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0 -
여러 가지 문구를 보내기도 하였다 이것이 송성진에게 발각되면서 당국의 처지로 그들은 쫓겨나게. 되고 부동산 전부는 송성진에게 차압을 당하고 집은 명도 신청을 하게 된다 고자 아들을 양자로, , . 보내는 주 목적이 재산 때문이라면 갑자기 부자가 된 아들의 재산을 나누어 가지려는 목적은 빤한 것이다.
해방 이후1947 1 23년 월 일자에는 친일 주구의 대 도박단 전 관선 도의원 송성진 일당 체포 라‘ ’ 고 하여 일제시대 관선 도회의원을 지냈으며 신사 도박범으로 유명한 부호 내관 송성진을 시내, 돈암동 자택에서 체포하였다는 기사가 실린다. 1950 3 14년 월 일자 신문에는 가평 송성진씨 군용“ 지로 토지 희사 라고 하여 송성진이” , 1950년 월2 25일 육군 제212부대 가평 파견대를 방문하여 자기 소유의 밭3,782평을 군용지로 기증한 내용이 기사화됐다 그가 토지를 희사한 이유는 알 수. 있지만 일제시대 친일한 사람들이 해방 이후 자기 재산을 보호할 목적으로 시대 상황에 맞추어 가 는 경우는 흔히 볼 수 있다 돈을 모으기 위해 도박장을 개설하는 등 위기에 몰리자 군대에 토지를. 희사하여 새로운 시대에 적응해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른 특이한 사건으로1935 11 7년 월 일자 동아일보 에서는 내시 부부의 이혼 청구 소송을 소개『 』 하고 있다 청구 소송을 낸 사람은 한성부 죽첨정에 사는 부인 손씨. (42 )세 로 파주군 이동면에 사는 남편 이정석을 상대로 한 것이다 부인 손씨는. 13세에 부모의 명령으로 이정석에게 시집왔는데, 년 전부터 자신을 때리는 등 학대하기 시작하자 경성에 와서 별거하던 중 견딜 수 없어 이혼 2~3
청구 소송을 낸 것이다.
환관들이 조선시대처럼 궁중의 필요가 없어진 상태에서 그들을 지탱해 주는 것은 오직 왕에 대한 향수와 재산이다 그러나 재산은 또 다른 분쟁의 원인이 되고 더 이상 양자를 제어할 수도 없게. , 된다 이후 이들은 흔적으로만 남고 사라졌다. .
오늘날 존재의 의미 .
Ⅴ
이상으로 조선시대 관료조직 내 소수자로 임금의 측근으로 존재하였던 환관의 위상변화에 대하 여 살펴보았다 신분제 사회인 조선에서 천한 신분인 환관이 절대적 영향력을 행사하기는 힘들었. 다 양반 관료조직 속에 소수로 존재하면서 이들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것은 애초에 국왕권이 강하. 지 못하였던 상황에서는 불가능하였다 오늘날도 마찬가지이다 환관들은 왕이 필요로 하는 기본적. . 인 일에 충실하여야 한다 이것을 넘어서 중국처럼 황제의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거나 정책을. , 바뀌어 버리는 상황을 지나 환관들이 황제를 선택하는 상황이 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 오늘날 실무, . 정책 부서보다는 일부 비서실이 더 큰 권력을 가지는 경우는 흔히 볼 수 있다 이것은 장기적 면에. 서 옳지 않은 일이다 환관들의 임무는 왕이 황제가 대통령이 제대로 정책을 결정하고 판단할 수. , , 있는 그림자 역할에 충실하여야 할 것이다.
왕의 남자 환관 삶의 흔적 ,
- 61 -
참고문헌
에 관한
, , , 1982.
朴漢男 高麗內侍「 硏究 成均館大碩士學位論文」
신명호 조선시대 환관가족의 구성과 기능, 「 」 『, 고문서연구』 26, 2005.2.
의
, , 17, 1994.
李東熙 朝鮮初期 宦官「 王命出納活動」 『全北史學』 의 에 대하여
, , 1, 1958.
李愚喆 高麗時代「 宦官 」 『史學硏究』
, , , 2003.
張熙興 朝鮮時代 宦官 硏究 東國大大學院博士學位論文「 」
장희흥, 「『養世系譜』를 통해 본 朝鮮時代 內侍家의 家系 繼承」 『, 역사민속학』 22, 2006.6.
장희흥, 「甲午改革 이후 內侍府의 官制 변화와 宦官制의 폐지」 『, 동학연구』 21, 2006.
장희흥 내시 권력을 희롱하다 경인문화사, 『 , 』, , 2006.
장희흥 대한제국기 내시 강석호의 활동, 「 」 『, 사학연구』 89, 2008.
장희흥, 갑신정변과 궁중 내부 세력의 내응과 반발 특히 내시 유재현을 중심으로「 - - ,」 『동학연 구 26, 2009.』
홍순민 조선왕조 내시부의 구성과 내시 수효의 변천, 「 」 『, 역사와 현실』 52,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