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본 연구에서는 보증연계투자를 받은 기업의 성장성 평가를 위해 앞서기 술한 것처럼 매출액증가율 및 총자산증가율 지표를 사용하였다. 매출액증 가율은 전년도 대비 당해연도 매출액의 증가율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기업 의 성장성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로 활용된다. 경쟁기업 대비 높은 매출 액 증가율은 기업의 외형적 성장뿐만 아니라 시장점유율의 증가를 나타내 며, 이를 통해 당해 기업의 경쟁력 변화를 파악해 볼 수 있다. 또, 총자산 증가율은 기업에 투입된 총자산이 전년도에 비해 얼마만큼 증가했는지를 보여주는 비율로 이 비율이 높다는 것은 적극적인 영업 및 투자활동이 발 생해 당해 기업의 규모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매출액증가율과 총자산증가율에 대한 각 지표의 이중차이분석(DID)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매출액증가율

<표 4-13>은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연계투자 지원이 기업의 성장성 측 면 중 매출액증가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추정한 결과이다. 각 년도의 ATT는 매칭 후 처리집단(보증연계투자 지원기업)과 비교집단(비 투자기업) 간 투자 이전 시점(T-1) 대비 투자 당해연도(T+0) 및 투자 이후 시점(T+1기, T+2기) 간에 서로 이중차분된 매출액증가율 지표의 순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효과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부호가 양 (+)이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면 처리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매출액증 가율 지표 측면에서 유의미한 개선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표 4-13> PSM-DID 분석결과 : 매출액증가율

년도 T+1 T+2

DID S.E. T-stat DID S.E. T-stat 2014 5.12 17.76 0.29 9.85 18.07 0.54 2015 14.38 167.14 0.09 292.44 166.38 1.76*

2016 8.36 10.74 0.78

전체 100.4526 141.8719 0.71 89.88988 197.81 0.45 업력 -15.54 4.89 -3.18***

log총자산 -1.35 34.03 -0.04 log매출액 107.15 28.66 3.74***

고용인원 0.47 .36 1.29

당기순이익 -.01 .01 -0.53 업종 -5.66 55.25 -0.10 주) ***p<0.01, **p<0.05, *p<0.1

위 표를 통해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보증연계투자 기업의 매출액증가율 은 비투자기업에 비해 비교적 긍정적(+)인 방향으로 지표가 나타나고 있 어 개선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보증연계 투자 기업의 매출액증가율은 분석대상 기간인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모 든 기간에 걸쳐 T+1기 및 T+2기 모두 비투자기업 대비 양(+)의 매출액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T+1기의 경우 2014년 5.12, 2015년 14.38, 2016 년 8.36의 수준만큼 증가율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2014년의 경우 T+1기 의 DID결과가 다른 년도와 비교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신용보증기금이 정책적인 이유로 2005년 이후 약 10년간 직접투자 업무 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2014년 새롭게 제도 정비를 통해 사업을 개시함 에 따른 시행착오로 예측해 볼 수 있겠다. 다만, 분석 결과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며 단지 그 방향성만을 추정해 볼 수 있을 뿐이다.

한편, T+2기의 경우에는 2014년 9.85, 2015년 292.44의 수준만큼 비투자 기업 대비 투자기업의 매출액증가율 지표에서 양(+)의 결과 값을 보여주 고 있다. 또한 2015년의 경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값을 나타내고 있 다.

매출액증가율은 2015년 T+2기의 결과를 제외하고는 통계적 유의성을 발결할 수 없었으며, 이러한 결과값을 고려해볼 때 성과의 방향성 관점 에서만 어느 정도의 긍정적인 방향의 순효과를 보일 것이라는 제한적인 추정만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2014년과 2015년 모두 T+1기에 비해 T+2기의 순효과가 증가하고 있어 투자의 효과가 투자시점 이후 지 속적으로 확대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서 중소기업에 대한 직접투자를 단기적인 매출액증가를 기대하고 실행하 기 보다는 기업의 중장기적인 성장가능성을 보고 직접투자 대상을 선별 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2) 총자산증가율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연계투자가 기업의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기 위한 두 번째 지표인 총자산증가율 결과는 <표 4-14>에 나타 나 있다. 각 연도의 ATT는 매칭 후 처리집단(보증연계투자 기업)과 비 교집단(비투자기업) 간 투자 이전 시점(T-1) 대비 투자 이후 시점(T+1 기, T+2기) 간에 이중차분된 총자산증가율의 순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표 4-14> PSM-DID 분석결과 : 총자산증가율

년도 T+1 T+2

DID S.E. T-stat DID S.E. T-stat 2014 9.60 11.67 0.41 5.82 12.03 0.48 2015 -12.22 26.48 -0.46 -26.94 26.54 -1.01 2016 -3.29 10.42 -0.32

전체 24.15 37.61 0.64 -6.30 52.91 -0.12 업력 -5.13 1.31 -3.93***

log총자산 127.61 9.09 14.05***

log매출액 -26.745 7.58 -3.53***

고용인원 .2428 .10 2.50**

당기순이익 .00 .00 0.73

업종 -14.60 14.77 -0.99 주) ***p<0.01, **p<0.05, *p<0.1

중소기업에 대한 보증연계투자는 총자산증가율 측면에서 T+1기에는 다 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T+2기에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 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T+1기의 경우 2014년 9.60, 2015년 -12.22, 2016년 -3.29의 수준만큼 증가율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또한 T+2기에는 2014년 5.82, 2015년 -26.94의 처리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전체 기간의 투 자기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도 T+1기는 24.15 만큼의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고 있으나 T+2기에는 -6.30만큼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나고 있 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이중차이분석은 투자 이전과 이후의 시점간 차이가 고려된 투자의 순효과로서 전체기간을 대상으로 지원년도를 통제 하고 분석을 실시한 결과, T+1기에는 양(+)의 효과가 나타나고 T+2기에 는 음(-)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고 있지는 않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에 대한 직접투자가 단기간에는 기업의 자본금을 확충함으로써 성장을 위한 외형적 규모 확대에는 긍정적인 효 과가 있으나 추가적인 투자 유치 등으로 연계되지 않아 오히려 총자산 규모가 감소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매출액증가율과 총자산증가율을 통해 보증연계투자 기업이 성 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우선 보증연계투자를 받은 기업은 비투 자기업에 비해 투자 이전 시점(T-1기) 대비 투자 1년 후 재무지표에 긍 정적인 순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이를 종합해볼 때 보증연 계투자가 기업의 성장성을 개선시키는 하나의 요소로 판단되며, 보증연 계투자가 비투자기업 보다 성장성 측면에서 경영성과가 양호할 것이라는 연구가설은 일부 성장성 측면에서 비교적 양호한 재무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