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통치 가문의 성원과 귀족이 참석하는 會議는 스키타이 이래 유목국가의 오랜 전통이었다.71) 중앙유라시아 동부 초원에서 쿠릴타이(

quriltai

/

qūrīltāī

大會)의 원형은 몽골고원의 고대 유목민 匈奴에게서 보인다. 司馬遷 (c.145-86 BCE)은 匈奴의 연간 세 차례 모임을 小會와 大會로 구분해 적었 다.

매년 정월̇ ̇ 匈奴 諸長(左賢王 이하 24長)은 單于庭(匈奴 군주 單于가 머물며 정사를 보던 오르두)에서 小會̇ ̇ (작은 모임)를 열고 제사[祠]를 올렸다. 오월̇ ̇ 蘢城(나무로 만든 祭祀地 혹은 單于의 오르두72))에서 大̇

會̇(큰 모임)를 열고 그 선조와 天地와 鬼神에 제사를 올렸다. 가을̇ ̇ [구̇

월̇]에 말이 비육해지자 蹛林(흉노의 가을 제사 터)에서 大會를 열고 사 람과 가축 합계[人·畜計]를 계산·검증[課校]했다.73)(강조와 소괄호 “( )”

안의 설명은 필자가 덧붙인 것이다. 대괄호 “[ ]”는 문맥을 고려해 보 충하거나 原文을 밝힐 때 쓴다. 이하 동일)

匈奴는 매년 세 차례 諸部의 모임에서 天神에 祭를 올리는 한편, 특히 가을 (구월)에 인구·가축을 회계했다. 그들은 이때 國事를 논의하고 말과 駱駞를 달리며 즐겼다.74) 匈奴는 中華 세계에서 통상 ‘한 해의 시작’을 의미하는 정 월의 小會보다 여름 오월과 가을 구월의 大會를 중시한 듯하다. 匈奴의 小 會·大會와 유사한 회의가 烏丸·鮮卑·거란(契丹) 등 여러 유목 집단 사이에서

71) Anatoly M. Khazanov, “The Scythians and Their Neighbors,” Reuven Amitai and Michal Biran, ed., Nomads as Agents of Cultural Change: The Mongols and Their Eurasian Predecessors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5), p.38, p.48의 주석 38.

72) 박원길, 유라시아 초원제국의 샤마니즘, 서울: 민속원, 2001, pp.27~30.

73) 史記110 「列傳」 「匈奴列傳」50, p.2892, “歲正月, 諸長小會單于庭, 祠. 五月, 大會蘢城, 祭其先·天地·鬼神. 秋, 馬肥, 大會蹛林, 課校人畜計.”; 史記 外國傳 譯註(譯註 中國 正史 外國傳 1)(김유철·하원수, 동북아역사재단 2009) 「匈奴列傳」(정재훈 역주, 하원수 교역), pp.67~69.

74) 後漢書89 「南匈奴列傳」, p.2944, “匈奴俗, 歲有三龍祠, 常以正月·五月·九月戊日祭天神.

南單于既內附, 兼祠漢帝, 因會諸部, 議國事, 走馬及駱駞爲樂.”; 箭內亘(1930), p.367.

도 관찰된다. 그들은 종족 또는 국가의 首長을 뽑을 때에도 회의를 열었 다.75) 곧 유목민들은 전통적으로 정례적 祭儀와 非정례적 국가 大事의 의결 을 위해 다양한 규모의 회의(이른바 쿠릴타이)를 개최했다. 특히 정례 모임 은 祭天과 관계된 것이었다. 음력 정월·오월·구월은 샤먼의 전통 祭日이었 다.76)

몽골인들은 초원의 전통을 계승해 祭天 행사를 거행했다. 蒙韃備錄에 따르면 몽골인들은 정월 초하루와 단오절[重午]에 반드시 하늘(天)을 경배했 다. 이에 대해 저자 趙珙은 몽골인들이 “金人의 遺制를 계승했기 때문이며 [祭天에서] 飲宴을 즐거움으로 삼는다̇ ̇ ̇ ̇ ̇ ̇ ̇ ̇ ̇ ̇ ̇ ”고 이해했다.77) 설날의 祭天이 유목적 전통 혹은 金의 영향으로 볼 여지가 있는 한편, 적어도 오월의 祭天은 몽골 오보祭와 계승 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78) 몽골인들은 본래 天 地를 가장 숭배했고 每事에 반드시 하늘(天: 몽골어

tengri

)을 칭했다.79) 1254년에 뭉케 카안은 수도사 루브룩(William of Rubruck: c.1220-93)에 게 “우리 몽골인들은 유일한 신(only one God)을 믿고 있고 그분을 통해 우리가 살고 죽으며 그분께로 우리 마음이 향해 있소”라고 말하며 자신의 신앙을 고백했다.80) 텡그리(

tengri

)는 몽골인들에게 至高의 신이었다.81)

몽골비사에 따르면 “여름의 첫 달 열엿새, 붉은 만월의 날 타이치우트 (Tayiči’ut: 셍굼 빌게의 후손들이자 칭기스칸과 적대한 종족)가 오난 강의 기슭에서 잔치를 했(qurimladu=ǰu)”다.82) 여름의 첫 달 열엿새(곧 사월 십 육일)는 여름의 첫 보름달의 날이었다. 그것은 유목민들의 날짜 관념에서 상

75) 箭內亘(1930), pp.364~368; Gerhard Doerfer(1963), p.436. 유목민들은 首長 지위의 세 습을 보통 허용하지 않는 편이었고 한 사람을 主君으로 선출했다(三國志30 「魏書」30 烏 丸鮮卑東夷傳·烏丸, p.832, “常推募勇健能理決鬭訟相侵犯者爲大人, 邑落各有小帥, 不世繼 也.”; 舊五代史137 「外國列傳」1 契丹, pp.1827~1828, “先是, 契丹之先大賀氏有勝兵四 萬, 分爲八部, 每部皆號大人, 內推一人爲主, 建旗鼓以尊之, 每三年第其名以代之.”).

76) 박원길, 「몽골의 오보(oboo) 및 오보제(祭)」, 중앙민속학8, 1996, p.158.

77) 蒙韃備錄校注([宋]<孟>[趙]珙 撰, [淸]曹元忠 校注, 續修四庫全書423·史部·雜史類) 「風 俗」, pp.527下~528上, “韃人, (중략) 正月一日, 必拜天, 重午亦然. 此乃久住燕地, 襲金人 遺制, 飲宴爲樂也.”

78) 박원길(1996), p.164.

79) 蒙韃備錄校注 「祭祀」, p.530上, “其俗最敬天地, 每事必稱天.”

80) Peter Jackson, The Mission of Friar William of Rubruck: His Journey to the Court of the Great Khan Möngke, 1253-1255 (London: Hakluyt Society, 1990), p.236; 몽골제국 기행(김호동 역주), pp.356~357.

81) 今井秀周, 「モンゴルの祭天儀式: モンゴル帝國から元朝の間について」, 東海女子大學紀要

26, 2006, pp.1~2; 馬曉林, 「蒙元時代日月山地望考」, 中國歷史地理論叢, 2014(04), p.49.

82) 몽골비사(유원수 역주) 제81절, p.54; Igor de Rachewiltz,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p.23; ≪元朝秘史≫モンゴル語全單語·語尾索引(栗林均·确精扎布 編), pp.70~71.

서로운 날이었고 대연회를 여는 날이었다.83) 음력 사월은 풀이 푸르러지기 시작하는 달이었다.84) “여름의 첫 달 열엿새, 붉은 만월의 날”에 열린 타이 치우트의 쿠림(

qurim

會·筵會)은 “풀이 푸른 것[草靑]을 1년으로 삼고 新月 의 첫 출현을 一月(한 해의 첫 달)로 삼는” 몽골의 시간 풍속85)과 부합한다.

이에 음력 사월 십육일을 몽골 고유의 ‘설날’로 간주하는 연구도 있다.86) 곧 몽골의 祭天 행사는 草地의 순환주기, 곧 유목경제의 생산패턴과 맞물려 있 었고87) 쿠림(

qurim

)의 일종이었다. 몽골의 祭典은 음력 정월·사월·오월(重午) 에 年例로 열렸다.

祭天·宴會의 전통은 帝國 시대로 계승되었다. 1247년에 張德輝(1195- 1274)가 견문한 바, 사월 구일에 몽골 군주는 장수들[麾下]을 이끌고 大牙帳 [앞]에 모여 白馬湩(흰말 젖)을 뿌려 제사지냈다. 그 집기는 모두 자작나무 [樺木]로 만들었고 金·銀 장식 없이 질박했다. 그들은 이날부터 순회하기 시 작해 驛道를 따라 서남쪽―당시 카안의 夏營地는 春營地의 서남쪽(【별첨】

[그림 1] 참조)―으로 이동해 여름 더위를 피할 곳, 곧 夏營地로 갔다.88) 馬 湩(말 젖)은 몽골 고유의 祭天 儀式에서 중시되었다. 특히 흰말 젖[白馬湩]은 몽골의 황실 典範에서 宗戚과 그 후예[貴冑]가 아니면 마실 수 없었다.89) 마 르코 폴로(c.1254-1324)도 “흰색 암말의 젖은 황제의 가문, 즉 대카안의 혈 통이 아니면 아무도 감히 마시지 못한다”90)고 강조했다.

1254년 4월 5일부터 7월 10일경까지 카라코룸에 체류했던 루브룩도 흰말 젖을 뿌리는 사월 祭典을 전한다.

83) Igor de Rachewiltz,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p.376.

84) 黑韃事略([宋]彭大雅 撰, 徐霆 疏證, 北京: 中華書局, 1985), p.2, “其產野草. 四月始靑, 六月始茂, 八月又枯.”(이하 中華書局本 인용)

85) 黑韃事略(中華書局本), p.5, “其正朔, 昔用十二支辰之象【如子曰鼠兒年之類】, 今用六甲 輪流【如曰甲子正月一日或三十日】, 皆漢人·女眞教之. 若韃之本俗, 初不理會得, 只是草靑則 爲一年, 新月初生則爲一月. 人問其庚甲若幹, 則倒指而數幾靑草.”

86) 박원길(1996), pp.159~160; 박원길(2001), pp.284~285. 박원길은 Dorji Banzaroff의 견 해를 수용해 음력 사월 십육일의 고대 몽골의 春祭(설날)가 中華의 正初의 영향을 받아 현 재 음력 정월 일일의 몽골의 차강사르(Chagaan Sar)로 바뀐 것으로 추측한다(박원길 (1996), p.160).

87) 박원길,(1996), p.157; 박원길(2001), p.283; 今井秀周(2006), p.8.

88) 嶺北紀行([元]張德輝, 李修生 主編 全元文694, 南京: 鳳凰出版社, 2004), pp.292~29 3, “至重九日, (중략) 其什器皆用樺木, 不以金銀爲飾, 尚質也. (중략) 四月九日, 率麾下復 會于大牙帳, 灑白馬湩, 什器亦如之. (중략) 自是日始回, 復由驛道西南往避夏所也.”; 水東 日記35([明]葉盛, 北京: 中華書局, 1980) 「中堂事記紀行錄」, pp.344~345.

89) 元史122 「昔兒吉思孫千家奴傳」, p.3015, “初, 昔兒吉思之妻爲皇子乳母, 於是皇太后待 以家人之禮, 得同飮白馬湩. 時朝廷舊典, 白馬湩非宗戚貴冑不得飮也.”

90)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김호동 역주, 서울: 사계절, 2000), p.213.

나아가 5월 아흐레(1254년 사월 이십일일)가 되면 그들은 흰색 암말들 을 모아서 제물로 바칩니다. 기독교 사제들도 역시 향로들을 가지고 와서 함께 모여야 합니다. 그런 다음 그들은 새로 만든 쿠미스 (comos: 곧 말 젖·마유주)를 땅에 뿌립니다. 그날에는 큰 잔치(great festival)를 벌이는데, 그 이유는 그날 처음으로 새로운 쿠미스를 마시 는 날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91)

뭉케 카안 시대의 祭儀는 시기·방식에서 구육 카안 시대와 동일했고 祭儀 후에 큰 잔치가 열렸다. 루브룩은 새로운 참석자로 기독교 사제들을 거론했 다. 그 무렵에 뭉케 카안은 카라코룸에 있었고 여름에 夏營地 우르메게투 (Ōrmegetū 月兒滅怯土)로 이동했다.92)

사월 祭儀는 쿠빌라이 카안에게도 계승되었다. 쿠빌라이 카안은 1261년 여름 사월 팔일(5.8.)의 청명한 날에 桓州(현 내몽골 正藍旗 서북)의 서북쪽 교외에서 친히 하늘(天)을 향해 제사를 지냈다. 당시 馬湩(말 젖)을 뿌리는 의례가 거행되었고 皇族만이 參禮할 수 있었다. 그 의례의 형식은 모두 초 창기와 같았다.93) 쿠빌라이 카안의 사월 祭儀는 몽골 고유의 방식을 따랐다.

이 祭天은 宗敎祭로 추정되고 있다. 宗敎祭는 때로 임시로 거행되기도 하지 만 대개 매년 정기적으로 열렸다.94) 사월 祭儀는 날짜가 고정적이지는 않았 으나 주기적으로 열렸다.

張德輝에 따르면 사월 祭典과 마찬가지로 重九日, 곧 구월 구일에도 군주 와 장수들[麾下]이 大牙帳[앞]에 모여 흰말 젖을 뿌려 歲時 제사를 지냈다.

그 집기 또한 같았다. 매년 重九와 사월 구일의 두 차례만 [白馬湩의] 祭를 지냈고 나머지 절기는 그렇지 않았다.95) 사월이 하영지로 옮겨가는 시점이었

91) Peter Jackson, The Mission of Friar William of Rubruck, pp.241~242; 몽골제국 기행(김호동 역주), pp.356~357.

92) 元史3 「憲宗本紀」 憲宗八年, p.47, “夏, 幸月兒滅怯[土]之地.” 우르메게투 초원은 대칸 의 夏營地였으며 카라코룸 서북 방향으로 70~80㎞ 떨어진 타미르 강(塔密兒河) 유역 金蓮 花甸(Checherleg)에 있었다(김호동(2002), pp.6~7).

93) 元史72 「祭祀志」1 郊祀上, p.1781, “世祖中統二年, 親征北方. 夏四月(乙)[己]亥, 躬祀天于 舊桓州之西北. 灑馬湩以爲禮, 皇族之外, 無得而與, 皆如其初.”; 秋澗先生大全文集80([元]王 惲, 元人文集珍本叢刊2, 臺北: 新文豊出版公司) 「中堂事記」中 中統二年四月八日, p.2a,

“八日己亥, 天日極晴朗. 上祀天於舊桓州西北郊, 皇族之外, 皆不得預禮也.”; 中堂事記中 ([元]王惲, 顧宏義·李文 整理標校 金元日記叢編, 上海: 上海書店出版社, 2013), p.109).

94) 今井秀周(2006), pp.5~7.

95) 嶺北紀行(全元文694), pp.292~293, “至重九日, 王師麾下會于大牙帳, 灑白馬湩, 修時 祀也. 其什器皆用樺木, 不以金銀爲飾, 尚質也. (중략) 每歲惟重九·四月九, 凡致祭者再, 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