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5.2.1 추진배경 및 전략과제선정

N사는 SCM 추진과정은 짧은 기간에 고속성장을 한 배경과 일치하는 측면이 있다.

타이어 산업은 장치 산업으로 생산설비 증설이 쉽지 않은 산업이기도 한 대, <그림 29

>와 같이 N사의 연도별 매출액 증가과정은 동사의 공장 신설 또는 증설하는 과정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그림 30> N사의 매출액 증가 추이

자료 : Bloomberg, 저자편집

2006년 5월 중국공장을 착공하여, 2008년 1월 중국 칭다오 공장 생산을 개시하였고, 2010년 6월에 한국에 제2공장을 착공하여 2012년 10월 경남 창녕군에 제3공장을 준공하였다. 또한, 2014년 6월 체코투자계획을 체결하여 현재 2018년 체코공장 완공을 목표로 건설을 진행 중이다.

이와 같은 단일공장체제에서 생산의 글로벌 복수 생산체계가 확립됨에 따라 동사의 SCM 전략도 글로벌체제를 반영한 GSCM 전략체제로 바뀌게 되었다. 동사의 회사 내 자체 업무혁신 TF에서 자체적으로 분석한 SCM 추진배경은 <그림 31> 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림 31> N 사의 SCM 추진배경

즉, 동사는 단일공장 생산체제에서 글로벌 생산체제로 변화됨에 따른 필수 SCM 전략을 GSCP(Global Supply Chain Planning), GSCE(Global Supply Chain Execution) 및 GSCS(Global Supply Chain System)로 나누었고, 이 전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PROCESS, OPERATION, COST MANAGEMENT, INFRASTRUCTURE 등 4가지 분야로 나누어 지속적 TF 활동 및 PI 변화관리를 매월시행한 결과, 내부적으로 < 그림 32 >과 같은 핵심 전략과제에 대하여 2018년 체코공장이 완공되기 전까지 SCM 전략을 고도화하고 이 전략을 달성하기 위한 활동을 지속해서 하고 있다.

<그림 32> N사의 SCM 전략과제

5.2.2 프로세스 구축현황

동사가 설정한 SCM 전략과제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GSCP 프로세스 구축이다. 동사는 자체 내부 컨설팅 결과 영업-생산-물류 프로세스상에서 3가지 주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음을 자체진단하였다. 즉, 수요예측의 미비, 납기정보 제공 미흡, 계획수립 후 잦은 변동에 따른 업무 효율성 저하를 AS-IS 의 문제점으로 규정하고 이를 글로벌 4공장 체제가 본격 운영되기 이전에 해결하기 위하여 <그림 33>

와 같이 TO-BE 프로세스를 도출하고 현재도 프로세스 개선을 계속 진행 중이다.

<그림 33> N사의 GSCP PROCESS 개선모델

둘째, 영업-생산간 업무 연계성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경영관리본부 주관 생판 회의체를 확대하여 신설된 전략본부 산하 SCM 기획팀에서 주관하여 전 부문 합의 기반의 operation 의사결정을 통한 적극적, 선제적 S&OP 운영체계를 구축하였다.

셋째, 부문 간 조정을 담당하여 SCM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 역할수행을 위한 별도의 “독립 SCM 조직”을 구축하였다. 개별 부분에 속하지 않는 독립 SCM 조직에서 혁신과제를 주도적으로 수행하고, 수요-공급 간 이견조율, SCM 프로세스 혁신 등 글로벌 4공장 체제를 대비한 상설조직을 구축하였다.

넷째, 도출된 SCM 전략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글로벌 SCM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이 시스템은 고객의 수주정보 및 기준정보를 바탕으로 고객 납기제시 및 핵심지표를 모니터링하고 운영 조정하는 기능을 담고 있다. 이 시스템은 크게 SCM Planning과 SCM Execution으로 나누어지는대 Planning은 제품에 대한 수요를 예측하고 최적생산계획을 수립하여, 고객수요를 충족시키는 솔루션인데, DP(Demand Planning), MP(Master Planning), FP(Factory Plamnning)로 크게 구성되어있다. Execution 은 물류실행에 대한 업무지원을 하고 물류 흐름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한 최적의 비용을 산정하는

System)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시스템은 다음 <그림 34> 과같이 요약될 수 있다.

<그림 34> N사 글로벌 SCM 시스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