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이익률과 총자본영업이익률(ROA)에 전반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시점에 따른 효과는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출 액영업이익률은 투자 직후년도인 T+1기에는 부(-)의 관계를 보이고 있 으며 점차 개선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총자본영업이익률은 T+1기 및 T+2기 모두 양(+)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는 유의미하지 않은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표 4-17> PSM-DID 분석결과 : 부채비율

년도 T+1 T+2

DID S.E. T-stat DID S.E. T-stat 2014 -1.84 4.28 -0.43 -3.76 4.43 -0.85 2015 -5.98 5,99 -1.00 -10.88 6.18 -1.76*

2016 -5.15 3.96 -1.3

전체 -1.96 3.58 -0.55 -8.66 5.06 -1.71*

업력 -0.76 0.12 -6.17***

log총자산 2.17 0.86 2.53**

log매출액 -1.12 0.74 -1.50 고용인원 0.003 0.01 0.28 당기순이익 -0.004 0.00 -6.97***

업종 0.511 1.38 2.55**

주) ***p<0.01, **p<0.05, *p<0.1

일반적으로 직접투자는 자본금을 확충함으로써 기업의 재무적 안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본 연구에서도 입증된 결과를 보이 고 있는데, 위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보증연계투자 이후 기업의 부채 비율은 T+1기 및 T+2기에 모두 일관되게 양(+)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T+2기에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T+1기 부채비율의 경우 보증연계투자 기업의 비투자기업 대비 순효과는 2014년 -1.84, 2015년 -5.98, 2016년 -5.15로 나타났으며, T+2기에는 2014년 -3.76, 2015년 -10.88의 순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전체기간을 대상으로 부채비율에 미치는 순효과를 추정해 본 결과 T+1기 -1.96, T+2기 -8.66으로 나타나 보증연계투자가 부채비율 감축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T+2기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함 을 알 수 있다.

2) 이자보상배율

보증연계투자 지원 여부가 안정성 지표 중 이자보상배율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표 4-18>와 같다.

<표 4-18> PSM-DID 분석결과 : 이자보상배율

년도 T+1 T+2

DID S.E. T-stat DID S.E. T-stat 2014 80.08 204.40 0.39 119.41 214.30 0.56 2015 110.98 102.14 1.09 96.76 105.89 0.91 2016 101.62 88.44 1.15

전체 425.38 537.53 0.79 255.38 844.68 0.30 업력 -11.72 18.43 -0.64

log총자산 -933.92 130.33 -7.17***

log매출액 993.67 113.27 8.77***

고용인원 -2.20 1.36 -1.62*

당기순이익 .163 .05 3.27**

업종 .58 209.93 0.00

주) ***p<0.01, **p<0.05, *p<0.1

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T+1기에는 2014년 80.08, 2015년 110.98, 2016년 101.62로 양(+)의 순효과를 보였으며, T+2기에는 2014년 119.41, 2015년 96.76의 양(+)의 순효과를 나타내었다.

각 년도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의 전체기간을 대상으로 이자보상배율 지표에 대한 순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T+1년 425.38, T+2년 255.38의 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이자보상배율에 대한 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찾아볼 수 없어 일반화시키기엔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이상으로 안정성 측면에서 효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부채비율과 이 자보상배율 모두 대체적으로 양(+)의 순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부채비율은 T+2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보이고 있어 보증연계투자 기업이 비투자 기업보다 양

호한 재무적 안정성을 보일 것이라는 연구가설은 일부 지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