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4.2 타이어 산업동향

4.2.3 원재료 가격추이

주요 지역별 2020년까지 장기 성장 전망을 <그림 27>과 같이 살펴보면, 글로벌 시장 성장은 중국, 남미 등 이머징이 견인해 나갈 전망이다. 지역별로 나누어보면, 중국은 2020년도까지 약 4.42억 본, 5년간 평균 7.6% 성장 전망되며 전반적 시장 성장세 지속되는 가운데 RE 수요 증가가 탄력적일 전망이다. 북미지역은 2020년도까지 약 3.64억 본, 5년간 평균 1.0% 성장 전망되나 수요 성장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전망이다.

서유럽지역은 2020년도까지 약 3.39억 본, 5년간 평균 1.4% 성장하는 전반적으로 완만한 시장 성장이 전망된다. 남미지역은 2020년도까지 약 1.73억 본, 5년간 평균 4.7% 성장 전망되며, 견조한 시장성장 속에 신차 판매증가로 OE 성장세가 탄력적일 전망이다.

<그림 27> 주요지역별 타이어 시장 장기 성장률전망

자료 : 키움증권, 2017년 타이어투자가이드

<그림 28> 과같이 천연고무 가격변화를 살펴보면, 2009년~2011년을 고무가격의 대세상승기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이 2000년대 중반 이후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자동차가 사회생활 속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광범위하게 보급된 현상, 즉, 모터리 제이션(Motorization)화가 급속하게 진행됨으로써 전방(산업2))수요가 급증하여 RE 교체수요 기대감으로 원재료 공급 부족에 대비한 가수요까지 겹쳐지면서 천연고무(RSS 3) 가격은 주간 기준 2008년 말 1,100달러/톤을 저점으로 2011년 초 5,900달러/톤까지 급증하였다.

2012년~2016년은 고무 가격 대세 하락기라고 할 수 있는데 글로벌 자동차 수요 저성장 지속 및 RE 교체수요 지연으로 전방 타이어 수요회복이 지연되면서 공급 과잉 지속으로 고무 가격은 2016년 초 1,100달러/톤까지 하락하였다. 2012년부터 시작된 세계 경기침체와 주요 천연고무 생산국들의 재배면적 확대에 따른 공급과잉으로 2016년 1분기까지 가격하락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태국, 말레이시아 등 천연고무 주요 생산국 정부는 가격안정을 위해 수출제한정책을 폈으나, 신규 수확량이 시장의 공급 과잉 구조를 심화시킴에 따라 실질적인 가격 인상 효과는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

2016년 2분기 이후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가격이 소폭의 반등세를 나타냈다.

천연고무 가격은 중국 내 수요증가 등으로 인한 재고 감소, 태국 집중호우에 따른 원료수급 제약 등으로 상승세를 나타냈으며, 합성고무 가격은 주 원료인 부타디엔의 가격상승으로 동반 상승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가격상승은 구조적 요인에 의한 변동보다는 비경상적 또는 일시적 수급 변동 요인의 영향에 기인하는 측면이 많으며, 고무 공급 총량은 여전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가파른 상승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다.

2017년 들어서면서 원자재(원유)가 상승, 유동성 확대, 주요국 생산 감축에 따른

2) 전방산업과 후방산업은 전체 생산 흐름에서 산업의 앞뒤에 위치한 업종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제품 소재를 주로 만드는 업종을 후방산업, 최종 소비자가 주로 접하는 업종을 전방산업이라고 한다. 자동차 산업을 예로 들면, 부품, 제철 산업 등 주로 소재 산업이 후방산업이고, 자동차 판 매업체는 전방산업이 된다. 전방산업과 후방산업은 다른 산업의 생산물을 중간재로 구입하여 생 산 활동과 판매 활동을 하는데, 이러한 각 산업 간 상호 의존 관계 정도를 전후방산업 연관효과 라고 한다. 전후방산업 연관효과에 따라, 만약에 자동차 산업이 불황이라면 후방산업인 부품 및 제철 산업 등 원료 가공, 소재 산업도 불황이 될 뿐 아니라 전방산업인 자동차 판매업, 자동차 구입 후에 소비되는 오디오, 내비게이션, 스피커 등 관련 산업도 불황에 빠지게 된다.

공급과잉 일시 해소 등으로 로 고무가격은 반등을 보이고 있는 추세다.

< 그림 28 > 타이어 원재료 가격추이

자료 : 키움증권, 2017 타이어 투자 가이드

제 5 장 N사의 SCM 운영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