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쿠릴타이 現場의 자리 배치와 儀衛

쿠릴타이의 개최 현장은 대칸의 大오르두의 안팎과 上都 大安閣,315) 大都 大明殿 등이었다.316) 특히 夏營地 우르메게투나 上都의 시라 오르두(失剌斡 耳朶 Shīra Ōrdū: 황색의 宮帳)가 중시되었다. 카안의 둥근 게르[穹廬: 半 圓 지붕이 딸린 원형 텐트317)] 시라 오르두는 왜소하지 않았다.318) 1236년

311) Shane McCausland(2014), p.23.

312) 元史77 「祭祀志」6 國俗舊禮, p.1924, “每歲, 駕幸上都, 以六月二十四日祭祀, 謂之洒 馬妳子. 用馬一, 羯羊八, 綵段練絹各九匹, 以白羊毛纏若穗者九, 貂鼠皮三, 命蒙古巫覡及蒙 古·漢人秀才達官四員領其事, 再拜告天.”

313) 箭內亘(1930b), pp.946~947, 951, 954.

314) Tomoko Masuya(2013), p.248.

315) 大安閣은 宋의 수도 汴京에 있던 熙春閣의 자재에 여타 재료를 더해 만든 宮殿이었다(

全元文831 「虞集」18 題大安閣圖, p.289, “世祖皇帝在藩, 以開平爲分地, 卽爲城郭宮室, 取故宋熙春閣材于汴, 稍損益之, 以爲此閣, 名曰「大安」. 旣登大寶, 以開平爲上都, 宮城之 內, 不作正衙, 此閣巋然遂爲前殿矣.”).

316) 元朝名臣事略12 「內翰王文忠公」, p.243, “朝議未定, 凡遇稱賀, 臣庶無問貴賤, 皆集帳 殿前.”; 元史160 「列傳」47 王磐, p.3753, “時宮闕未建, 朝儀未立, 凡遇稱賀, 臣庶雜至帳 殿前.”; 南村輟耕錄21 「宮闕制度」, p.251, “大明殿, 乃登極·正旦·壽節·會朝之正衙也.” 上 都 大宴은 大安閣과 棕殿, 시라 오르두(失剌斡耳朶) 등에서 거행되었다(袁冀(2005), pp.11 8~120).

여름319)에 宋의 사신 鄒伸之를 수행해 몽골리아에 온 徐霆이 草地에 세워진

“金帳”(곧 시라 오르두)을 목격했다. 그것은 접이식 게르[燕京之製]가 아닌 草地 大氈帳(접지 못하고 수레 위에 싣고 이동하는 대형 게르[草地之製])이 었다. 그것은 위아래를 모전으로 덮고 중간에 버드나무로 窗(곧 天窗)을 짜 만들어 빛을 통과시킨 후 1000여 가닥의 줄[索]로 당겨 고정시킨 것이었다.

문지방[閾]과 기둥[柱]을 모두 金으로 쌌기 때문에 “金帳”이라 불렀다. 그 수 용인원은 수백 명이었다. 徐霆은 당시 使節이 宋 皇帝(곧 理宗: 재위 1224- 64)의 使臣으로 몽골초원을 방문한 까닭에 대칸 우구데이가 金帳을 의도적 으로 설립해 壯觀을 과시한 것이라고 여겼다. 그의 전후의 사절들―1233~34 년 江淮制置大使 史嵩之(1189-1257)의 사절 鄒伸之, 1235년의 大使 程芾, 1236~37년의 奉使 周次說―은 시라 오르두가 세워진 것을 보지 못했다.320)

다만 우구데이 카안에 앞서 시라 오르두의 原形이 존재했었다. 몽골비사

317) Peter Olbricht und Elisabeth Pinks, Meng-Ta Pei-Lu und Hei-Ta Shih-Lüeh:

Chinesische Gesandtenberichte über die Früchen Mongolen 1221 und 1237 (Wiesbaden: Otto Harrassowitz, 1980), p.105의 각주 1.

318) 元詩選(初集·庚集) 楊□□允孚·灤京雜咏一百首, p.1961, “夜宿氈房月滿衣, 晨餐乳粥椀 生肥. 憑君莫笑穹廬矮, 男是公侯女是妃.”; Christopher Dawson, Mission to Asia, p.5.

게르(穹廬)는 소·말·낙타가 끄는 수레 위에 실려 이동할 수 있었고 몽골 군주는 거기에 앉 거나 누울 수 있었다. 이를 帳輿(몽골어 ger tergen[гэр тэргэн])라고 불렀다(Paehwan Seol, “Wood Consumption in Mongolia during the Mongol Empire and Its Environmental Impact,” edited by Ts. Tserendorj and N. Khishigt, Chinggis Khaan and Globalization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Чингис Хаан ба Да яарчлал Олон улсын эрдэм шинжилгээний хурал) devoted to the 850th Birthday Anniversary of Chinggis Khaan under the patronage of Ts. Elbegdorj, the President of Mongolia (Ulaanbaatar, 2014), p.339). 소형 게르는 소 1마리로도 충 분했지만 대형 게르는 크기에 따라 3~4마리 또는 그 이상이 끌었다(Christopher Dawson, Mission to Asia, p.8). 몽골 大車는 4000~5000斤을 적재하며 소와 나귀 십수 마리가 끌었다(癸辛雜識續集上([宋]周密, 癸辛雜識, 北京: 中華書局, 1988) 「北方大車

」, p.157).

319) 黑韃事略箋證(王國維, 蒙古史料四種校注, 淸華學校硏究院, 1926) 「黑韃事略跋」, p.1ab; 許全勝, 「《西遊錄》與《黑韃事略》的版本及研究—兼論中日典籍交流及新見沈曾植箋注 本」, 復旦學報(社會科學版), 2009(02), p.14; 宋史41 「理宗本紀」1 端平元年十二月己卯 條/辛卯條, p.804, “十二月己卯, 大元遣王檝來. (중략) 辛卯, 遣鄒伸之·李復禮·喬仕安·劉溥 報謝, 各進二秩.” 王國維는 鄒伸之 일행이 몽골리아에 도착한 시기를 “丙申之夏”(1236년 여름)로 설명한다. 그런데 그들이 황제의 使節 명령을 받은 때는 1235년 음력 십이월 이십 칠일(1235.1.17.)이었다. 使節의 출발시점과 도착시점 사이에 간격이 너무 길다.

320) 黑韃事略(中華書局本), pp.2~3, “霆至草地時, 立金帳. 想是以本朝皇帝親遣使臣來, 故 立之以示壯觀. 前綱鄒奉使至, 不曾立; 後綱程大使更後綱周奉使至, 皆不立. 其掣即是草地大 氈帳, 上下用氈爲衣, 中間用柳編爲窗眼透明, 用千餘索拽住, 閾與柱皆以金裹, 故名. 可容數 百人.”; 黑韃事略箋證(王國維), pp.5b~6a; Peter Olbricht und Elisabeth Pinks, Hei-Ta Shih-Lüeh, pp.104~105, pp.106~107의 각주 12~14.

에 케레이트 군주옹칸은 황금 장막(

altan terme

)을 소유했고 그것은 “金撒 帳”(golden tent of thin woollen cloth)으로 漢譯되었다.321)

terme

는 티베 트어

ther-ma

에서 유래한 것으로 “얇은 모직물, 플라넬(flannel) 같은 직 물”을 가리킨다.322) 또 칭기스칸이 1224년에 부카 수지쿠(Būqā Sūjīqū)에서 열린 집회와 대연회에서 “황금의 大帳(ōrdū-i buzurg-i zarīn)”을 세운 集 史의 기록이 있다.323)

시라 오르두는 우구데이 카안 이후 크기가 더욱 커져 카르피니가 본 구육 카안의 천막은 2000명 이상이 들어갈 정도였다. 그것은 금판으로 덮인 기둥 으로 지탱되었고 금 못으로 박은 나무들보에 묶여 있었다. 내부의 천정과 측 면은 브로케이드로 돼 있었고 바깥은 다른 소재로 만들어졌다.324) 뭉케 카안 의 천막 크기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수도사 루브룩이 목도한 바 그 내부는 금실로 짠 천으로 덮여 있었다.325) 1274~91년 무렵까지 카안울루스에 머물 렀던 마르코 폴로는 쿠빌라이 카안의 帳殿에 1000명이 앉을 수 있다고 묘사 했다.326) 14세기에 柳貫은 詩 「觀失剌斡耳朶御宴回」에서 카안의 시라 오르 두가 대단히 깊고 넓어 수천 명을 수용할 수 있다고 경탄했다.327)

카안의 오르두 안쪽은 [아마 늦가을부터 이른 봄까지] 면면이 자줏빛 담비 가죽[紫貂]으로 돼 있었고 거기에 허리 부근의 난간을 호랑이가죽[虎皮]으로 빙 둘렀다. 大雪이 1尺가량 쌓여도 殿中에서는 바람의 힘을 알지 못할 정도

321) 몽골비사(유원수 역주) 제184~185절, p.158/제187절, p.163; Igor de Rachewiltz,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pp.105~106, 108; ≪元朝秘史≫モンゴル語全單 語·語尾索引(栗林均·确精扎布 編), pp.304~307, 312~313; Ш. Бира etc., Монголын Н ууц Товчоо, pp.223~224, 226.

322) Igor de Rachewiltz,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pp.664~665.

323) Rashīd/Rawshan, p.536; Rashīd/Thackston, p.260; 칭기스칸기(김호동 역주), p.380.

324) Christopher Dawson, Mission to Asia, pp.61~63; 몽골제국 기행(김호동 역주), pp.146~148.

325) Peter Jackson, The Mission of Friar William of Rubruck, p.177; 몽골제국 기행

(김호동 역주), p.286.

326)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김호동 역주), p.265. 참고로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 (재위 336-323BCE)의 조회용 텐트는 황금 기둥 50개가 떠받쳤고 긴 의자(혹은 침상) 100 개가 놓여 있었다. 결혼용·연회용 텐트 역시 긴 의자 100개가 들어가는 크기였다(Tony Spawforth, “The Court of Alexander the Great between Europe and Asia,” A.J.S.

Spawforth, ed., The Court and Court Society in Ancient Monarchies (Cambridge·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pp.112~117).

327) 口北三廳志15 「藝文」4 詩·七言律詩·觀失剌斡耳朶御宴回(元 柳貫), p.10a(269下), “車 駕駐蹕, 卽賜近臣灑馬妳子. 御筵設氊殿失剌斡耳朶深廣, 可容數千人. 上京五月芍藥始花.”;

元詩選(初集·丁集) 柳待制貫·待制集·觀失剌斡耳朶御宴回, p.1154; 柳貫詩文集5 「律詩 (七言)」 觀失剌斡耳朶御宴回, p.86.

로 따뜻하고 방풍이 잘되었다.328) 시라 오르두의 게르[毳幕] 안은 天窗(몽골 어 toono)을 통해 하늘로 이어졌고 바닥에 채색무늬 카펫[彩繩]이 깔려 있었 다.329) 키타이인들(북중국인)이 제작한 구육 카안의 한 천막 안에는 높은 단 이 하나 설치돼 있었고 그 위에 황제의 왕좌가 놓였다. 상아로 만든 옥좌는 멋진 조각과 함께 그 표면이 금·보석·진주로 장식돼 있었다.330)

1269년(이슬람력 667)에 바락과 카이두·킵착(Qipchaq)·뭉케 테무르(재위 1266-80)의 대리인(베르케 체르) 사이에 ‘탈라스(Talas) 會盟’이 성사되기 직전에 평화 협상을 위해 킵착 오굴이 바락에게 사절로 왔을 때 바락은 “자 신의 宮帳(

bārgāh

: 군주의 텐트)을 웅장하게 장식하고(‘azamat bīyārāstand) 무장 병사들을 문지방(dargāh) 앞에 정렬시켰다.” 그해 봄 모든 諸王들이 탈라스와 켄작 초원에 모였고 1주일의 연회(

ṭōī

) 후 여드레 날 협의 (kingāch)와 쿠릴타이(

qūrīltāī

)의 시간을 보냈다.331) 이 일화로부터 쿠릴타 이에 앞서 군주의 게르가 평소보다 더욱 특별히 장식되고 케식·병사에 의해 호위된 상황을 유추할 수 있다.

페르시아어

bārgāh

(ﻩﺎﮔﺭﺎﺑ)는 “군주들과 술탄들의 텐트(khaima-i pādshāhān wa salāṭīn)”를 뜻한다.332) 集史는 군주(카안·칸·술탄)의 텐트를

bārgāh

로 적고 있다.333) 예컨대 칭기스칸은 1220년에 호레즘의 오트라르(Otrar: 현 카자흐스탄 남부 Otrar 유적) 市에 도착해 자신의 텐트(

bārgāh

)를 쳤다.334)

長春眞人이 1221년 사월 오일(4.28)에 塔里寒(Taliqan: 아프가니스탄 동 북부 쿤두즈 동쪽)에서 칭기스칸을 알현했을 때 칸은 眞人 일행의 천막 2개 를 자신의 “御幄” 동쪽에 설치시켰다.335) 1295년 5월 23일(이슬람력 694년 라잡월 칠일)에 가잔칸과 바이두(Baidu) 사이에 평화 협정이 논의될 때 양측 의 아미르들이 “[군주의] 텐트(

bārgāh

) 하나를 중앙(miyāna)에 세우기”로 합의한 사실336)에서 그 천막이 오르두의 중앙에 위치했음을 알 수 있다.

328) 元詩選(初集·辛集) 可閑老人張昱·廬陵集, 輦下曲一百二首, p.2070, “壁衣面面紫貂爲, 更繞腰闌挂虎皮. 大雪外頭深一尺, 殿中風力豈曾知.”; 袁冀(2005), p.118.

329) 元詩選(初集·丁集) 柳待制貫·待制集·觀失剌斡耳朶御宴回, p.1154, “毳幕承空柱繡楣, 彩 繩亙地掣文霓.”; 袁冀(2005), p.118.

330) Christopher Dawson, Mission to Asia, p.64; 몽골제국 기행(김호동 역주), p.150.

331) Rashīd/Rawshan, pp.1067~1068; Rashīd/Thackston, p.521.

332) Parsi Wiki Open Dictionary의 “bārgāh(ﻩﺎﮔﺭﺎﺑ).

333) Rashīd/Rawshan, p.432, 488, 549, 636, 884, 1067, 1206, 1248, 1304, 1352. 쌕스 턴(Wheeler M. Thackston)은 bārgāh를 “court tent”(궁중 천막)로 번역한다(Rashīd/

Thackston, p.312).

334) Rashīd/Rawshan, p.488; Rashīd/Thackston, p.241.

335) 長春眞人西遊記([元]李志常 著, 黨寶海 譯注, 石家庄: 河北人民出版社, 2001), “時四月 五日也. 館舍定, 即入見 (중략) 上嘉其誠實, 設二帳於御幄之東以居焉.”

[그림 1-5] 가잔칸의 황금 천막 (khargāhī-i zarīn)

(Rašīd al-Dīn Fazl-ullāh Hamadānī, Ğāmi‛ al-tavārīḫ, [c.1430-1434](manuscrit)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Département des manuscrits, Supplément Persan 1113), p.f489-239r)

1251년 봄 혹은 여름에 열린 뭉케 카안의 즉위 연회(

ṭoi

)는 그 다음 날에 특별한 텐트에서 거행되었다. 그것은 사힙 얄라바치(?-1254)가 준비한 천막 (khaima)으로 나시즈(

nasīj

금실로 짠 비단) 직물과 금실로 짜고 형형색색으 로 치장한 [군주의] 텐트(

bārgāh

)였다.337)

1264년 봄에 알말릭(현 新疆 霍城 서북)에서 아릭 부케가 환락을 즐긴 군 주용 천막(

khaima-i bārgāh

)은 말뚝 1000개로 고정시킨 것338)으로 규모가 컸다. 일칸국 가잔칸의 夏營地 우잔의 大오르두(

ōrdū-i mu‘aẓẓam

)339)에는 쿠릴타이를 위한 대형텐트(

bārgāh-i buzurg

)가 설치돼 있었다.340) 가잔칸은 名匠들에게 황금 천막(

khargāhī-i zarīn

) 하나와 황금 寶座(

takhtī-i zarīn

) 하나를 만들도록 명령했다. 이 텐트는 타브리즈에 서 3년 동안 제작되었고 1302년 7월(이슬 람력 701년 둘 카다월 하순)에 완성된 후 우잔으로 이송되었다. 황금 천막은 칸의 명령으로 황금의 오르두(

ōrdū-i zarīn

: 즉, 시라 오르두)의 庭園 중앙에 놓였고 그것은 군주의 텐트(

bārgāh

)와 덮개들 (sāyabān-hā)과 함께 특별한 것이었다.

카펫·천막 관리자들(farrāshān)과 기술자 들이 한 달 만에 그것을 세우고 황금 寶座 를 보석들과 루비들로 만들었다.341) 集史

(파리 寫本)에는 가잔칸과 그의 황금 천 막(그림 1-5)이 묘사돼 있다.

集史(파리 寫本)에 大오르두에서 열렸 던 우구데이 카안의 즉위 쿠릴타이의 한 장면(그림 1-6)이 그려져 있다. 그 림에 묘사돼 있지 않지만 세계정복자史에 따르면 카안의 쿠릴타이에 카툰

336) Rashīd/Rawshan, p.1248; Rashīd/Thackston, p.615.

337) Rashīd/Rawshan, p.830; 칸의 후예들(김호동 역주), pp.318~319.

338) Rashīd/Rawshan, p.884; Rashīd/Thackston, p.432; 칸의 후예들(김호동 역주), p.388.

339) Rashīd/Rawshan, p.4; Rashīd/Thackston, p.4 부족지(김호동 역주), p.50.

340) Rashīd/Rawshan, p.1352; Rashīd/Thackston, p.674.

341) Rašīd al-Dīn Fazl-ullāh Hamadānī, Ğāmi‛ al-tavārīḫ(파리 寫本), p.f488-238v;

Rashīd/Rawshan, pp.1303~1304; Rashīd/Thackston, pp.651~652. 大오르두가 설치된 우잔의 草地는 강들과 샘물들이 흐르는 곳이었다. 그와 별도로 그곳에 커다란 연못들과 웅 덩이들이 만들어졌다. 오르두의 정원에는 작은 궁전들·탑들·목욕탕·높은 건물들이 있었고 그 중앙에 황금 텐트가 놓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