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원고 집필자 소속기관

Dalam dokumen 中國 傳統思想의 認識과 交流 (Halaman 53-57)

중국사연구에 투고한 원고집필자들을 분류 정리하면 아래 <표5>와 같다. 원고 발 표 당시 공식적으로 제시한 소속기관을 중심으로 국적 분류를 했다. 한국인으로서 해 외 유학중인 경우나, 외국인으로서 한국 방문교수로서 집필한 경우 등 예외적인 사례 가 있지만 많은 수는 아니므로 전체적인 경향성을 파악하는 데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본다. 구미권은 원고 숫자가 많지 않아서 국가별로 세분하지 않고 통합 정리하였다.

8) 2016년의 경우 제100집 1권만 간행되었으므로 이 그래프에 반영하지 않았다.

0 10 20 30 40 50 60 70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3 3 6

14 21

36 58

49 47 53 62 63

58 47

54 56 48

54 59 51

<도4-2> 연도별 논문 게재편수

간호 한국 중국 대만 홍콩 일본 싱가포르 구미 합계(편) 비고

1 7 7

2 7 7

3 6 1 7

4 5 1 6

5 11 1 12

6 10 1 1 12

7 10 2 12

8 9 1 1 11

9 5 1 1 7

10 4 3 1 8

11 8 2 10

12 8 3 11

13 10 1 1 12

14 13 13

15 12 1 1 14

16 10 1 11 만주사

17 12 1 13

18 10 1 2 13

19 11 2 1 14

20 11 4 4 8 27 여성사

21 9 1 1 2 13

22 8 2 1 11

23 11 2 1 14

24 11 1 12

25 11 1 1 13

26 9 1 2 12

27 5 2 1 3 11 종족사

28 11 1 12

29 12 1 1 14

30 10 1 2 13

31 11 1 12

32 13 1 1 15

33 9 1 1 11

34 11 2 1 14

35 6 4 2 3 15 미술사

36 11 1 12

37 14 14

38 10 2 2 14

39 10 1 11

40 1 11 4 1 17 도시사

41 9 3 1 13

42 10 1 11

43 11 1 1 13

44 8 5 3 1 17 개항장

45 11 2 13

46 7 5 1 1 14 개항장

47 7 5 1 13

48 10 1 1 12

49 8 1 3 12

<표5> 집필자 소속기관 분류(국적별)

50 10 10 출토유물

51 6 4 5 1 16 출토유물

52 6 8 1 15

53 7 4 1 12

54 8 5 1 14

55 10 3 13

56 9 1 1 11

57 6 8 1 2 17 법제사

58 4 7 1 12

59 4 6 2 1 13

60 4 6 1 11

61 8 3 1 12

62 5 6 1 12

63 6 5 11

64 5 3 1 1 10

65 5 6 11

66 5 4 1 10

67 10 1 11

68 8 3 2 13

69 12 4 16 교육사

70 8 2 1 1 1 2 15 교육사

71 6 4 10

72 8 4 1 13

73 6 4 2 1 13

74 7 2 1 10

75 9 2 11

76 3 3 3 9

77 8 1 9

78 6 1 1 8

79 9 9

80 6 5 1 2 14

81 9 4 2 15

82 7 5 2 1 15

83 6 6 1 13

84 7 3 1 11

85 5 5 10

86 10 1 11

87 8 2 2 1 13

88 5 5 2 1 13

89 10 1 1 12

90 6 3 1 2 12

91 8 4 1 13

92 9 3 12

93 5 8 1 14 사학사

94 6 7 2 15

95 10 1 1 12

96 8 2 1 11

97 9 4 1 14

98 8 3 1 12

99 8 5 13

100 6 3 9

합계 817 268 36 20 71 2 12 1,226

원집필자 소속기관의 국 가별 분포비율을 도식화하 면 <도5>와 같다. 국적 분 류 결과를 보면 한국 소속 기관으로 발표한 원고가 817편으로 전체의 66.6%

로서 정확히 2/3를 차지하 고 있다. 나머지 1/3은 외 국기관 소속 연구자로서 발 표한 원고이므로 국내 어느 학술지보다 외국계 원고가 많음을 보여 준다. 국외 투

고자로서는 중국이 268편으로 전체의 21.9%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이 72편으로 전 체의 5.8%로 그 뒤를 잇고 있다. 대만 37편, 홍콩 20편, 싱가포르 2편이다. 구미권 12편은 미국9편, 영국 2편, 프랑스 1편으로서 전체의 1%에 불과하지만 그 의미는 적 지 않다.

이 내용의 변동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연도별로 다시 정리하면 아래 <표5-1>과 같다. 기리고 그것을 그래프로 정리하면 <도5-1>과 같다.9)

9) 2016년의 경우 제100집 1권만 간행되었으므로 이 그래프에 반영하지 않았다.

비율 66.6 21.9 3.0 1.6 5.8 0.2 1.0 100

년도 한국 중국 대만 홍콩 일본 싱가포르 구미 합계 비고

1996 7 7

1997 7 7

1998 11 2 13

1999 31 1 4 36

2000 26 7 1 2 36

2001 53 6 2 61 만주사

2002 53 8 5 14 80 여성사

2003 55 9 1 7 1 73 종족사

2004 66 4 6 1 77

2005 62 9 6 3 80 미술사

2006 50 23 8 3 84 도시사,개항장

2007 48 15 1 1 11 1 77 개항장,출토유물

2008 46 29 1 1 5 82 출토유물,법제사

2009 31 33 4 2 1 71

2010 45 21 4 1 71 교육사

2011 44 18 3 3 2 2 72 교육사

2012 41 14 7 2 64

<표5-1> 집필자 소속기관 국적별 분류(연도별) 66.6 21.9

31.65.80.21

% 한국 817

중국 268 대만 36 홍콩 20 일본 71 싱가포르 2 구미권 12

<도5> 원고집필자 국가별 분포 비율

2005년까지는 한국 연구자들의 원고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2005년을 경 계로 중국학자들의 원고 비중이 늘어나기 시작하여 2009년의 경우에는 한국 연구자 들의 원고보다 많아지기까지 하였으며, 대체로 년간 15편 이상의 규모는 꾸준히 보여 주고 있다. 한편 일본 연구자들의 원고는 2002년 14편, 2007년 11편 등 많은 해도 있었으나 이후 그 비율이 현저히 낮아졌다. 새로 대만과 홍콩 연구자들의 원고가

2010년 이후 다소 늘어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한국 연구자들의 원고비중이 다 소 낮아지면서 외국계 원고가 상대적으로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Dalam dokumen 中國 傳統思想의 認識과 交流 (Halaman 53-57)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