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가. 연구 배경

한국인이 생각하는 평화는 무엇인가? 평화가 국민들의 마음속에 어떤 의미로 저장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국민들에게 ‘평화’라는 단어를 보고 생각나는 단어 3개가 무엇인지를 물어보는 단어연합과 제(word association task)를 실시하였다. 단어연합과제는 의미적 으로 관련이 높거나 중요한 단어들이 연결되어 기억 속에 표상 (representation)되고 있다는 가정을 한다. 의미적으로 관련이 높은 단어들은 거리적으로는 가깝게, 강도의 측면에서는 강하게 연결되 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반응어들의 군집은 제시어의 개념에 대한 사람들의 (무)의식적 이해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86)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이하, 1순위 단어)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하지만 과제의 목표에 따라 많은 제시어에 대해 많은 반응어를 요구 하기도 한다.

나. 단어수준 분석

전반적으로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평화’는 비둘기, 자유, 통일, 행복과 관련이 높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남한주민의 경우 평화와 연합된 단어의 강도는 비둘기에 이어 통 일, 행복, 안정 순이었다. 이러한 연합 강도의 순서는 1순위와 1+2+3순위에서도 공통적으로 관찰되었다.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평 화라는 단어를 보고 떠오르는 1순위 단어들의 순서는 통일, 비둘기,

86) George R. Kiss, “An Associative Thesaurus of English: Structural Analysis of a Large Relevance Network,” in Studies in Long Term Memory, eds. Alan Kennedy and Alan Wilkes (London: Wiley, 1975), pp. 103~121.

자유, 행복, 전쟁의 부재 순이었다. 1+2+3순위에서는 통일, 자유, 행복, 비둘기, 안정, 전쟁의 부재였다.

하지만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 간 반응어의 연합강도, 즉 평화 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 정도의 측면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남한주 민의 경우(<표 Ⅱ-1>) 비둘기가 평화와 가장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 었던 반면 북한이탈주민(<표 Ⅱ-2>)의 경우 통일이 평화와 가장 강 력하게 연관되어 있는 단어였다. 이러한 경향은 1순위 단어에서 강 력했으며 1+2+3순위 단어에서도 관찰되었다.

<표 Ⅱ-1> 남한주민이 평화를 생각할 때 떠오르는 단어의 비율과 빈도 1+2+3순위(3000단어) 1순위(1000) Linden 등 (2011) (2418)

단어 비율(빈도) 단어 비율(빈도) 단어 비율(빈도)

비둘기 13.0(389) 비둘기 21.1(211) 자유(freedom) 7.9(192)

통일 9.9(297) 통일 17.5(175) 행복(happiness) 6.4(154)

자유 7.0(210) 자유 8.0(80) 조화(harmony) 5.8(141)

행복 5.9(176) 행복 4.9(49) 사랑(love) 5.4(130)

안정 3.8(113) 안정 3.8(38) 번영(prosperity) 4.8(116)

사랑 2.5(76) 안전 2.8(29) 협업(cooperation) 3.1(76)

편안함 2.4(73) 전쟁 2.7(27) United Nations 3.0(73)

화합 2.4(72) 사랑 2.6(26) 안보(security) 2.6(62)

안전 2.2(66) 편안함 2.3(23) 평등(equality) 2.4(59)

전쟁 2.0(59) 화합 2.1(21) 전쟁부재(no-war) 2.3(56)

<표 Ⅱ-2> 북한이탈주민이 평화를 생각할 때 떠오르는 단어의 비율과 빈도 1+2+3순위(1200단어) 1순위(400) Linden 등 (2011) (2418)

단어 비율(빈도) 단어 비율(빈도) 단어 비율(빈도)

통일 16.3(195) 통일 27.0(108) 자유(freedom) 7.9(192)

자유 7.1(85) 비둘기 10.8(43) 행복(happiness) 6.4(154)

행복 6.3(75) 자유 10.5(42) 조화(harmony) 5.8(141)

비둘기 4.9(59) 행복 5.0(20) 사랑(love) 5.4(130)

두 집단 간 또 다른 공통점은 평화와 경제적 가치가 연합되어 있 지 않다는 것이다. 경제, 번영, 부유함 등 경제적 번영을 의미하는 단어는 극히 드물었다. 경제적 번영의 범주로 묶일 수 있는 단어(경 제, 돈, 번영, 픙요, 살기 좋음 등)는 3,000개 단어 중 36개, 즉 1.2%

에 불과했다. 이는 적어도 한국사회에서 평화라는 가치가 경제적인 가치의 관점에서 인식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한다.

비둘기와 통일이 평화와 연합된 강도의 차이를 빼면 두 집단 간 가장 큰 차이는 북한이탈주민은 평화와 관련하여 전쟁의 부재를 언 급한 반면 남한주민은 이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는 점이다. 북한이탈 주민은 평화를 전쟁의 부재 상황으로 인식하는 소위 소극적 평화에 남한주민에 비해 민감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남한주민 역시 1순위에 서는 2.7%, 1+2+3순위에서는 2.0%가 전쟁을 평화와 연합시켰다.

북한이탈주민이 전쟁에 대한 언급(1순위: 2.5%)뿐만 아니라 명시적 으로 전쟁의 부재를 평화와 관련시켰다는 점에서 남한주민이 보이 지 않은 특성을 보이고 있다.

남한주민의 경우 평화에 대한 인식에서 인구통계학적 변수별 차 이가 크게 없었다는 점도 다소 놀라운 결과이다. 매년 다양한 기관 에서 실시되는 통일에 대한 인식 조사는 통일에 대한 세대별, 지역 별, 이념별 차이를 보고하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가 통일에 대한

1+2+3순위(1200단어) 1순위(400) Linden 등 (2011) (2418)

단어 비율(빈도) 단어 비율(빈도) 단어 비율(빈도)

안정 3.2(38) 전쟁부재 4.5(18) 번영(prosperity) 4.8(116)

전쟁부재 3.2(38) 안정 4.0(16) 협업(cooperation) 3.1(76)

평화 2.8(34) 전쟁 2.5(10) United Nations 3.0(73)

사랑 2.3(28) 화합 2.3(9) 안보(security) 2.6(62)

민주주의 2.2(26) 평화 2.0(8) 평등(equality) 2.4(59)

편안 2.2(26) 기쁨 1.8(7) 전쟁부재(no-war) 2.3(56)

관심이 부족하다는 인식조사는 거의 매년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평화에 대한 남한주민들의 인식은 대동소이하다(남한주민:

<표 Ⅱ-3>, <표 Ⅱ-4>).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이념과 거주기간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었다(<표 Ⅱ-5>, <표 Ⅱ-6>). 보수일수록 통일 을, 진보일수록 자유를 언급하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거주기간이 길어질수록 통일과 비둘기를 언급한 비율은 감소하고 행복, 안정을 언급한 비율은 증가하였다.

8

<표 Ⅱ-3> 남한주민의 연령, 이념, 지역별 평화에 대한 단어수준 표상: 1순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보수 중도 진보

비둘기 22.5(39) 24.6(42) 23.2(47) 13.4(27) 22.2(56) 23.2(54) 26.1(97) 15.2(60)

통일 18.5(32) 21.1(36) 15.3(31) 19.4(39) 14.7(37) 18.5(43) 18.6(69) 15.9(63)

자유 4.0(7) 7.0(12) 9.9(20) 8.5(17) 9.5(24) 6.4(15) 9.7(36) 7.3(29)

행복 5.2(9) 4.1(7) 3.4(7) 6.0(12) 5.6(14) 4.7(11) 4.3(16) 5.6(22)

안정 1.7(3) 2.9(5) 3.9(8) 4.5(9) 5.2(13) 4.7(11) 4.3(16) 2.8(11)

안전 4.0(7) 2.3(4) 3.0(6) 2.0(4) 3.2(8) 2.1(5) 1.6(6) 4.5(18)

전쟁 3.5(6) 2.9(5) 1.0(2) 4.5(9) 2.0(5) 1.3(3) 2.2(8) 4.0(16)

사랑 3.5(6) 2.3(4) 2.5(5) 3.5(7) 1.6(4) .9(2) 3.2(12) 3.0(12)

편안함 1.2(2) .0(0) 2.0(4) 3.5(7) 4.0(10) 3.9(9) 1.9(7) 1.8(7)

화합 2.3(4) 1.8(3) 2.0(4) 1.0(2) 3.2(8) 3.0(7) 1.1(4) 2.5(10)

서울 인천/경기 대전/충청/세종 광주/전라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강원/제주

비둘기 17.4(34) 26.6(80) 20.6(22) 21.2(21) 21.8(22) 13.5(21) 26.2(11)

통일 17.9(35) 22.9(69) 11.2(12) 13.1(13) 16.8(17) 12.3(19) 23.8(10)

자유 7.7(15) 8.6(26) 13.1(14) 9.1(9) 5.0(5) 7.1(11) .0(0)

행복 6.2(12) 2.7(8) 3.7(4) 3.0(3) 9.9(10) 6.5(10) 4.8(2)

안정 1.0(2) 3.3(10) 3.7(4) .0(0) 13.9(14) 4.5(7) 2.4(1)

안전 1.5(3) 1.7(5) 6.5(7) 5.1(5) 2.0(2) 4.5(7) .0(0)

전쟁 4.1(8) 4.3(13) .0(0) .0(0) .0(0) 1.3(2) 9.5(4)

사랑 4.1(8) .7(2) 2.8(3) 7.1(7) .0(0) 3.9(6) .0(0)

편안함 .5(1) 2.3(7) .9(1) 3.0(3) 5.9(6) 3.2(5) .0(0)

화합 1.5(3) 1.7(5) 3.7(4) 2.0(2) 1.0(1) 2.6(4) 4.8(2)

90

<표 Ⅱ-4> 남한주민의 연령, 이념, 지역별 평화에 대한 단어수준 표상: 1+2+3순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보수 중도 진보

비둘기 13.3(69) 13.1(67) 12.8(78) 11.8(71) 13.8(104) 13.7(96) 13.2(147) 12.3(146)

통일 10.4(54) 11.1(57) 8.2(50) 10.1(61) 9.9(75) 10.7(75) 10.2(114) 9.1(108)

자유 4.8(25) 6.4(33) 8.5(52) 6.6(40) 7.9(60) 6.2(43) 7.4(82) 7.2(85)

행복 5.4(28) 4.7(24) 6.1(37) 6.3(38) 6.5(49) 5.7(40) 6.0(67) 5.8(69)

안정 1.9(10) 3.9(20) 4.8(29) 4.3(26) 3.7(28) 5.2(36) 3.8(42) 2.9(35)

사랑 3.5(18) 3.7(19) 2.0(12) 2.5(15) 1.6(12) 1.3(9) 2.8(31) 3.0(36)

편안함 1.3(7) 1.8(9) 2.3(14) 2.7(16) 3.6(27) 2.7(19) 2.5(28) 2.2(26)

화합 1.7(9) 2.7(14) 2.1(13) 1.8(11) 3.3(25) 3.0(21) 2.2(25) 2.2(26)

안전 2.3(12) 2.1(11) 2.6(16) 1.5(9) 2.4(18) 1.7(12) 1.8(20) 2.9(34)

전쟁 2.1(11) 1.8(9) 1.3(8) 2.7(16) 2.0(15) 1.3(9) 2.2(24) 2.2(26)

서울 인천/경기 대전/충청/세종 광주/전라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강원/제주

비둘기 13.3(78) 13.1(118) 12.8(41) 13.8(41) 16.2(49) 9.5(44) 14.3(18)

통일 9.4(55) 11.8(107) 6.9(22) 10.8(32) 9.9(30) 7.1(33) 14.3(18)

자유 6.8(40) 6.0(54) 9.7(31) 8.8(26) 5.6(17) 8.8(41) .8(1)

행복 5.8(34) 4.7(42) 5.9(19) 5.1(15) 10.2(31) 5.6(26) 7.1(9)

안정 2.1(12) 3.8(34) 3.4(11) .3(1) 9.9(30) 5.2(24) .8(1)

사랑 2.7(16) 2.0(18) 1.9(6) 5.4(16) 1.3(4) 3.0(14) 1.6(2)

편안함 .7(4) 2.1(19) .9(3) 3.4(10) 8.3(25) 2.4(11) .8(1)

화합 2.1(12) 3.0(27) 4.0(13) .7(2) 2.0(6) 1.9(9) 2.4(3)

안전 1.0(6) .9(8) 4.4(14) 6.1(18) 2.3(7) 2.4(11) 1.6(2)

전쟁 2.7(16) 1.8(16) 1.6(5) .3(1) 1.3(4) 1.3(6) 8.7(11)

9

<표 Ⅱ-5> 북한이탈주민의 연령, 이념, 남한 거주기간별 평화에 대한 단어수준 표상: 1순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보수 중도 진보 3년 미만 3∼6년 미만 6∼9년 미만 9년 이상 통일 28.6(10) 26.3(10) 25.2(29) 33.7(33) 22.8(26) 33.1(52) 23.4(29) 22.7(27) 27.2(22) 29.0(29) 33.0(33) 20.2(24) 비둘기 17.1(6) 13.2(5) 4.3(5) 16.3(16) 9.6(11) 10.8(17) 12.9(16) 8.4(10) 13.6(11) 10.0(10) 12.0(12) 8.4(10)

자유 2.9(1) 10.5(4) 16.5(19) 6.1(6) 10.5(12) 8.3(13) 11.3(14) 12.6(15) 9.9(8) 16.0(16) 6.0(6) 10.1(12)

행복 8.6(3) 2.6(1) 2.6(3) 5.1(5) 7.0(8) 7.0(11) 4.0(5) 3.4(4) 1.2(1) 3.0(3) 3.0(3) 10.9(13)

전쟁부재 2.9(1) 2.6(1) 3.5(4) 6.1(6) 5.3(6) 3.2(5) 4.8(6) 5.9(7) 6.2(5) 7.0(7) 2.0(2) 3.4(4)

안정 2.9(1) 2.6(1) 5.2(6) 4.1(4) 3.5(4) 3.8(6) 2.4(3) 5.9(7) 1.2(1) 2.0(2) 2.0(2) 9.2(11)

전쟁 2.9(1) 2.6(1) 3.5(4) 2.0(2) 1.8(2) 2.5(4) 3.2(4) 1.7(2) 2.5(2) .0(0) 5.0(5) 2.5(3)

화합 5.7(2) 2.6(1) 2.6(3) 1.0(1) 1.8(2) 1.9(3) 1.6(2) 3.4(4) 3.7(3) 1.0(1) 3.0(3) 1.7(2)

평화 2.9(1) 2.6(1) 1.7(2) 3.1(3) .9(1) 1.9(3) 1.6(2) 2.5(3) 1.2(1) 2.0(2) 1.0(1) 3.4(4)

기쁨 .0(0) .0(0) 2.6(3) 2.0(2) 1.8(2) 1.3(2) 2.4(3) 1.7(2) 2.5(2) 1.0(1) 2.0(2) 1.7(2)

<표 Ⅱ-6> 북한이탈주민의 연령, 이념, 남한 거주기간별 평화에 대한 단어수준 표상: 1+2+3순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보수 중도 진보 3년 미만 3∼6년 미만 6∼9년 미만 9년 이상 통일 16.2(17) 15.8(18) 15.4(53) 19.7(58) 14.6(50) 19.1(90) 14.5(54) 14.6(52) 18.1(44) 17.0(51) 16.0(48) 14.8(53) 자유 1.0(1) 6.1(7) 10.4(36) 6.5(19) 6.4(22) 7.2(34) 5.9(22) 8.1(29) 6.6(16) 8.7(26) 6.0(18) 7.0(25) 행복 6.7(7) 6.1(7) 5.2(18) 7.1(21) 6.7(23) 6.6(31) 5.6(21) 6.7(24) 5.3(13) 5.0(15) 5.3(16) 9.0(32) 비둘기 6.7(7) 5.3(6) 3.5(12) 6.1(18) 4.7(16) 5.1(24) 5.9(22) 3.6(13) 6.6(16) 5.0(15) 5.0(15) 3.6(13) 안정 6.7(7) .9(1) 2.9(10) 2.4(7) 3.8(13) 2.8(13) 2.7(10) 4.2(15) 2.1(5) 2.7(8) 1.7(5) 5.6(20) 전쟁부재 2.9(3) .9(1) 2.6(9) 3.7(11) 4.1(14) 3.2(15) 2.7(10) 3.6(13) 3.7(9) 5.0(15) 1.7(5) 2.5(9)

평화 3.8(4) 5.3(6) 1.7(6) 3.7(11) 2.0(7) 3.6(17) 1.6(6) 3.1(11) 1.6(4) 3.0(9) 3.0(9) 3.4(12)

사랑 1.0(1) 5.3(6) 1.4(5) 2.0(6) 2.9(10) 1.5(7) 4.3(16) 1.4(5) 2.5(6) 1.7(5) 2.3(7) 2.8(10)

민주주의 1.0(1) .9(1) 3.8(13) 1.7(5) 1.8(6) 2.1(10) 1.9(7) 2.5(9) 2.1(5) 3.3(10) 2.7(8) .8(3)

편안 1.0(1) 2.6(3) 2.3(8) 2.4(7) 2.0(7) 2.1(10) 2.4(9) 2.0(7) 2.5(6) 2.0(6) 2.0(6) 2.2(8)

다. 범주 수준별 분석

가장 많이 언급된 최빈(最頻)단어들을 범주별로 묶어 분석을 실시 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들은 평화의 의미를 상징, 개인의 긍정적 정서, 공공 권리, 관계, 사회적 질서, 마음의 평온, 통일, 폭력, 폭력의 부재 순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87) 북한이탈주민은 통일, 관계, 긍 정적 정서, 공공 권리, 물리적 안정, 상징, 폭력의 부재, 폭력 순이었다.

평화와 연합된 단어를 범주화했을 때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차이는 보다 뚜렷하게 나타났다. 남한주민은 평화를 상징, 그리고 행복과 같은 개인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북한이탈주민은 통일, 그리 고 관계의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관찰할 수 있다.

<표 Ⅱ-7> 평화와 연합된 단어의 범주화 결과

남한주민 북한이탈주민

1+2+3순위(3000) 1순위(1000) 1+2+3순위(1200) 1순위(400)

상징 23.8(713) 29.4(294) 6.9(83) 11.0(44)

긍정적 정서 14.7(440) 10.4(104) 12.5(149) 9.0(36)

통일 9.9(297) 17.5(175) 16.4(196) 27.0(108)

공공 권리 9.3(279) 9.4(94) 11.5(137) 13.3(53)

관계 7.8(234) 5.2(52) 15.1(181) 12.3(49)

물리적 안정 7.2(217) 7.1(71) 7.1(85) 7.2(29)

마음의 평온 6.1(183) 4.4(44) 3.3(40) 2.0(8)

폭력의 부재 3.7(112) 2.6(26) 4.9(59) 5.5(22)

폭력 3.1(94) 3.6(36) 2.8(33) 3.3(13)

부 1.8(55) 1.1(11) 2.4(29) 1.5(6)

협상 2.3(70) 2.3(23) .7(8) .3(1)

87) 상징: 비둘기, DMZ, 문재인, 김정은, 트럼프, 노벨평화상, 올리브, 올림픽, 판문점, 자연 등 긍정적 정서: 기쁨, 따듯함, 미소, 부드러움, 사랑, 아름다움, 안락, 여유, 즐거움, 행복 등 공공 권리: 노력, 민주주의, 인권, 자유, 정의, 평등 등

관계: 가족, 공존, 대화, 믿음, 소통, 이해, 존중, 한민족, 협력, 화합, 화해 등 사회적 질서: 안보, 안심, 안전, 안정 등

마음의 평온: 고요함, 잔잔함, 편안, 평온 등

폭력의 부재: 갈등부재, 걱정부재, 비핵화, 전쟁부재, 휴전 등 폭력: 6‧25, 전쟁, 이산가족, 핵 등

협상: 남북대화, 평화협정, 협상, 정상회담, 회담 등

큰 틀에서 본다면 범주화 결과 역시 인구통계학적 변수별 차이는 없었다. 남한주민의 경우(<표 Ⅱ-8>, <표 Ⅱ-9>) 60대가 다른 연령 대에 비해 물리적 안정을 평화와 관련하여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다.

40대와 60대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평화와 통일의 연합 강도가 낮았 다. 광주/전라 지역에서 상징을 언급한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 았으며, 인천/경기 및 강원/제주가 통일을 언급한 비율이 다른 지역 보다 높았다. 북한이탈주민의 경우(<표 Ⅱ-10>, <표 Ⅱ-11>) 1순위 기준 거주기간이 길어질수록 평화를 생각할 때 집단적 관점이 약화 되고 개인적 관점이 강화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상징, 통일, 관계 를 언급하는 비율이 낮아지고 긍정적 정서, 물리적 안정을 언급하는 비율이 높아졌다.

94

<표 Ⅱ-8> 남한주민의 연령, 이념, 지역별 평화에 대한 범주수준 표상: 1순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보수 중도 진보

상징 30.6(53) 35.7(61) 33.0(67) 21.4(43) 27.8(70) 29.6(69) 32.1(119) 26.8(106)

통일 18.5(32) 21.1(36) 15.3(31) 19.4(39) 14.7(37) 18.5(43) 18.6(69) 15.9(63)

긍정적 정서 11.0(19) 8.8(15) 6.9(14) 13.9(28) 11.1(28) 9.4(22) 10.0(37) 11.4(45)

공공 권리 4.0(7) 8.2(14) 11.8(24) 9.0(18) 12.3(31) 7.3(17) 10.5(39) 9.6(38)

물리적 안정 5.8(10) 5.8(10) 6.9(14) 6.5(13) 9.5(24) 7.7(18) 6.2(23) 7.6(30)

관계 6.4(11) 3.5(6) 3.9(8) 5.5(11) 6.3(16) 6.4(15) 3.0(11) 6.6(26)

마음의 평온 5.2(9) 2.9(5) 2.5(5) 6.5(13) 4.8(12) 5.6(13) 4.6(17) 3.5(14)

폭력 5.2(9) 2.9(5) 2.5(5) 4.5(9) 3.2(8) 2.1(5) 3.0(11) 5.1(20)

폭력의 부재 3.5(6) 3.5(6) 3.4(7) 2.0(4) 1.2(3) 3.4(8) 2.2(8) 2.5(10)

협상 1.7(3) 1.2(2) 4.9(10) 2.0(4) 1.6(4) 3.0(7) 2.4(9) 1.8(7)

서울 인천/경기 대전/충청/세종 광주/전라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강원/제주

상징 26.2(51) 30.9(93) 29.0(31) 42.4(42) 25.7(26) 20.6(32) 45.2(19)

통일 17.9(35) 22.9(69) 11.2(12) 13.1(13) 16.8(17) 12.3(19) 23.8(10)

긍정적 정서 11.8(23) 6.3(19) 9.3(10) 13.1(13) 11.9(12) 16.1(25) 4.8(2)

공공 권리 9.2(18) 10.6(32) 13.1(14) 11.1(11) 6.9(7) 7.7(12) .0(0)

물리적 안정 3.1(6) 5.0(15) 10.3(11) 5.1(5) 15.8(16) 11.0(17) 2.4(1)

관계 7.7(15) 3.7(11) 7.5(8) 5.1(5) 3.0(3) 4.5(7) 7.1(3)

마음의 평온 2.6(5) 3.3(10) 6.5(7) 4.0(4) 7.9(8) 5.8(9) 2.4(1)

폭력 4.1(8) 5.3(16) 3.7(4) .0(0) .0(0) 2.6(4) 9.5(4)

폭력의 부재 4.1(8) 3.7(11) .9(1) 1.0(1) 2.0(2) 1.9(3) .0(0)

협상 2.6(5) 3.3(10) .9(1) .0(0) 2.0(2) 1.9(3) 4.8(2)

9

<표 Ⅱ-9> 남한주민의 연령, 이념, 지역별 평화에 대한 범주수준 표상: 1+2+3순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보수 중도 진보

상징 25.0(130) 24.4(125) 26.3(160) 21.1(127) 22.5(170) 21.3(149) 23.4(260) 25.5(303)

긍정적 정서 15.0(78) 15.2(78) 13.5(82) 15.3(92) 14.6(110) 12.6(88) 16.4(182) 14.3(170)

통일 10.4(54) 11.1(57) 8.2(50) 10.1(61) 9.9(75) 10.7(75) 10.2(114) 9.1(108)

공공 권리 7.7(40) 8.2(42) 11.0(67) 9.0(54) 10.1(76) 7.9(55) 9.3(104) 10.1(120)

관계 7.1(37) 6.8(35) 6.7(41) 9.0(54) 8.9(67) 10.0(70) 6.7(75) 7.5(89)

물리적 안정 5.2(27) 7.2(37) 9.2(56) 6.5(39) 7.7(58) 8.2(57) 7.0(78) 6.9(82)

마음의 평온 5.6(29) 5.5(28) 3.8(23) 7.8(47) 7.4(56) 6.3(44) 6.5(72) 5.6(67)

폭력의 부재 3.1(16) 4.7(24) 3.3(20) 3.5(21) 4.1(31) 6.2(43) 3.4(38) 2.6(31)

폭력 3.3(17) 3.1(16) 2.8(17) 3.5(21) 3.0(23) 2.6(18) 3.2(36) 3.4(40)

협상 2.3(12) 3.3(17) 3.4(21) 3.0(18) 2.1(16) 3.0(21) 3.6(40) 1.9(23)

서울 인천/경기 대전/충청/세종 광주/전라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강원/제주

상징 24.3(142) 21.0(190) 23.4(75) 30.6(91) 22.1(67) 20.9(97) 39.7(50)

긍정적 정서 12.8(75) 15.2(137) 13.7(44) 17.2(51) 17.2(52) 14.6(68) 10.3(13)

통일 9.4(55) 11.8(107) 6.9(22) 10.8(32) 9.9(30) 7.1(33) 14.3(18)

공공 권리 9.4(55) 9.1(82) 10.9(35) 12.8(38) 7.3(22) 9.7(45) 1.6(2)

관계 9.6(56) 9.1(82) 9.0(29) 3.4(10) 4.3(13) 8.2(38) 4.8(6)

물리적 안정 5.3(31) 6.0(54) 8.1(26) 6.4(19) 12.2(37) 10.1(47) 2.4(3)

마음의 평온 3.8(22) 3.9(35) 8.4(27) 6.4(19) 11.9(36) 7.5(35) 7.1(9)

폭력의 부재 2.9(17) 6.3(57) 1.9(6) 2.0(6) 4.0(12) 3.0(14) .0(0)

폭력 3.9(23) 3.0(27) 3.7(12) 1.0(3) 1.7(5) 2.2(10) 11.1(14)

협상 2.2(13) 5.0(45) 4.0(13) .3(1) 1.0(3) 1.5(7) 1.6(2)

96

<표 Ⅱ-10> 북한이탈주민의 연령, 이념, 남한 거주기간별 평화에 대한 범주수준 표상: 1순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보수 중도 진보 3년 미만 3-6년 미만 6-9년 미만 9년 이상 통일 28.6(10) 26.3(10) 25.2(29) 33.7(33) 22.8(26) 33.1(52) 23.4(29) 22.7(27) 27.2(22) 29.0(29) 33.0(33) 20.2(24) 공공 권리 8.6(3) 13.2(5) 20.0(23) 7.1(7) 13.2(15) 8.9(14) 15.3(19) 16.8(20) 14.8(12) 18.0(18) 10.0(10) 10.9(13) 관계 17.1(6) 10.5(4) 13.9(16) 6.1(6) 14.9(17) 10.8(17) 16.1(20) 10.1(12) 14.8(12) 11.0(11) 14.0(14) 10.1(12) 상징 20.0(7) 13.2(5) 4.3(5) 16.3(16) 9.6(11) 10.8(17) 12.9(16) 9.2(11) 14.8(12) 10.0(10) 12.0(12) 8.4(10) 긍정적 정서 8.6(3) 5.3(2) 7.0(8) 8.2(8) 13.2(15) 10.2(16) 8.9(11) 7.6(9) 6.2(5) 5.0(5) 7.0(7) 16.0(19) 물리적 안정 5.7(2) 5.3(2) 9.6(11) 6.1(6) 7.0(8) 7.6(12) 4.8(6) 9.2(11) 1.2(1) 10.0(10) 4.0(4) 11.8(14)

폭력의 부재 2.9(1) 2.6(1) 5.2(6) 6.1(6) 7.0(8) 4.5(7) 4.8(6) 7.6(9) 7.4(6) 7.0(7) 4.0(4) 4.2(5)

폭력 2.9(1) 2.6(1) 3.5(4) 4.1(4) 2.6(3) 3.8(6) 3.2(4) 2.5(3) 2.5(2) .0(0) 5.0(5) 5.0(6)

마음의 평온 2.9(1) 5.3(2) 1.7(2) 1.0(1) 1.8(2) 1.3(2) .8(1) 4.2(5) 2.5(2) 2.0(2) 3.0(3) .8(1)

부 .0(0) 2.6(1) 1.7(2) 2.0(2) .9(1) 1.9(3) 2.4(3) .0(0) .0(0) 1.0(1) 2.0(2) 2.5(3)

<표 Ⅱ-11> 북한이탈주민의 연령, 이념, 남한 거주기간별 평화에 대한 범주수준 표상: 1+2+3순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보수 중도 진보 3년 미만 3-6년 미만 6-9년 미만 9년 이상 통일 16.2(17) 16.7(19) 15.4(53) 19.7(58) 14.6(50) 19.3(91) 14.6(54) 14.6(52) 18.1(44) 17.3(52) 16.1(48) 14.8(53) 관계 16.2(17) 14.0(16) 16.0(55) 11.6(34) 17.3(59) 13.8(65) 17.3(64) 14.6(52) 15.6(38) 14.0(42) 17.7(53) 13.4(48) 긍정적 정서 10.5(11) 13.2(15) 11.6(40) 12.9(38) 13.7(47) 11.5(54) 14.6(54) 12.0(43) 11.1(27) 10.0(30) 10.4(31) 17.6(63) 공공 권리 3.8(4) 7.0(8) 16.6(57) 9.5(28) 11.7(40) 10.8(51) 10.0(37) 13.7(49) 10.3(25) 14.3(43) 9.0(27) 11.8(42) 물리적 안정 9.5(10) 3.5(4) 6.7(23) 6.1(18) 8.8(30) 6.8(32) 6.7(25) 7.8(28) 3.7(9) 8.0(24) 6.4(19) 9.2(33)

상징 14.3(15) 6.1(7) 4.9(17) 7.5(22) 6.4(22) 6.8(32) 7.5(28) 6.4(23) 9.5(23) 7.3(22) 6.7(20) 5.0(18) 폭력의 부재 3.8(4) 2.6(3) 5.5(19) 5.1(15) 5.3(18) 5.3(25) 4.3(16) 5.0(18) 4.9(12) 6.7(20) 4.3(13) 3.9(14) 마음의 평온 2.9(3) 4.4(5) 3.5(12) 3.7(11) 2.6(9) 2.5(12) 4.0(15) 3.6(13) 4.1(10) 3.0(9) 4.0(12) 2.5(9)

폭력 4.8(5) 1.8(2) 2.9(10) 3.4(10) 1.8(6) 1.9(9) 2.4(9) 4.2(15) 4.1(10) .3(1) 3.0(9) 3.6(13)

부 .0(0) 1.8(2) 2.9(10) 1.7(5) 3.5(12) 3.0(14) 3.0(11) 1.1(4) 1.2(3) 3.0(9) 3.0(9) 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