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하이닉스 반도체는 DRAM과 NANO를 주 제품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주력제품인 DRAM의 시장점유율은 2위, NANO는 세계 4위이다. 하이닉스 반도체는 단위 부문이나 사업장이 아닌 Global 운영 환경하에서 내부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고객 및 협력사와 효율적으로 협업하여 지속적인 가치창출을 이루어내는 활동체계로 정의하고 기업가치를 극대화 하기 위한 경영 도구로써 GSCM을 활용하고 있다.

3.2.1 추진배경 및 과정

반도체 산업은 사업초기에 대규모의 자본투자가 필요한 장치산업이며 이에 따라 투자자본을 회수하기 위한 대량생산이 필수적인이지만, 글로벌시장의 수요는 급변하고 제품수명 주기 단축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글로별 시장의 수요변동에 대처하기 위한 유연성 확보와 공정의 효율성을 통한 원가절감, 해외법인의 물류와 재고의 가시성 확보를 위해 GSCM을 추진하게 되었다. 다음 <그림 4>에서는 하이닉스의 GSCM 추진배경을 요약하였다.

<그림 4> 하이닉스의 GSCM 추진배경

자료 : 김금숙, GSCM 의 성공사례에 대한 연구(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하이닉스의 GSCM 추진과정을 살펴보면 하이닉스의 GSCM은 생산성 및 수요대응력 향상을 위해 제조중심의 Bottom up으로 추진하였으나, 이후 마케팅 중심의 Top down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이닉스는 지난 2005년부터 각 부문별 최적화를 추구하기 위해 SCM을 도입하였으며 이후 통합 및 연계과정을 거쳐 완전한 GSCM을 구축하여 글로벌 가시성과 수요관리, 실시간 납기관리, 제품믹스 계획까지 포함함으로써 글로벌 고객의 다양한 수요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제고시켰다. 이러한 하이닉스의 GSCM 추진과정은 <그림 5>와 같다.

<그림 5> 하이닉스의 GSCM추진과정

자료 : 김금숙, GSCM 의 성공사례에 대한 연구(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3.2.3 추진현황 및 성과

하이닉스의 GSCM은 수요관리, 생산계획, 납기관리, 물류관리를 중심으로 통합 기준정보, ERP, 협력사 및 고객관리 시스템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하이닉스의 GSCM 추진 체계도는 아래 <그림 6>과 같다.

<그 림 6> 하이닉스의 GSCM 체계도

자료 : 김금숙, GSCM 의 성공사례에 대한 연구(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그림6>에서 기존의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시스템 과 MDM(Master Data Management),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및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의 토대위에 협력사 관리를 위한 SRM(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과 연계시켜 전체적으로 글로벌 가시성확보를 통한 고객 중심 생산시스템을 갖춤에 따라 신속한 의사결정과 고객 대응성이 향상되었다.

다음으로 추진성과를 살펴보면 첫째, 최적 제품믹스 계획수립과 글로벌 최적 생산관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계획원가, 생산능력 등의 기초데이터를 적시에 반영하고 시장 상황에 따른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제품믹스 구성으로 의사결정의 신뢰성이 향상되었으며, 국내외공장 및 외주를 포함한 각 공장의 생산능력과 제품별 수율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생산계획 수립이 가능해졌다. 그 결과 기존의 부문 최적화에서 글로벌 최적화가 가능해지고, 수익성과 라인 효율성이 향상되었으며 내부물류가 최소화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둘째, 주 단위 운영체계로 전환할 수 있게 되었다. 글로벌 시장의 수요변동에 대한 신속한 감지 및 대응을 위해 수요예측, 판매계획, 생산계획 수립체계를 월 단위에서 주

단위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의사결정 주기 단축, 정보의 투명성과 가시성 증대, 수요변동에 대한 대응강화 및 리스크 감소 등의 효과를 거두었다.

셋째, 고객 중심의 생산체계로 정립이 되었다. 장비 생산성과 물량 위주의 생산에서 고객 요구와 수익성 위주의 고객 중심 생산체계로 전환하여 고객만족도가 향상되었다.

넷째, 글로벌 물류통합 및 최적화가 가능해졌다. 글로벌 물류관리 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본사 및 전 해외법인의 물류관리 체계를 표준화, 단일화함으로써 전체 물류 이 동 가시성과 제품에 대한 품질통제력 확보가 가능해졌다.

다섯째, 기준정보 표준화하였다. SCM의 정확도 및 관리수준 향상을 위하여 글로벌 생산, 물류, 판매에 필요한 통합화된 전사적 기준정보 관리체계를 확립하여 단계별로 추진함으로써 정보의 투명성, 신뢰성이 향상되었다.

여섯째, 글로벌 가시성 확보를 통한 조직 및 개인 성과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개인, 조직별로 분산된 데이터를 통합, 표준화, 지표화하여 가시성을 확보하고 성과관리 체계와 연계하여 지속적인 변화관리 및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해지고, 생산, 판매, 재고, 물류정보에 대한 글로벌 가시성이 향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