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항만재개발사업의 배경

항만과 배후도시의 성장, 선박의 대형화, 화물의 컨테이너화 등 물류환경이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항만이 기능적으로 노후화가 진전되고 있어 적절한 기능 전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과거 지역경제 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 던 항만기능이 노후화되고 유휴화되면서 오히려 주변 도심 발전을 저해하는 요 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IMF 이후 국민소득 향상, 주5일 근무제 확산 등으 로 생활환경의 개선과 여가활동 증대 등 쾌적한 환경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대 됨에 따라 기존의 노후 또는 유휴화된 항만공간에 대한 개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2.1 항만재개발사업의 필요성 (1) 국내 항만재개발사업

우리나라의 경우 물류환경 변화로 인한 항만의 기능과 시설의 노후화가 심각 한 항만이 다수 분포되어 있고, 전체 항만의 25%가 1960~70년대에 건설되었다.

또한, 노후화도 갈수록 심화되어 가고 있어서 도심 주변의 발전을 오히려 저해 하는 요인으로 진행되고 있다. 30년 이상 공용화된 부두의 운영으로 시설물 유 지보수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왔으며, 1990년도 대비 2010년 유지보수예 산이 약 8배 증가된 것을 보면 향후에도 시설물 유지관리 및 보수․보강 비용 증가가 예상된다.

항만 및 배후도시의 성장, 선박의 대형화, 화물의 컨테이너화 진전 등으로 인하여 항만 및 기능지원 시설의 생애주기(Life-cycle) 또한 점차 단축되고 있 다. 초대형 선박은 물동량 확보와 항만의 입지 등을 고려하여 기항 항만 수의 축소가 불가피하므로 글로벌 선사들의 허브항 중심 운항 선대개편이 예상된다.

아울러 특정 허브항만으로의 환적화물의 쏠림 현상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 어서 중․소규모 항만의 경우, 국제항만 물동량을 처리하는 항만 고유의 기능이 감소하게 됨에 따라 항만재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이다.

<항만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항만재개발에 대한 다양한 정부정책>

Fig. 2.5 Paradigm change on port policy and various port redevelopment policies (BPA internal report)

국민소득이 증가하고 생활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사람들은 여가환경이 양호 한 수변으로 모여들게 되고, 즐길 수 있는 공간을 필요로 하는 공통적인 생활 패턴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선진국들의 사례에서도 공통적이며 일반적인 생활 패턴 변화이며, 소득수준이 1만달러를 넘는 국가에서는 자동차, 쇼핑 등의 취 미생활을 즐기게 되고, 2만달러 이상의 소득의 국가에서는 윈드서핑, 수상스 키, 요트 등 취미생활이 일반화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국민소득이 증가되고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산업 중심의 3차 산업으로 경제구조로 재편되 어 여가활동 증가 등 사회․경제적 요인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경제발전과 더불어 급격한 대외 여건 변화와 해운․항만 물류 변화는 항만에 있어서도 경쟁력 제고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특히 성장속도가 빠른 동북아시 아 지역항만은 물동량 변화에 대응하는 경쟁력을 가져야 한다. 항만은 국가 경 제발전 기지로서 종합물류기지, 관광, 친수공간, 국제금융, 국제교류의 장으 로 기능이 확대되어 해양산업과 시민생활이 병존하는 복합공간으로 변모할 필 요가 있다. 화물차량의 입출입과 산화물을 처리하는 전통적 항만기능은 인접한 도시지역의 정주․상업기능과 계속하여 마찰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도심과 인접한 인천내항과 부산 자성대 부두의 기능전환 요구, 묵호항 환경개선 요구 에서 볼 수 있다. 기존 항만은 대부분 도시개발과 연계하여 자연발생적으로 형 성된 항만으로 도심확대, 생활기대 수준 상승 등으로 항만시설 이전 민원이 지 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진행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인천 내항) (부산북항 자성대부두)

Fig. 2.6 The present status of port redevelopment sites (1)

(동해 묵호항)

Fig. 2.7 The present status of port redevelopment sites (2)

그간의 항만정책은 제조업 지원을 위한 화물 처리능력 확보에만 주력하여, 서비스업 활성화 지원은 미흡하였다. 외국인 투자유치도 컨테이너 부두개발 등 화물 처리기능에만 집중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서비스업의 FDI(Foreign Direct Investment, 해외직접투자) 비중은 1.8%('08)에 불과(미국 10.4%, 프랑스 9.5%)하다. 부가가치 창출 확대를 위한 해양관광 활성화, 상업적 항만지역 개 발 등 항만의 국가 서비스업 지원 기능의 강화가 필요하다.

(2) 해외의 항만재개발사업

기존의 전통적인 재정투자 이외에 다양한 재원을 활용하여 항만을 개발하는 사례가 증대되고 있다. 해외의 항만개발의 경우 중앙정부 또는 지방정부와 민 간이 참여하는 개발방법으로 투자재원을 다양화하고 있다. 프랑스 마르세이유 의 경우 항만공사가 부지를 제공하고 개발을 민간사업자가 개발하는 방법으로 추진되었으며, 스페인의 바르셀로나의 경우도 기반시설에 대해서는 항만공사가 추진하고 그 외 시설은 민자를 유치하여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일본의 요코하 마, 포트아일랜드, 로코아일랜드의 경우도 정부재정과 민간자본을 이용한 제3 섹터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해외 항만재개발의 경우도 항만은 발전 초기에는 도시 발전과 상승효과를 가 지나 일정한 단계가 지나면 상충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도심의 유휴화된 항만 의 재정비를 통해 배후도시의 성장을 촉진을 유도해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Table 2.1 The background of port redevelopment in foreign countries

구 분 추 진 배 경

볼티모어 (미국) ㆍ해상운송방식의 변화에 의한 항만기능 유휴화로 도시기능 마비 ㆍ항만 및 도시 기능의 문제 해결과 수변 공간의 재활성화 모색 사우스 스트리트

시포트 (미국)

ㆍ무역항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함에 따라 도시 기능회복 차원에 서 재개발 추진

배터리파크 시티 (미국)

ㆍ부두 기능이 유휴화 됨에 따라 주거 및 상업용지로 전환하고 자 재개발 추진

온타리오 플레이스 (캐나다)

ㆍ항만기능이 쇠퇴함에 따라 도시 재생 및 지역경제 활성화차 원에서 재개발 추진

도크랜드(영국) ㆍ항만기능이 쇠퇴함에 따라 산업 활성화, 생활환경 정비 등을 위하여 재개발 추진

마르세이유(프랑스)ㆍ선박 대형화에 의하여 항만기능이 상실됨에 따라 시민의 친 수공간으로 개발

바르셀로나(스페인)ㆍ해운항만의 환경변화에 의하여 기능이 유휴화됨에 따라 워터 프론공간으로 개발

달링하버 ㆍ시드니공항 인근에 컨테이너항이 신설되면서 시설노후화, 기 능쇠퇴 및 외곽으로 이전하여 상업적 재개발을 추진

요 코 하 마 (MM21)

ㆍ기 도심개발 가능 지역의 한계로 매립을 통한 도심시설 정비, 항만기능 강화

동경임해부 ㆍ지위가 상대적으로 낮아진 동경항 임해부 매립지에 최첨단 인프라를 갖춘 21세기형의 도시로 개발

포트아일랜드 ㆍ항만기능 강화와 도시기능 활성화 등 신도시 공간창조를 위 하여 재개발 추진

로코 아일랜드 ㆍ주거, 업무, 상업, 교육, 문화 등의 기능을 갖춘 다기능형 복 합 도시 건설

*출처 : KDI(2010), 항만재개발사업 민간투자 활성화 전략수립

2.2.2 국내 항만재개발 및 마리나 항만 개발계획

정부에서는 항만재개발사업 도입을 통해 항만주변지역과 노후・유휴항만의 효 과적 개발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기반을 마련코자 부산북항 등 11개 항만 지역을 도심과 연계한 지속가능한 항만공간으로 육성하기 위한 재개발기본계획 을 수립하고, 국제해양관광거점 육성을 위한 위한 부산북항재개발사업을 착수 (2008.12)하였다.

Fig. 2.8 Basic plan site and target of port redevelopment plan

이와 함께 소득수준 향상, 해양관광수요 증가에 대응하여 마리나 및 크루즈 산업 활성화 기반 마련 추진하고 있으며,‘마리나항만의 조성 및 관리 등에 관 한 법률’제정(2009) 후, 권역별 43개소를 마리나 항만으로 선정하고 기본계획 수립(2010)하였으며, 부산, 제주, 여수 등 주요거점에 크루즈 전용부두를 확보 하였다.

그리고 활용가능한 항만내 공간을 도심과 연계한 친수공간으로 조성하여 공 간 가치 제고 및 주민편의 증진을 위하여 2020년까지 전국 23개 항만에 총 571 만㎡의 항만내 친수공간을 추가로 확보하고, 현지 여건을 감안하여 해양공원, 문화, 상업공간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Fig. 2.9 Location map for marina port development

거점별 대형크루즈 전용부두 확충을 통해 크루즈 기항 서비스를 제고코자 국 내에 유일한 크루즈 전용부두인 부산 동삼동에 1선석이외에 부산, 인천, 제주, 여수, 서귀포(강정)에 국제크루즈 부두를 추가 확충하고, 속초, 포항(여객겸 용), 목포 등에도 신규로 계획하여, '20년까지 7개 항만, 총 9선석의 크루즈 전용부두 운영을 계획하고 있다.

Fig. 2.10 Location map of specialized port for cruise terminal

부산북항은 노후 및 유휴항만지역에 대한 재개발사업을 본격 추진하여 항만 지역 가치를 제고하고 도심지역과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최근 PF 여 건 변화, 항만별 잠재력 등을 고려하여 실행력 높은 단계별 추진 방안을 마련 하였으며, 거점별 대형크루즈 전용부두 확충방안으로는 크루즈 기항 서비스를 제고하기 위하여 민간투자 여건 개선 등을 통해 국제해양관광 거점으로서 북항 일반부두 재개발을 조기에 추진하고 있으며, 북항대교 완공, 도심내 위치 등 물류기능 약화가 예상되는 자성대 부두 재개발도 착수시기, 대체부두 계획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