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이상에서 매출액증가율과 총자산증가율을 통해 보증연계투자 기업이 성 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우선 보증연계투자를 받은 기업은 비투 자기업에 비해 투자 이전 시점(T-1기) 대비 투자 1년 후 재무지표에 긍 정적인 순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이를 종합해볼 때 보증연 계투자가 기업의 성장성을 개선시키는 하나의 요소로 판단되며, 보증연 계투자가 비투자기업 보다 성장성 측면에서 경영성과가 양호할 것이라는 연구가설은 일부 성장성 측면에서 비교적 양호한 재무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고 볼 수 있다.

<표 4-15> PSM-DID 분석결과 : 매출액영업이익률

년도 T+1 T+2

DID S.E. T-stat DID S.E. T-stat

2014 0.16 2.92 0.05 0.93 3.02 0.31

2015 -0.86 1.99 -0.43 2.39 2.06 1.16 2016 -1.70 4.99 -0.34

전체 4.20 16.61 0.25 24.14 22.95 1.05

업력 .10 .57 0.18

log총자산 -28.81 4.06 -7.10***

log매출액 55.07 3.56 15.46***

고용인원 -.10 .042 -2.24**

당기순이익 .00 .00 0.90

업종 7.42 6.48 2.69**

주) ***p<0.01, **p<0.05, *p<0.1

보증연계투자가 기업의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각 시기별로 다른 양 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투자 후 1차년도 매출액영업이익률은 대 체적으로 부(-)의 관계를 발견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2014년 0.16, 2015년 -2.73, 2016년 -1.70의 수준만큼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보통 투자유치를 위해 투자직전 년도에 매출액 증가 및 영업이익 증가율 제고 에 집중하고 투자 또는 IPO 직후에 매출액 및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경향 이 있는 것과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김재진(2014)의 선행연구 에서도 벤처캐피탈 투자가 영업이익 증대에 미치는 영향이 1차년도에는 부(-)의 관계가 있고 2차년도에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는 선행연 구와 같은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한편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연계투자가 매출액영업이익률에 미치는 영향 은 2차년도에 직전 년도에 비해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데, 구체 적으로 2014년도에는 정(+)의 관계가 나타났고 2015년도에는 부(-)의 관 계가 지속되고는 있으나 직전년도에 비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총자본영업이익률

<표 4-16>는 중소기업에 대한 보증연계투자 지원이 기업의 수익성 지 표 중 총자본영업이익률(ROA)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추정한 결과 이다.

<표 4-16> PSM-DID 분석결과 : 총자본영업이익률

년도 T+1 T+2

DID S.E. T-stat DID S.E. T-stat 2014 3.36 27.00 0.12 8.50 27.68 0.31 2015 7.94 34.04 0.23 26.90 34.67 0.78 2016 12.13 20.15 0.60

전체 25.55 22.80 1.12 13.59 31.73 0.43

업력 -.71 .79 -0.90

log총자산 -18.16 5.50 -3.30**

log매출액 24.60 4.59 5.36***

고용인원 -.04 .06 -0.66

당기순이익 .01 .00 3.52***

업종 -1.01 8.93 -0.11 주) ***p<0.01, **p<0.05, *p<0.1

위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총자본영업이익률은 보증연계투자 기업이 비투자기업에 비해 전반적으로 양호하게 개선된 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 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보증연계투자 기업의 총자본영업이익률은 본석 대상 기간인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전 기간에 걸쳐 T+1기와 T+2기 모두 비투자기업과 비교해 양(+)의 효과를 보이고 있다. T+1기의 경우 2014년 3.36, 2015년 7.94, 2016년 12.13의 비율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T+2기에는 2014년 8.50, 2015년 26.90의 비율차이로 나타나 방향성 관점에서 긍정적 인 순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모든 시기에 통계적 유의 성이 나타나지 않아 일반화시키기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보증연계투자가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영업

이익률과 총자본영업이익률(ROA)에 전반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시점에 따른 효과는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출 액영업이익률은 투자 직후년도인 T+1기에는 부(-)의 관계를 보이고 있 으며 점차 개선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총자본영업이익률은 T+1기 및 T+2기 모두 양(+)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는 유의미하지 않은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