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재개발의 세부전략은 국내 항만재개발사업 중 선도사업으로 추진 중인 부산 북항재개발사업의 주요 계획내용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고 자 하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존 계획의 문제점에 대한 세부전략을 수립코자 한다. 분석의 범위는 계획수립의 2단계에 해당하는 사업계획 중 핵심부분인 토 지이용계획과 3단계인 실시계획 중 토지이용계획에 대한 입체적 구현방안을 규 정하고 있는 지구단위계획으로 한정한다. 1단계에 해당하는 항만재개발 기본계 획 부분은 사업계획의 시행근거를 제공하는 상위계획이므로 이미 제3장에서 일 반추진전략으로 다루었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외의 항만재개발 사업 또는 대규 모 개발사업의 세부전략을 분석하여 추후 부산 북항재개발에서의 전략에 반영 하거나 방향정립에 활용하고자 한다.
4.2.1 해외사례 - 요코하마 MM21 개발전략
(1) 토지이용계획
전체 186ha 중 87ha는 택지(업무, 상업, 주택등)용지로 계획되었고, 42ha는 도로, 철도 등의 교통계획용지로, 46ha는 공원, 녹지 등의 녹지계획 용지로, 11ha는 부두용지로 계획되었다.
중앙지구 신항지구
*출처 : 부산항(북항)재개발 마스터플랜 해외사례 조사보고서(2006.11)
① 중앙지구
사람을 끌어드릴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기위해 수공간과 녹지공간의 조성, 자 체가 관광요소가 될 수 있는 스카이라인과 거리의 모습, 건물의 색체계획, 광고적 요소가 가미된 건축계획 사항을 기본테마로 설정하였고, 지구단위계획에 이 사 항을 설정하여 일관적인 계획을 수립하였다.
② 신항지구
전체면적은 약 41ha로서, 18ha(약 43%)는 중앙지구의 공원, 친수공간과 연결 되어있는 공원으로 계획되어 있다. 신항지구는 역사성을 가진 건물(아카렌가 창고)을 그대로 존치하여 개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수상버스 등의 운송 수단이 중앙지구로 연결하는 상호보완적인 기능을 가진다.
구 분 규모 비고
상업, 사무, 주거공간 26.3만평 46.77%
도로 및 철도 12.7만평 22.58%
공원 및 녹지 13.9만평 24.73%
항만시설 3.3만평 5.91%
소계 56.3만평 100%
Table 4.1 Land use plan
*출처 : 부산항(북항)재개발 마스터플랜 해외사례조사 보고서(2006.11)
(2) 존별 토지이용계획 ① 신항지구(Shinko District)
1) Open Space : 공원 및 녹지 공간으로서 존치건물을 재활용한 공간이다.
2) Building Sites : 특정한 성격의 존으로 구분하지 않고 공공기관, 레저 시설, 놀이공원, 상업시설, 복지시설 등의 시설이 입지하여 있다.
② 중앙지구(Central District)
1) International Zone : 국제업무시설을 중심으로 배후기능을 담당하는 주 거, 공공시설, 상업시설등이 입지하여 있다.
2) Business Zone : 업무시설과 일부 상업시설이 입지하여 있다.
3) Commercial Zone : 상업시설을 중심으로 업무시설, 상업, 주거의 복합시 설이 입지하여 있다.
Fig. 4.3 MM21 zoning plan and introduced land use (3) 교통계획
MM21에서는 다방면과 교통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구내 교통을 원활히 하기위 해 도로․철도․해상교통 등의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1989년 요코하마 베이브리지가 개통되어 지바 ․ 도쿄 방면에서 MM21로의 접근도가 향상되었으 며, 새로운 전철인 MM21선이 1992년 착동되어 2004년 개통되었다.
*출처: 다시 태어난 미래도시 요코하마 Minato Mirai21(인터넷자료) Fig. 4.4 MM21 traffic system
(4) 녹지계획
MM21의 녹지계획의 특징은 해안을 따라 조성된 친수공간이다. 요코하마시 항 만국의 주도로 계획되고 개발되어지고 있는 친수공간은 MM21지구(신항지구 포 함), 오산바시, 야마시다공원, 항의 전망공원 등으로 구성되어 각기 특색이 있 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잘 조화되고 있다. 특히 가까운 사꾸라기초 역에서 전망공원의 전망탑까지 전체 수변에 산책로가 잘 연결 조성되어 있으며 신항지구의 아카렌가 창고, 1910년대에 만들어진 철교, 범선 니혼마루와 여객 선 히카와마루 등을 보전하여 박물관 등으로 활용하는 계획으로 되어 있다.
* 출처: 다시 태어난 미래도시 요코하마 Minato Mirai21(인터넷자료) Fig. 4.5 MM21 green areas
(5) 주요지구별 개발 프로그램
MM21의 주요 지구단위계획으로는 ① 요코하마 베이 사이드 마리나 지구정비 사업, ② 아카렌가 창고보존 활용사업, ③ 오상바시 지구의 재정비사업, ④ 신 야마시타 지구 재개발사업을 들 수 있다. Table 4.2는 지구단위계획의 상세를 요약한 것이다.
토지이용계획면에서는 시민이 자연과 할 수 있는 활동의 장을 제공하거나, 역사적, 문화적공간의 확보와 시설의 재활용, 여객편익시설 및 슬럼화된 해안 도시공간을 상업시설 유치로 생기넘치는 구간이 되게 계획에 반영하였다.
① 요코하마 베이 사이드 마리나 지구정비 사업
2010년을 목표로 신종합계획 [유메하마 2010 플랜]을 추진 중이며, 시민이 자연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스포츠와 레크레이션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의 정비를 추진함 - 1997년 9월 1일 개발사업자 결정
․해양관련 쇼룸, 쇼핑 센터 등의 시설 개업
- 미나또미라이 21지구(신항지구포함), 오산바시, 야마시다공원, 항의 전망공원 등 으로 구성
(친수공간 사례) (베이 사이드 마리나)
② 아카렌가 창고보존 활용사업
- 아카렌가 창고는 일본을 대표하는 렌가 조형물로서 높은 평가를 받아온 역사적 자 산임
- 항만에 대한 친화적 문화를 창조하는 거점으로 활용 - 창고주변의 녹지를 정비
- 2002년에 공사를 완공하고 영업 시작
- 건물내부에는 쇼핑센터, 골동품점, 카페, 식당가를 설치
(아카렌가 창고) (아카렌가 창고 리모델링)
Fig. 4.6 Development status of each zone at MM21 (1)
③ 오상바시 지구의 재정비사업
- 1894년 요코하마항에서 최초로 건설된 역사적인 부두임
- 국내외 교류의 관문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국제 여객선터미널을 중심으로 재정비 - 1989년부터 재정비에 착수
- 2002년 12월 12일 개장
- 지하1층, 지상2층 (면적 : 약 44,000㎡) - 방재센터, 여객터미널 시설, 레스토랑, 광장 - 7만톤급 2척 또는 3만톤급 4척이 동시접안 가능 - 야마시타측 암벽: 연장 450m(2선석), 수심:-12m - 신코우측 암벽: 연장 450m(2선석), 수심: -10m∼
11m
(국제여객터미널 사업 구상도) (국제여객터미널)
④ 신야마시타 지구 재개발사업
- 구 야마시타 매립지 및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물류, 상업, 업무, 레크리에이 션 기능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지역으로 재개발
(야마시타구역의 재개발 구상) (1차정비가 완료된 후의 신 야마시타 구역)
* 출처 : 부산항 재래부두 재개발방안 연구용역 보고서(2005.12) Fig. 4.7 Development status of each zone at MM21 (2) 4.2.2 국내사례 - 항만재개발 전략
(1) 인천항 재개발 기본계획
항만시설지와 연접하지 않은 단위시설로서 지역간 간선도로 및 주변 해역의 특성을 고려한 토지이용을 배분하였다.
Table 4.2 Land use plan of Incheon port redevelopment
구 분 도 입 가 능 시 설 면 적(㎡) 구성비(%)
계 3,161,000 100.0
숙박시설 휴양형 펜션 387,000 12.2 상업시설 테마상가, 근린형 상가 74,000 2.3
교육․연구시설 생태연구소 90,000 2.9
문화․전시시설 미술관, 공연장 32,000 1.0
체육시설 골프장, 익스트림스포츠 1,240,000 39.2
관광․휴게시설 생태공원, 테마광장 1,095,000 34.7
공공시설 주차장, 도로, 녹지
공공청사, 관리소 243,000 7.7 *출처 : 제1차 항만재개발 기본계획(2007.10)
(2) 대천항 재개발 기본계획
해양박물관ㆍ수족관ㆍ해양교육연수원 등을 주요도입시설로 선정하여 계획지 구 중심부 및 해안에 배치하여 시설물 이용편의성 도모하였다.
Table 4.3 Land use plan of Daecheon port redevelopment
구분 도 입 가 능 시 설 면적(㎡) 구성비(%)
계 376,700 100.0
항만시설 조선소 13,968 3.7
숙박시설 저층형 휴양시설 54,644 14.5
교육․연구시설 해양교육연수원 35,900 9.5
문화․전시시설 해양박물관, 수족관 7,976 2.1
관광․휴게시설 공원, 유원지, 친수공간,
인공호수 179,662 47.7 공공시설 관리사무소, 방문자센타,
화장실, 주차장, 도로 84,550 22.5 *출처 : 제1차 항만재개발 기본계획(2007.10)
(3) 군산항 재개발 기본계획
방치되고 있는 철도부지와 연안공간을 활용하고 대규모 친수공간을 조성하여 시민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지구내 서측은 먹거리 기능과
문화, 숙박, 업무기능을 중심으로 한 복합타운을 조성하고 동측은 주거 및 주 상복합기능을 두어 도심지역공동화 방지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Table 4.4 Land use plan of Gunsan port redevelopment
구 분 도입가능시설 면적(㎡) 구성비(%)
계 474,300 100.0
항만시설 소형선 계류시설 3,233 0.7 주거시설 주상복합건축물, 공동주택 33,342 7.0 숙박시설 관광호텔, 비즈니스호텔 4,040 0.8 상업시설 쇼핑몰, 대형할인점,
전용상가,수산물 센터 25,343 5.3 업무시설 벤처오피스, 오피스텔 6,915 1.5 문화․전시
시설
근대상업사 박물관, 일제수탈사 박물관,
조세박물관 18,656 3.9
관광․휴게시설 공원, 광장 88,000 18.6
공공시설 주차장, 도로 37,400 7.9 공유수면 산책로, 데크, 조형물 257,371 54.3 * 출처 : 제1차 항만재개발 기본계획(2007.10)
(4) 목포항 재개발 기본계획
연안여객터미널, 국제여객터미널과 연계하여 상호보완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국ㆍ내외 관광객 및 주변 지역주민의 쇼핑활동을 위한 판매 및 영업시설과 관광지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업무시설을 배치하여 구도심지역 재생의 기회 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Table 4.5 Land use plan of Mokpo port redevelopment
구 분 도 입 가 능 시 설 면 적(㎡) 구성비(%)
계 157,500 100.0
항만시설 소형선 계류시설 3,474 2.2 상업/업무시설 쇼핑몰, 대형할인점,
테마형 상가몰, 오피스 22,369 14.2
문화․전시시설 미술관, 공연장 5,332 3.4
관광․휴게시설 공원, 광장 25,346 16.1
공공시설 주차장, 도로, 보행자도로 17,340 11.0
공유수면 - 83,639 53.1
*출처 : 제1차 항만재개발 기본계획(2007.10)
(5) 제주항 재개발 기본계획
일반상가, 음식점, 기념품 등은 분산배치를 지양하고 시설지를 선형으로 연계 하여 집중 배치함으로써 이용객의 접근 및 편의성을 증진 하였다.
Table 4.6 Land use plan of Jeju port redevelopment
구 분 유 치 시 설 면 적(㎡) 구성비(%)
계 518,500 100.0
항만시설 여객터미널, 접안시설 64,931 12.5 주거시설 주상복합 69,884 13.5 숙박시설/크루즈 비즈니스호텔, 크루즈터미널 41,048 7.9
상업시설 쇼핑몰, 대형할인점,
전문상가 33,215 6.4 업무시설 국제오피스, 오피스텔 61,937 12.0
문화․전시시설 컨벤션센터, 공연장,
멀티플렉스 12,568 2.4
관광․휴게시설 광장, 공원․녹지 139,737 26.9
공공시설 주차장, 도로 95,180 18.4 * 출처 : 제1차 항만재개발 기본계획(2007.10)
4.2.3 대규모 택지개발전략
(1) 화성 동탄2지구 택지개발사업
자연지형에 순응하는 그린 및 블루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서 중ㆍ저밀도의 쾌적한 환경친 화적인 신도시 조성을 목표로하여 광역기능 수행을 위한 도시중심기능을 배치하고, 중심지 토지이용의 입체화ㆍ복합화(Compact-City:압축도시)를 유도 하였다.
(2) 위례지구 택지개발사업
청량산 녹지축을 사업대상지 내로 끌어들일 수 있도록 소하천 주변을 녹지공간으로 계획 하고, 이를 주거공간과 연결하는 환상형의 휴먼 링을 조성하였으며, 우남로, 송파대로 등 주변 도로망에 대한 교통부하를 최소화하고, 대중교통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신교통수단을 활용한 대중교통 확대 및 트랜짓 몰을 계획하였다.
(3) 센텀시티
해운대구 우1동 일대 약 35만평 부지를 IT, 영상, 국제 비즈니스, 상업, 주거, 관광엔터 테인먼트, 전시 컨벤션센터의 다양한 복합기능을 갖춘 첨단 미래도시로 개발하는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