백정에 대한 사회적 배제를 제도화한 가장 강력한 수단은 법제화였다 곧 다음과 같이 백정의 별도. , 관리가 경국대전『 』(1474)에 명문화되면서 확고하게 제도화되었던 것이다.

서울과 지방의 재인 백정 은 모두 찾아내어 각방 각촌 에 나누어 보

“ (才人), (白丁) [盡刷] (各坊), (各村)

호하고 장적(帳籍)을 만들어 관직이 있는 자 및 안정된 생업을 가지고 살고 있는 자는 이 제한을 받지 아니한다 본조. (本曹),한성부(漢城府), 본부(本部),본도(本道),본읍(本邑)이 각기 건씩 간직1 하여 매년 출생 사망 도망을 자세히 살펴 왕에게 보고하고 장부에 기록해둔다 도망하는 자는 도형, · · .

유형 부처 의 처벌을 받은 사람의 도망례 에 따라 논죄한다 (徒刑)· (流刑)· (付處) (逃亡例) .”32)

이것은 백정을 일반 백성과 따로 관리하는 것을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요컨대. , ①백정을 모두 찾아내서,②지역마다 나누어 보호하며,③장적 관리 대장 을 만들어 관리하고( ) , ④이를 위반하는 도 망자는 엄격히 논죄한다는 것이다 곧 관리 대장을 만들어 매년 출생 사망 도망 등과 같은 변동. , , , 사항을 기록하고 본조 한성부 본부 본도 본읍에 건씩 보관하여 지역 별로 백정 관리 체제를, , , , , 1 강화하고자 하였다 관직에 있거나 안정된 생업에 있는 자는 예외로 한 것으로 보아 정착과 통합의. 정책 기조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지만 백정의 집단 거주와 별도 관리의 강화를 통하여 백정, 의 엄격한 국가 관리 체제를 구축하고자 한 것이다.

이 법제화는 기존의 백정 통제 정책을 계승 발전시키는 것이었다 세종 때 도입한 군적 등록과. 행장 여행증 실시에 덧붙여 모든 백정의 장적 작성과 보호 관리 제도를 도입하고 그 위반자는 엄[ ] , 격하게 처벌하고자 한 것이다 그 가운데 하나가 거주지 무단이탈에 대한 처벌 강화였다 백정이. . 거주지를 떠날 경우 여행증[行狀]을 발급받아야 했고 이를 위반할 경우 도망례 에 따라 참형, ‘ ’ (斬刑) 과 같은 가혹한 처벌이 가해졌다 그리고 도망친 백정을 추적하여 찾아내서 원래 지역으로 돌려보. 내는 추쇄가 강화되었다 또 지방 관리들은 주기적으로 백정들의 소재를 확인 점검하는 점고. (點考) 를 실시하는 등 백정들의 주거 상황을 엄격하게 관리하였다.

32) 『經國大典』5권 형전(刑典) 「재백정단취(才白丁團聚)”『역주 경국대전CD-ROM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동방미디어주식회사 한국학정보연구소 활용함) .

제 기 박물관대학15 >

직업으로 본 조선시대 생활사

- 144 -

국가 통제가 엄격하게 시행되었지만 백정들이 기근이나 세금 공물 등을 피해서 주거지를 떠나, , 는 사례가 끊임없이 일어났다 이에 따라 성종 때 백정 노대산의 사례에서 보듯이 이를 둘러싼 갈. , 등이 적지 않았다 노대산은 원래 예천에서 살았는데 형을 따라 문경으로 이주하였다가 형이 죽자. , 다시 예천으로 돌아왔다 그의 무단 이주가 처벌 대상이 된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하여 영의정 한명. . 회는 다음과 같이 엄격하게 처벌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백정은 본래 거실 이 없이 산야 에 둔처 하여 무리를 지어 도둑질하고 늘 도살

“ (居室) (山野) (屯處) (屠

을 업 으로 여기기 때문에 국가에서 그들로 하여금 민간 에 섞이어 살면서 더불어 혼가

) ( ) , ( )

殺 業 民間

하지 못하도록 엄하게 법을 세웠으니 그 법이 엄합니다

(婚嫁) , . ...부득이 사민(徙民)중 도망자는 사형(死刑)에 처하는 법을 만들었습니다.지금 만약 조금이라도 용서하여 준다면 신은 뒷날의 폐단, 을 구제하기가 어려울까 두렵습니다.”33)

한명회의 주장에서 보듯이 지배층은 백정들이 모여 살며 무리지어 도둑질을 하는 집단이라고, 인식하면서 엄격한 통제가 필요하다고 보았고 이를 어겼을 때 사형 등 엄벌에 처하여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노대산의 경우처럼 백정들은 불가피하게 거주지를 옮기거나. , ,34) 행상 등으로 나돌아 다닐 일이 많았다 그래서 여행증 행장 발급과 사용에 관련된 불만이 많았다 나중에 행장. [ ] . 에 관한 규정이 다소 완화되기는 하였지만 이와 같은 국가 통제가 법으로 엄격하게 시행되면서, 백정들에 대한 차별과 억압은 더욱 공고화되었던 것이다 백정에 대한 별도 관리와 통제가 법으로. 규정되면서 집단 거주하는 백정 마을이 생겨나고 그에 따라 이웃해 있는 일반 백성 마을과 집단적, 갈등이 빚어지기도 하였다 이렇게 국가 관리 과정이나 거주지를 통해서 특정한 성격을 가진 버림. ‘ 받은 집단 이라는 그들의 정체성은 더욱 강화되었으며 그에 따라 사회적 배제와 차별이 정당화되’ , 었던 것이다.

관습화 2.

백정은 특정한 성격을 가진 버림받은 집단 이라는 인식 아래 자행된 사회적 차별과 억압 배제는‘ ’ , 관습에 의해서 일상생활이나 사회관계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또 강화되어갔다 유교 이념에, . 따라 사람들의 행동거지가 결정되는 조선 사회에서 백정들은 기본적으로 공적 세계뿐만 아니라 사 적 관계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특히 양민들에게 예의를 갖추고 복종하는 태도를 보여야 했다 하급, . 자가 상급자에게 갖추어야 할 공손한 예의와 행동거지는 그들의 기본적인 자세였다 그것은 다양한. 형태의 관습으로 굳어져서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백정들의 삶을 지배했다 예를 들어 백정. , 은 좋은 의미를 가진 글자로 이름을 지을 수 없었기 때문에 대개 천한 이름을 가졌다 차별은 일상. 생활에서의 대화나 옷차림 가옥 등 모든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일어났다 일반 백성들과 대화하면, . 서 백정들은 상대방의 나이에 관계없이 존댓말을 썼지만 일반인들은 반말을 하였다 백정 남성들, , . 은 갓 대신에 굴욕적인 패랭이 평양자[ (平凉子)]를 착용하고 여성의 경우에는 비녀를 꽂는 대신에,

33) 성종실록『 』 33권 성종 년4 (1473 ) 8년 월 일9 .

34) 논란 끝에 성종은 노대산의 형편을 감안하여 감형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