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도별 성과

Dalam dokumen 中國 傳統思想의 認識과 交流 (Halaman 42-48)

중국사연구는 현재 격월간으로 년 6회 간행하고 있지만 초창기에는 아주 작은 규 모의 학회로서 학회지도 작은 볼륨으로 시작하였다. 2016년 2월에 간행된 제100집까 지 연도별 간행 내역을 정리하면 아래 <표1>과 같다.

연도 간행호,간행월 회

1996 제1집 12월 1회 1997 제2집 8월 1회

1998 제3집 제4집

2월 8월 2회

1999 제5집 제6집 제7집

2월 6월 10월 3회

2000 제8집 제9집 제10집 제11집

2월 5월 8월 11월 4회

2001 제12집 제13집 제14집 제15집 제16집

2월 5월 8월 11월 12월 5회

2002 제17집 제18집 제19집 제20집 제21집

2월 5월 8월 10월 12월 5회

2003 제22집 제23집 제24집 제25집 제26집 제27집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6회

2004 제28집 제29집 제30집 제31집 제32집 제33집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6회

2005 제34집 제35집 제36집 제37집 제38집 제39집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6회

2006 제40집 제41집 제42집 제43집 제44집 제45집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6회

2007 제46집 제47집 제48집 제49집 제50집 제51집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6회

2008 제52집 제53집 제54집 제55집 제56집 제57집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6회

2009 제58집 제59집 제60집 제61집 제62집 제63집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6회

2010 제64집 제65집 제66집 제67집 제68집 제69집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6회

<표1> 중국사연구 제1집-제100집 간행 연표

1997년 제2집까지는 연 1회 출간하였고, 1998년에는 반년간으로 년 2회 간행하였 다. 그러나 회원의 증가와 투고원고의 급증을 수용하기 위해 1999년에는 제5집-제7 집까지 연 3회, 2000년 제8집-제11집까지 연 4회,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제12집- 제21집까지 연 5회로 증회를 거듭하다가 2003년부터 제22집부터 격월간 연 6회 간 행으로 늘어나서 제100집까지 이르렀다. 2000년부터 계간으로 간행하기 시작하였으 나, 2002년 12월 제16집의 경우 「만주사 특집호」로 편성하면서 정상적인 간기 외에 추가 출간하게 되었고, 2003년에는 「중국여성사특집호」 편성을 계기로 격월간으로 증 회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중국사연구는 창간 5년만에 계간으로, 7년만에 격월간으로 증간되었다. 뿐만 아 니라 지면 규모도 빠른 속도로 늘어났다. 각호의 지면수를 정리하면 아래 <표2>와 같 다.1)

1) 지면수는 각 간호에서 쪽수가 표기된 마지막쪽을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2011 제70집 제71집 제72집 제73집 제74집 제75집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6회

2012 제76집 제77집 제78집 제79집 제80집 제81집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6회

2013 제82집 제83집 제84집 제85집 제86집 제87집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6회

2014 제88집 제89집 제90집 제91집 제92집 제93집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6회

2015 제94집 제95집 제96집 제97집 제98집 제99집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6회

2016 제100집

2월 현재 1회

간호 발간일 특집 면수 소계 평균 간호 발간일 특집 면수 소계 평균

1 1996.12 창간호 190

2,766 277

51 2007.12 출토문물 366

3,518 352 2 1997. 8 186 52 2008. 2 출토문물 360

3 1998. 2 204 53 2008. 4 368

4 1998. 8 206 54 2008. 6 360

5 1999. 2 362 55 2008. 8 372

6 1999. 6 326 56 2008.10 344

7 1999.10 362 57 2008.12 법제사 396

8 2000. 2 358 58 2009. 2 310

9 2000. 5 292 59 2009. 4 308

10 2000. 8 280 60 2009. 6 334

11 2000.11 312

3,798 380

61 2009. 8 396

3,580 358

12 2001. 2 336 62 2009.10 322

13 2001. 5 352 63 2009.12 350

14 2001. 8 362 64 2010. 2 296

15 2001.11 358 65 2010. 4 316

16 2001.12 만주사 388 66 2010. 6 250

<표2> 각 호별 지면수(10간호별)

제100집까지 전체 지면수는 36,509쪽으로 집계되며, 간호당 평균 365쪽이 된다.

가장 많은 쪽수로 출간된 것은 교육사 특집호인 제69집(2010.12)이고, 가장 적은 쪽 수로 출간된 것은 제2집(1997.8)이다. 특히 국제학술대회 등에 참가한 논문을 특집호 로 편성한 간호는 평소보다 지면이 늘어났다. 중간중간에 지면수가 적은 호가 있는 것 은 학술진흥재단 등재제도 시행 이후 심사를 엄격히 하면서 그 결과 나타난 부득이한 변수가 반영된 것이다.

변화상을 알기 쉽도록 10년 단위로 지면 합산치와 그 평균을 정리하여 그래프로 요 약하면 아래 <도1>과 같다.

이 표는 10집 단위로 정리한 것이므로 그 1/10이 평균쪽수이다. 1-10집까지는 전 체 2,766쪽으로 평균 277쪽 정도의 소박한 학술지였다. 그러나 11-20집 이후 평균 350집을 상회하게 되었다. 특히 31-40집의 경우 평균 400쪽을 넘어서게 된 것은 특

17 2002. 2 390 67 2010. 8 352

18 2002. 5 406 68 2010.10 415

19 2002. 8 408 69 2010.12 교육사 507 20 2002.10 여성사 486 70 2011. 2 교육사 376 21 2002.12 360

3,836 383

71 2011. 4 291

3,339 334

22 2003. 2 368 72 2011. 6 370

23 2003. 4 386 73 2011. 8 397

24 2003. 6 394 74 2011.10 401

25 2003. 8 396 75 2011.12 290

26 2003.10 388 76 2012. 2 250

27 2003.12 종족사 322 77 2012. 4 341

28 2004. 2 394 78 2012. 6 242

29 2004. 4 412 79 2012. 8 339

30 2004. 6 416 80 2012.10 418

31 2004. 8 432

4,228 422

81 2012.12 443

3,734 373

32 2004.10 428 82 2013. 2 423

33 2004.12 366 83 2013. 4 376

34 2005. 2 436 84 2013. 6 318

35 2005. 4 미술사 426 85 2013. 8 267

36 2005. 6 422 86 2013.10 372

37 2005. 8 438 87 2013.12 424

38 2005.10 438 88 2014. 2 310

39 2005.12 384 89 2014. 4 425

40 2006. 2 도시사 458 90 2014. 6 376 41 2006. 4 442

3,927 393

91 2014. 8 394

3,783 378

42 2006. 6 342 92 2014.10 367

43 2006. 8 392 93 2014.12 사학사 416 44 2006.10 개항장 466 94 2015. 2 408

45 2006.12 426 95 2015. 4 330

46 2007. 2 371 96 2015. 6 358

47 2007. 4 374 97 2015. 8 430

48 2007. 6 386 98 2015.10 339

49 2007. 8 340 99 2015.12 365

50 2007.10 388 100 2016. 2 376

소계 18,555 371 소계 17,954 359

합계 36,509 365

집호가 두 번2) 편성된 연유라고 볼 수 있다. 71-80집의 경우 평균 350쪽에 못 미치 는 것은 이 간호 범위 안에 특집호 편성이 없었던 것과 유관하다. 대체로 평균인 365 쪽에서 많이 벗어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중국사연구는 그동안 간기의 변동이 여러 번 있었다. 지면수의 연도별 변동 상황 을 보기 위해 연도별 통계를 다시 정리하면 아래 <표3>과 같다.

2) 35집은 미술사 특집호이고, 40집은 도시사 특집호이다.

간호 발간일 특집 면수 소계 평균 간호 발간일 특집 면수 소계 평균

1 1996.12 창간호 190 190 190 52 2008. 2 출토문물2 360

2,200 367 2 1997. 8 186 186 186 53 2008. 4 368

3 1998. 2 204

410 205 54 2008. 6 360

4 1998. 8 206 55 2008. 8 372

5 1999. 2 362

1,050 350

56 2008.10 344 6 1999. 6 326 57 2008.12 법제사 396

7 1999.10 362 58 2009. 2 310

2,020 337 8 2000. 2 358

1,242 311

59 2009. 4 308

9 2000. 5 292 60 2009. 6 334

10 2000. 8 280 61 2009. 8 396

11 2000.11 312 62 2009.10 322

12 2001. 2 336

1,796 359

63 2009.12 350

13 2001. 5 352 64 2010. 2 296

2,136 356

14 2001. 8 362 65 2010. 4 316

15 2001.11 358 66 2010. 6 250

16 2001.12 만주사 388 67 2010. 8 352 17 2002. 2 390

2,050 410

68 2010.10 415 18 2002. 5 406 69 2010.12 교육사 507 19 2002. 8 408 70 2011. 2 교육사 376

2,125 354 20 2002.10 여성사 486 71 2011. 4 291

21 2002.12 360 72 2011. 6 370

<표3> 각 호별 지면수(연도별)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4500

1-10 11-20 21-30 31-40 41-50 51-60 61-70 71-80 81-90 91-100 2766

3798 3836 4228 3927

3518 3580 3339

3734 3783 지면수

<도1> 지면수 변동(10 간호 단위)

100집이나 되기 때문에 표가 복잡하 다. 1999년에 연 1 회로 창간된 후 거 의 매년 간호가 늘 어나면서 2003년부 터 격월간으로 간행 되었다. 연간 지면수 도 1999년에 1,000 쪽 규모를 넘어섰고, 2002년 이후 2,000 쪽 규모를 올라서서 이후 그 수준을 대 체로 유지하고 있다.

22 2003. 2 368

2,254 376

73 2011. 8 397

23 2003. 4 386 74 2011.10 401

24 2003. 6 394 75 2011.12 290

25 2003. 8 396 76 2012. 2 250

2,033 339

26 2003.10 388 77 2012. 4 341

27 2003.12 종족사 322 78 2012. 6 242 28 2004. 2 394

2,448 408

79 2012. 8 339

29 2004. 4 412 80 2012.10 418

30 2004. 6 416 81 2012.12 443

31 2004. 8 432 82 2013. 2 423

2,180 363

32 2004.10 428 83 2013. 4 376

33 2004.12 366 84 2013. 6 318

34 2005. 2 436

2,544 424

85 2013. 8 267 35 2005. 4 미술사 426 86 2013.10 372

36 2005. 6 422 87 2013.12 424

37 2005. 8 438 88 2014. 2 310

2,288 381

38 2005.10 438 89 2014. 4 425

39 2005.12 384 90 2014. 6 376

40 2006. 2 도시사 458

2,526 421

91 2014. 8 394

41 2006. 4 442 92 2014.10 367

42 2006. 6 342 93 2014.12 사학사 416

43 2006. 8 392 94 2015. 2 408

2,230 372 44 2006.10 개항장1 466 95 2015. 4 330

45 2006.12 426 96 2015. 6 358

46 2007. 2 개항장2 371

2,225 371

97 2015. 8 430

47 2007. 4 374 98 2015.10 339

48 2007. 6 386 99 2015.12 365

49 2007. 8 340 100 2016. 2 100집 376 376 376

50 2007.10 50집 388 소계 17,588 360

51 2007.12 출토문물1 366

합계 36,50

9 365

소계 18,921 371

년도 간호 권수 지면수 소계 지면수 평균

1996 1 1 190 190

1997 2 1 186 186

1998 3-4 2 410 205

1999 5-7 3 1,050 350

2000 8-11 4 1,242 311

2001 12-16 5 1,796 359

2002 17-21 5 2,050 410

2003 22-27 6 2,254 376

2004 28-33 6 2,448 408

2005 34-39 6 2,544 424

2006 40-45 6 2,526 421

2007 46-51 6 2,225 371

2008 52-57 6 2,200 367

2009 58-63 6 2,020 337

2010 64-69 6 2,136 356

2011 70-75 6 2,125 354

<표3-1> 연도별 간호 수와 지면수

연도별 추이를 보 다 쉽게 파악하기 위해 이를 연도별로 요약하여 정리하면

<표3-1>와 같다.

이를 근거하여

2015년까지의 변동 내역을 그래프로 정리하면 아래 <도2>와 같다.3)

2002년까지는 간호가 늘어남에 따른 자연스런 지면 확장이 있었다. 현재와 같은 격 월간(연6회)으로 간행된 2003년 이후에는 2005년에 2544쪽으로 가장 많은 지면으로 의 간행이 있었으나, 전체적으로는 평균인 2190쪽을 대체로 유지하면서 간행되었다.

이를 근거 하여 2015년 까지의 연평 균 간호 단 위 지면수의 변동 내역을 그래프로 정 리하면 <도 3>과 같다.

창 간 호 는 190쪽에 불

3) 2016년의 경우 2월에 간행된 제100집 한 권 뿐이어서 연도별 그래프 편성에서는 제외하였다.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90 186

410

10501242 1796

20502254

244825442526 22252200

2020213621252033218022882230 지면수

<도2> 연도별 지면수 변동

2012 76-81 6 2,033 339

2013 82-87 6 2,180 363

2014 88-93 6 2,288 381

2015 94-99 6 2,230 372

2016 100 1 376 376

합계 36,509 365

0 100 200 300 400 500

96 98 00 02 04 06 08 10 12 14

<도3> 연도별 평균 지면수 변동

과하였고, 이 규모가 1998년 제4집까지 유지되었다. 그러나 1999년 제5집부터 원고 가 급증하여 지면이 빠른 속도로 늘어났다. 이후에는 연평균 가장 적었을 때가 311 쪽, 가장 많았을 때가 424쪽을 기록하였다. 지면수가 줄어든 것은 한국연구재단 등재 이후 심사 체제의 강화로 인해 논문 편수를 고정적으로 편성하기 어려웠던 점이 반영 되어 있다. 지면수가 400쪽 이상으로 늘어난 것은 특집호 편성이 많은 경우에 해당 한다.4) 지면수가 학술지의 위상을 반영하는 것은 아니라 하더라도 1999년 이후 기본 적인 평균 지면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 출간을 이어왔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Dalam dokumen 中國 傳統思想의 認識과 交流 (Halaman 42-48)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