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1) 신용보증

신용보증은 신용보증기금법12)에 근거하여 미래성장성은 높으나 담보가 부족한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채무를 보증을 통해 자금을 공급함으로써 국가성장을 위한 동력을 확충하고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운영 하는 제도이다. 신용보증 제도는 자금력이 부족한 기업의 원활한 자금융 통을 지원하고 특히 경제위기시 즉 급격한 금융시장 환경 변화 시 국가 경제의 버팀목으로서 안전판 역할을 수행해 왔다. 신용보증 규모는 IMF 외환위기,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국가적인 경제위기 상황 하에서 GDP증가율과 정반대 방향으로 작동되어 왔으며 이를 통해 경기변동의 진폭을 다소 완화시키고 경제발전 재도약의 기틀을 마련해 왔다.

<그림 2-2> 경제성장률과 신용보증 증가율

12) 신용보증기금의 설립·관리·운용을 통해 건전한 신용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1974.12.21에 제정한 법률

(출처 : 신용보증기금 2017년 존치보고서) 한국의 신용보증제도는 1976년 6월 신용보증기금이 설립되면서 본격적으 로 정책금융 형태로 시작하게 되었는데, 여타 선진국들에 비해 짧은 도입 기간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 성장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한 국의 정책보증은 보증잔액을 기준으로 IMF 외환위기 시기(’96~’98년)에 142.0% ,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07~’09년)에 53% 각각 증가하는 등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경기침체를 완화시키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다 (서호준, 2015).

한편 한국의 보증지원은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및 신용보증재 단13) 3원화되어 있으며 중복 지원 등 정책효율성을 저해한다는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신용보증은 IMF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 기 등 국가적인 경제 위기시 양적 확대를 통해 중소기업에 즉각적인 유동 성을 공급함으로써 국가적 경제 재난을 조기 극복하는 데 크게 기여하여 왔다. 하지만 확대된 보증규모는 여러 문제점을 양산함으로써 끊임없이 축소논란에 휩싸였으며, 과도하게 확대된 신용보증 규모가 시장의 자율적 인 기업 구조조정 기능을 저해하고 민간 금융기관의 중소기업 여신심사능 력을 더디게 발전시키게 한다고 믿어졌던 것이다(박창일 외, 2015).

신용보증제도는 이처럼 정책적 순기능과 역기능의 양면성을 가지고 있 어 여러 학자들로부터 신용보증 확대론과 무용론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13) 지방자치단체 출연금을 재원으로 운영되는 보증기관으로 전국 16개 신용보증 재단 운영

실제 선행연구에서도 각각의 실증분석을 통해 신용보증의 효과성을 검증 하고 있는데, 연구의 대상이나 표본, 방법론, 해석상 차이 등으로 결과가 상당히 상이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이는 신용보증 제도의 효용 및 정책적 효과에 대한 실체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박창일 외, 2015).

전술한 바와 같이 신용보증을 통해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기관은 신용보 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지역신용보증재단, 무역보험공사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들 기관의 보증지원 실적과 보증기관별 보증잔액은 다음 <표 2-12> 및 <표 2-13>과 같다.

<표 2-12> 4대 보증기관(신보, 기보, 지신보, 무보) 보증지원 실적14) (단위: 조원) 구분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8월

신규발급

신보 9.3 9.9 11.4 10.9 10.8 11.8 11.8 7.7 기보 3.8 5.0 5.7 5.0 5.8 5.3 5.3 3.2 지신보 3.7 3.8 5.1 5.5 7.2 6.7 6.8 5.1 무보 1.9 2.9 3.8 5.3 4.4 3.1 1.5 0.8 계 18.7 21.6 26.0 26.7 28.2 26.9 25.4 16.8

만기연장

신보 30.4 29.5 30.2 31.5 31.7 32.3 33.4 23.9 기보 12.8 12.9 13.7 14.6 15.1 16.1 16.7 11.9 지신보 2.4 2.6 2.7 3.0 3.0 4.5 4.8 3.5

무보 4.0 3.2 3.0 1.2 1.2 1.7 1.6 1.0 계 49.6 48.2 49.6 50.3 51.0 54.6 56.5 40.3 합 계 68.3 69.8 75.6 77.0 79.2 81.5 81.9 57.1

14) 출처 : 금융위원회

<표 2-13> 4대 보증기관(신보, 기보, 지신보, 무보)별 보증잔액15) (조원, %) 구분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8월 신보 29.6 28.9 31.7 42.3 43.0 42.4 43.2 44.0 43.8 42.8 44.6 48.6 49.9 기보 11.2 11.2 12.6 17.1 17.4 17.3 18.2 19.7 20.2 20.7 21.2 21.9 22.1 지신

보 4.0 4.6 6.0 11.2 13.2 13.6 13.5 14.3 14.5 16.2 18.0 19.2 20.2 무보 1.0 0.9 1.1 4.8 3.5 3.0 3.2 3.7 3.5 3.1 2.4 2.0 1.9 합계 45.8 45.7 51.5 75.5 77.1 76.3 78.1 81.7 82.0 82.8 86.2 91.7 94.1 GDP 966.1 1,043.3 1,104.5 1,151.7 1,265.3 1,332.7 1,377.5 1,428.3 1,485.1 1,564.1 1,637.4 - - 비중 4.7 4.4 4.7 6.6 6.1 5.7 5.7 5.7 5.5 5.3 5.3 - -

* 신보와 기보의 보증잔액은 일반보증과 유동화보증에 한함 2) 보증연계투자

보증연계투자는 신용보증지원과 연계하여 사업성과 미래성장성이 우수한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직접 투자(equity)함으로써 다양한 자금 조달기 회를 제공하고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이다. 보증과 투자 가 연계된 융복합 금융상품을 통해 중소기업과 창업기업의 직접금융시장 접 근성 강화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민간투자 시장은 수익성 중심의 투자운영으로 창업기업에 대한 투자기 피 성향이 높아 창업기업이 투자를 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신보와 기보 등 보증기관에서 보증과 연계된 보증연계투자 상품을 도입하여 총 투자금액 의 50% 이상을 창업초기기업(설립 후 5년 이하)에 투자하도록 내규에 정하 고, 민간의 선투자가 없는 유망한 창업기업 선발하여 투자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운영함으로써 창업기업에 대한 민간투자 소외영역을 보완하고 있다.

신보와 민간 VC의 창업기업에 대한 투자비중은 아래 <표 2-14>와 같다.

15) 출처 : 금융위원회

<표 2-14> 신보와 민간VC의 창업기업 투자비중

(단위: %) 구 분 ′14년 ′15년 ′16년 ′17년* 계 신보(A)

7년 이하 76.3 73.8 68.6 74.5 73.0 5년

이하 53.8 51.4 50.0 69.5 57.3 민간VC

(B)

7년 이하 55.6 59.0 65.4 66.8 61.3 5년

이하 45.3 48.2 53.7 52.8 49.9 차이

(A-B)

7년 이하 20.7 14.8 3.2 7.7 11.7 5년

이하 8.5 3.2 -3.7 16.7 6.2 주1) 민간VC는 ‘17.6월말기준 통계적용

주2) 민간VC의 창업초기기업(5년 이하) 실질투자비중은 35%내외로 추정 보증연계투자의 종류 및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보증연계투자로 사업전망이 양호한 비상장 중소기업에 대해 신․기보에서 주식 또는 사채를 한도 30억원 이내에서 인수하는 상품과 둘째, 투자옵션부보증 상품으로 창업단계에서 보 증부대출을 통해 저리의 Seed Money를 제공하고 도약단계에서 경영성과에 따라 보증부대출을 자본으로 전환하는 상품이 있다.

보증연계투자의 효과로는 경영권 간섭 최소화(지분 취득 한도 20% 설정)으 로 민간 VC 등과 비교시 경영권을 보장하고 공신력 있는 신보의 투자로 대외 신인도 상승 및 후속투자 유인에 기여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자본투자 (equity)로 부채로 계상되지 않음으로써 자본 확충에 기인한 재무건전성 향 상 효과가 크다.

신보의 보증연계투자 운용근거는 ’04. 7월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대책」을 통해 보증연계투자 업무취급근거 마련 후 ’05. 1월 재경부 지침에 의거 업무가 개시되었으며 ’11. 7월 업무취급의 법적근거 미흡에 따른 대외 지적 및 “공공 기관 선진화계획”에 따라 지침 폐지 후 신규투자가 중단되었다. 이후 ’13.

5월 신용보증기금법 개정 및 ’13. 8월 신용보증기금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법적 근거 마련 후 ’14년부터 업무가 상시화되었다. 또한 기금법16) 상 보증연 16) 신용보증기금법 제23조의4 제2항

계투자 총액한도를 기본재산과 이월이익금 합계액의 10/100 이내로 한정하 고 있으며 기금운용계획 사업예산 항목으로 기획재정부 및 국회 승인에 의해 매년 운용규모를 결정하고 있으며 ’14년 이후 예산 규모는 아래 <표 2-15>와 같다.

<표 2-15> 연도별 보증연계투자 예산 규모

(단위 : 억원) 구 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예산 규모 250 250 350 400 400

투자대상은 신보의 보증을 이용하고 있는 기업 중에서 기술력이 뛰어나고 경영진의 경영능력이 우수하며 미래 사업전망이 양호한 비상장 중소기업으로 향후에 IPO(기업공개) 가능성 등 Exit(투자금 회수) 가능한 기업을 주요 대상 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정책금융의 특성상 제규정에 총투자금액의 50%이상을 설립 후 5년 이내 창업 기업에 지원할 의무를 명시함으로써 창업초기 기업에 대한 마중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투자종류는 주식(보통주, 상환전환우선주) 또는 사채(전환사채, 신주인수권 부사채) 인수로 구분되며 세부 운영사항은 아래 <표 2-16>과 같다.

<표 2-16> 보증연계투자 투자종류

투자종류 상환청구

가능여부 전환청구

가능여부 배당(이자)

수령여부 투자기간*

보통주 부 부 주총 결의 시 3년∼10년

상환전환우선주** 여 여 주총 결의 시 3년∼10년

전환사채 여 여 매 3개월 5년이내

신주인수권부사채 여 부 매 3개월 5년이내

주) 상환청구권, 보통주 전환권, 배당우선권의 옵션이 부여된 주식

신보의 보증연계투자 현황을 살펴보면 신용보증기금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투자 업무가 상시화된 ’14년부터 꾸준히 투자 규모 및 업체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신보의 보증연계투자 현황은 아래 <표 2-17>

<표 2-18> <표 2-19> <표 2-20>과 같다.

<표 2-17> 보증연계투자 현황

(단위 : 개, 억원, %) 구분 ’05

~’07 ’08년 ’09년 ’10년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

9월 합계 투자금액 265 100 100 67 - - - 240 250 350 400 228 2,000 업체수 27 9 11 8 - - - 27 30 45 62 33 252 원금회수 12 23 43 78 73 48 6 28 33 37 37 29 447 투자수익 11 8 28 16 39 21 2 16 32 36 61 8 278 투자손실 - 37 10 10 10 52 7 - 11 18 51 - 206 투자손익 11 △2

9 18 6 29 △3

1 △5 16 21 18 10 8 72 투자잔액 254 299 346 325 237 127 114 326 542 837 1,14

8 1,34

6 1,346 수익률연간 5.6 △1

1.5 5.9 1.8 9.1 △1 3.2

△4.

0 14.4 6.4 3.3 1.2 1.0 수익률누적 4.1 △5.

0

△0.

1 1.0 6.6 △0.

7

△0.

3 1.9 3.5 3.9 3.6 3.6 3.6 주1) 연간수익률 = 당해 연도 투자손익 / 기초 투자잔액

주2) 누적수익률 = 누적 투자손익 / 누적 투자금액

업력별 투자현황을 살펴보면 제규정 상 총투자금액의 50%이상을 창업 기업에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창업기업의 투자비중이 50%를 상회하고 있다.

<표 2-18> 보증연계투자 업력별 투자현황

(단위 : 개, 억원, %) 구 분 창 업(설립후 5년이내) 일 반(설립후 5년초과)

3년 합계

이하 5년

이하 소계 7년

이하 10년

이하 10년

초과 소계

‘05년

‘10년

업체수 7 12 19 5 10 21 36 55

(비중) (12.7) (21.8) (34.5) (9.1) (18.2) (38.2) (65.5) (100)

금액 63 108 171 32 102 227 361 532

(비중) (11.8) (20.3) (32.2) (5.9) (19.2) (42.7) (67.8) (100)

‘14년 이후

업체수 72 57 129 24 21 23 68 197

(비중) (36.5) (28.9) (65.5) (12.2) (10.7) (11.7) (34.6) (100) 금액 454 429 883 205 185 196 585 1,468 (비중) (30.9) (29.2) (60.1) (14.0) (12.6) (13.3) (39.9) (100)

합계

업체수 79 69 148 29 31 44 104 252

(비중) (31.3) (27.4) (58.7) (11.5) (12.3) (17.5) (41.3) (100) 금액 517 537 1,054 237 287 423 946 2,000 (비중) (25.9) (26.8) (52.7) (11.8) (14.3) (21.2) (47.3) (100) 주) 평균업력 : (‘05년∼’10년) 8.9년 / (‘14년 이후) 4.9년

<표 2-19> 투자종류별 보증연계투자 현황(‘14년 ~ ’18.9월말) (단위 : 억원, %) 구 분 ′14년 ′15년 ′16년 ′17년 ′18.9월 계 우선주

(전환상환)

금액 240 220 213 334 198 1,205 (비중) (100.0) (88.0) (60.9) (83.5) (86.9) (80.3)

금액 - 30 137 66 30 263

전환

사채 (비중) (0.0) (12.0) (39.1) (16.5) (13.1) (19.7) 주) 업무상시화 이전 투자실적 감안 시 보통주(129억원), 우선주(1,558억원),

전환사채(313억원) 투자

<표 2-20> 업종별 보증연계투자 현황

(단위 : 개, 억원, %)

구 분

제조 비제조

계 ICT

제조

전기/

기계/

장비 화학/

소재

바이오/의료/

음식료등

소계 도소매 /서비스/기타

ICT 서비스 소계

‘05년

‘10년

업체수 12 13 12 11 48 4 3 7 55 (비중) (21.8) (23.6) (21.8) (20.0) (87.3) (7.3) (5.5) (12.7) (100.0)

금액 114 126 120 112 472 35 25 60 532 (비중) (21.5) (23.6) (22.5) (21.1) (88.7) (6.6) (4.7) (11.3) (100.0)

‘14년 이후

업체수 19 42 41 28 130 25 42 67 197 (비중) (9.6) (21.3) (20.8) (14.2) (66.0) (12.7) (21.3) (34.0) (100.0)

금액 152 336 336 213 1,036 180 252 432 1,468 (비중) (10.4) (22.9) (22.9) (14.5) (70.6) (12.2) (17.2) (29.4) (100.0)

합계

업체수 31 55 53 39 178 29 45 74 252 (비중) (12.3) (21.8) (21.0) (15.5) (70.6) (11.5) (17.9) (29.4) (100.0)

금액 267 462 455 325 1,508 215 277 492 2,000 (비중) (13.3) (23.1) (22.7) (16.2) (75.4) (10.7) (13.8) (24.6) (100.0)

한편 국내 벤처캐피탈 시장 현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2018년 2/4분 기중 국내 벤처캐피탈 자금모집과 신규결성 조합수 모두 감소세를 지속 하고 있으며 2/4분기 벤처캐피탈 자금모집은 전분기대비 57.6% 감소한 4,212억원을 기록하였으나 상반기 약 1.4조원 이상의 자금을 모집하며 성 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벤처캐피탈 신규투자는 금액 및 기업수 모두 사 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으며 이는 정부의 창업ㆍ벤처 지원정책이 이어 지며 벤처투자에 대한 긍정적 분위기가 조성됨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018년 2/4분기 신규투자 금액은 전분기 대비하여 54.4% 증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