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 대한 태도 中國祭祀儀式
( )
盧 在 軾 中國 上海大學
. 序論
Ⅰ
년 전후 개신교 선교사들간 . 1860
Ⅱ
의 제사 의식에 대한 논쟁
중국 내지 선교회의 제사의식에 .
Ⅲ
대한 부정적 태도 원인과 그 평가 . 결론
Ⅳ
. 序 論
Ⅰ
년 최초의 중국 개신교 선교사 로버트 모리슨
1807 (Robert Morrison,
이 중국 에 도착한 이후 지역의 많은 개신교 선교사들
)
馬禮遜 廣州 歐美
이 중국에 들어오게 되었다 특히
. 1860
년 북경조약 에서 기독교 내지 선교가 합법화된 이후 수많은 개신교 선교사들이 중국에 들어오게 되 었다 이처럼 중국의 마지막.
王朝인 淸朝에서 기독교 선교 사업이 한 창 발전할 무렵 또 다른 방면에서 중국은 근대화를 향한 몸부림을 치 는 시기였다 당시.
淸朝의 일부 선각자들은 중국이 발전을 하려면 반 드시 陳腐한 봉건적인 사상과 요소를 제거하고 새로운 사상과 사물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각성은 청말의.
洋務運動,
變法 그리고 결국은 으로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 중에.
運動 革命
서 중국의 수구세력과 개혁세력 간의 적지 않은 모순과 갈등이 생겨나 게 되었다
.
한편 外來 종교인 기독교는 이 시기 중국 민중들의 反基督敎運動
등의 큰 저항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운동은 년대
(
反敎運動) .
反敎1880
이후 점점 발전하다가
1900
년 의화단에 이르러 최고조에 이르게 되었 다 이렇게 반기독교 운동이 고조되는 한편 다른 이면에서는 서양의.
새로운 학문과 신사상을 받아들이려는 움직임도 활발하게 일어났다.
이러한 반교 현상과 동시에 새로운 서양 학문과 사상을 추구하는 청말 중국사회의 상반된 반응은 서양 선교사들에게 새로운 도전이었 다 이러한 중국인들의 상반된 반응에 직면해서
. 19
세기 말 중국의 서 양 선교사들은 서로 다른 선교방식을 채택하게 되었다.
년대 말 미국의 폴 버그 는 세기 말 중국에 온
1950 . (Paul. A. Varg) 19
서양 선교사들을 基要派 保守派 自由派 社會派
, , ,
선교사들로 분류하였 다.
1) 선교사들의 신학사상과 선교방침의 차이에 따라 기요파와 보수파 선교사들은 중국인의 영혼 구제의 목적을 두고 정치적 문화적 활동을,
중시하지 않았고 직접 기독교를 전파하는 직접적 선교방식을 취하였 다 반면 자유파 사회파 선교사들은 인도주의적 정신에서 문화 의료. , , ,
교육 출판 등의 사업을 통해서 기독교를 전파하는 간접적 선교방식을,
취하였다.
2)이러한 기초위에서 중국 기독교사 연구자들은
19
세기말 중국에 온 서양 개신교 선교사들을 保守派선교사와 自由派선교사로 분류하고 있 다.
3) 영국 선교사 티모드 리챠드(Timothy Richard,
李提摩太)
나 미국1) Paul. A. Varg, Missionaries Chinese and Diplomats 1890-1952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1958), pp.214-216 참조.
2) Ibid.실제로 19세기말 중국에 활동하던 선교사들 사이에서 이러한 구분이 명 확하였던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구분은. 20세기 이후 중국 기독교사 학자들에 의해 제기되고 분류되었다.
3) 예를 들어서 朱琳琳은19세기 말 중국에 온 서양 선교사들은 두 분류로 나누 어지는데 한 부류는 狹義적이고 직접적인 선교를 한 이들이고 또 다른 부류는
적이고 간접적인 선교를 한 이들이었다고 논하고 있다. ,
廣義 朱琳琳 「林樂知與
( , : 1995 3 ), p.36참조; ,
間接傳敎」 世界宗敎硏究 北京 年第 期 王友三編 中國宗 에서는 허드슨 테일러의 선교방식과 티 ( )( : , 1990), p.977
敎史 下 齊南 齊魯書社
모드 리챠드의 선교방식을 비교하고 있다 그리고. 邢福增, 文化適應與中國基 에서도 동일한 견해를 보이고 있다
( : , 1995), pp.32-33 .
督徒 香港 建道神學院
, ( : , 1997), pp.26-51
王立新 美國傳敎士與晩淸中國現代化 天津 天津人民出版社
선교사 알렌 영
(John. A. Young,
林樂知)
등은 자유파 선교사의 대표 적인 인물들이고 영국 선교사 제임스 허드슨 테일러(J. Hudson.
이하 테일러로 함 와 그가 창립한
Taylor;
略稱)
中國 內地宣敎會(China
이하 내지회로 함 의 선교사들은 보수파의
Inland Mission, CIM;
略稱)
전형적인 인물들로 분류된다 자유파 선교사들이 기독교를 전파하기
.
위해서 출판 문화 사업을 전개한 것과는 달리 테일러와 내지회 선교,
사로 대표되는 보수파 선교사들은 중국의 농촌과 산간지방 등 僻地로 직접 들어가서 교회를 설립하고 성경을 배포하며 중국인들에게 직접적 으로 기독교를 전파하였다.
4)한편 학자들은 이러한 두 종류의 선교방식을 테일러式 선교방식 혹 은 리챠드式 선교방식으로 부르기도 한다
.
5) 전자는 기독교 敎義에 입 각해서 중국인의 心靈을 구제하는데 중점을 두었고 후자는 먼저 백성 들을 교화시키고 사회 개조와 복지사업을 통해서 중국인들을 歸依시키 려고 하였다.
년대 이후 중국 대륙에서 중국 기독교사 연구가 점차 활기를 띄
1990
게 되면서 다양한 각도에서 선교사들과 중국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나오게 되었다
.
6) 중국 전통 문화와 기독교의 관계에 대한 문제도 중국 기독교사 연구의 중요한 쟁점중의 하나가 되었다.
以往의 연구는 주로 예수회 천주교 선교사들의 “ ”에 관한 연구가 그 중明末淸初 禮義論爭
에서 자유파와 보수파의 선교방법과 정책 그에 대한 평가를 하고 있다. 4) 자유파와 보수파 선교사들의 비교 연구는王立新,앞의 책, pp.26-51;王立新,
19世紀在華基督敎的兩種傳敎政策 , 歷史硏究 (北京: 1996年第3 ), pp.70-期
「 」
참조 티모드 리챠드와 테일러의 선교정책 비교 연구는
81 . ( )美柯文著 蘇文奉,
, , ( , 170 ,
譯 「戴德生與李提摩太宣敎方式之比較」 林治平編 基督敎入華 年紀念集 : , 1977), pp.83-107 참조.
臺北 宇宙光出版社
5) 이 명칭의 유래는 John K. Fairbank, Edwin O, Reischauer ed, East Asia-The Modern Transformation (Cambridge: Harvard Univ Press, 1964) Chapter Five, Christian Mission, pp.362-364 참조.
6) 최근의 중국 대륙의 중국기독교사 연구동향에 관해서는 拙稿, 「중국 근대 기 독교사 연구 동향 중국대륙 대만 홍콩 미국 학계를 중심으로- , , , 」( 中國近現代史
28 , 2005 12 ), pp.223-234참조. 硏究 第 輯 年 月
심이었다
.
7) 그리고 청말 서양 개신교 선교사들의 중국 유교 전통문화 에 대한 반응과 인식에 관한 연구도 적지 않게 진행되었다 그런데 이.
러한 연구 성과 중 선교사들의 중국 전통 제사 儀式에 대한 인식과 태 도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고 할 수 있다.
8)그리하여 본문은 먼저
19
세기 초 개신교 선교사들의 중국 제사의식 에 대한 태도를 간단히 언급하고1860
년대 이후 개신교 선교사들의 중 국 전통 제사 의식에 대한 지지파와 반대파 선교사들의 상반된 의견을 제1, 2
차 선교사 대회의 토론 내용을 통해서 비교하고자 한다.
9) 그리7) 명말 청초 예수회 선교사들과 중국의 예의논쟁에 관한 연구로는 林金水, 「明
( , : 1993 2 ); ,
末之際士大夫與禮儀之爭」 歷史硏究 北京 年第 期 李天綱 中國禮
: - ( : , 1998); ,
儀之爭 歷史 文獻和意義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錢志坤 「禮儀之爭康
( , : 2002 2 ); ,
熙禁敎」 杭州師範學院學報 杭州 年第 期 李秋零 「淸初禮儀之爭的
( , : 2003 4 ); ,
文化學再反思」 人民大學學報 北京 年 第 期 韓琦 「禮儀之爭與中國 등이 있다
( , : 2004 6 ) .
天主敎徒」 歷史硏究 北京 年 第 期
8) 이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로는 史革新, 「近代來華傳敎士與儒學的關係」 ( 北京
, : 1986 6 ); ,
師範大學學報 北京 年 第 期 顧偉民 「近代基督敎傳敎士對於中國傳統
( , : 1995 1 ); ,
文化的態度」 上海敎育學院學報 上海 年 第 期 顧偉民 基督敎與近
( : , 1996), pp.262-271; ,
代中國社會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譚樹林 「早期來華新敎
( , : 1998 4 ); ,
傳敎士與中國傳統文化」 北方論叢 哈爾濱 年第 期 孫邦華 「晩淸寓
( , : 2005 2 ); ,
華新敎傳敎士的儒學觀」 孔子硏究 齊南 年第 期 曹剛華 「淸末傳敎
( , : 2005 6 ) 등이
士丁韙良對中國傳統文化的理解」 歷史敎學問題 上海 年 第 期 있다 선교사들의 제사의식에 대한 인식에 관한 논문으로는. ( )日 山本澄子著,
, ( , : 1989 1 ),
蔣松岩譯 「中國的基督敎和祖先崇拜」 世界宗敎資料 北京 年 第 期 이 있는데 의 명말 청초의 천주교 세기 개신교 세기
pp.28-34 唐代 景敎, , 19 , 20
전반기의 신교도 등으로 나누어서 각 시기의 기독교와 제사의식간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范正義, 「淸末中西祭祀糾紛與中國敎民」 ( 廈門 에서는 청말 서양 교회 선교사들과
, : 2002 5 ), pp.102-109 ,
大學學報 廈門 年第 期
중국 하층 교민들의 제사의식과 관련되어 발생된 마찰을 논하고 있다. 9) 1877년과 1890년 상해에서 각각 제 차1 , 2차在中國宣敎師會議가 개최되었다.
그리고 이 회의의 기록은 1878년과 1891년 상해에서 각각 영문으로 발간되었 다 제 차 선교사 회의의 내용은. 1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the Protestant Missionaries of China at Shanghai, May 10-24, 1877 (Shanghai:
로 제 차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78, 以下GCR, 1877 略稱). 2 선교사 회의의 내용은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the Protestant Missionaries of China at Shanghai, May 7-20, 1890 (Shanghai: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91, 以下GCR, 1890으로 略稱).
고 제사의식을 반대했던 보수파의 대표 격인 영국 선교사 테일러와 내 지회 선교사들의 제사의식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당시 선교사들의 한계성을 지적하고자 한다
.
10)년 전후 세기 개신교 선교사들 간의
. 1860 19
Ⅱ
제사 의식에 대한 견해
세기 후반 세기 초에 전개된 서양 선교사들의 선교 사업은 문화
18 19
제국주의적인 경향을 포함하고 있었다 선교사들은 기독교 문화는 당
.
시 세계상에서 가장 우수한 문화이며 모든 민족이 본받아야 할 문화라 고 생각하면서 기타 다른 지역의 문화에 대해 배타적인 입장을 보였 다 더욱이. 19
세기 초 중국에 온 서양 선교사들은 경건주의 보수적인,
사상의 영향 하에서 중국인들의 조상 숭배 의식에 대해서 강한 부정적 인 입장을 취하였다 비록 일부 선교사들은 조상 숭배가 중국 사회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을 발견하고 제사 의식 중의 우상적 요소를 최대10) 내지회는 1865년 테일러가 영국 런던에서 설립한 초교파적인 선교단체이다. 년 중국 상해로 들어온 테일러와 내지회 선교사들은 를 기점으로 해
1866 杭州
서 점차 浙江 江蘇 安徽 湖北省, , , 등으로 선교지역을 확대시켰고 1876년 烟臺 이후에는 , , 등 중국 내지로 들어가서 선교활동을 펴 나 條約 四川 云南 貴州省
갔다 내지회는 당시 기타 선교회와는 다른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 1) 어떤 종파나 국적에 상관없이 내지회에 가입할 수 있었다. 2)내지회 선교사들 은 엄격한 신앙원칙과 보수적 신학사상을 요구받았다 그리하여 내지회 선교사. 들은 선교정책과 방법에 있어서 극히 보수적이었다. 3) 내지회의 가장 큰 목적 은 전 중국에 기독교를 전파하는 것이었고 이 목표를 위해서 선교사들은 중국 에서 어떠한 어려움과 고난을 감수할 만한 마음의 자세와 태도를 가지도록 요 구받았다. 4) 선교사들은 그들의衣食,居住 言語, 면에서 최대한 중국인들과同 하도록 노력하였다 즉 그들은 중국인들의 기독교에 대한 거리감을 줄이려고. 化
최대한 중국인들과 同化하는 土着化 정책을 폈다 내지회는. 19세기 말 20세기 초 중국에서 활동하던 여러 선교단체 중 규모가 가장 크고 선교사의 수도 가 장 많았고 영향력이 큰 선교단체가 되었다 이처럼 내지회는 중국 근대 기독교. 사에서 忽視할 수 없는 중요한 선교단체라고 할 수 있다.
한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선교 상에서의 장애를 없애려고 시도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중국인들이 기독교를 받아들이기
.
위해서는 조상에 대한 제사 금지(
禁祭)
가 필수 조건이라고 여기었다.
특히1860
년 북경조약 이전의 선교사들은 중국 신도들의 조상과 孔子 에 대한 제사의식에 대해서 용납과 타협의 의도를 거의 보이지 않았 다 그들은 중국의 전통을 반대하고 기독교 교리를 고수하려 하였다. .
세기 초 선교사들이 광동성에서 편찬한
19 Chinese Repository (
中國)
에서總報 11) 로버트 모리슨은 선교사들은 중국 기독교도들의 제사의식 을 엄격하게 반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12) 동시에 그는 이전에 로마 교황청이 중국 천주교도들의 제사의식을 반대한 것을 강조하면서 제사의식 중의 미신과 우상숭배 요소를 언급하였다.
13) 기타 선교사들 도 그들의 日記나 저작 중에서 중국인의 우상숭배에 대해서 언급하였 는데 그 중 조상숭배 에 대한 글들이“ ” 비교적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 다.
14)이 외에도 선교사들이 발간한 선교책자 중에도 제사문제를 다룬 책 자가 몇 권 있었다 예를 들어서 메드허스트
. (Walter. T. Medhurst)
의년 네비우스 의
(1826 ), (John. L. Nevius) (1859
淸明掃墓之論 祖先辨謬
년
),
두리틀(Jestus Doolittle)
의 寒食淸明論(1855 )
년 등등이다.
15) 이러11) Chinese Repository(中國總報): 1832년 미국 선교사 Elijah Goleman 이 하여서 에서 편찬한 영문 잡지이다
Bridgman(裨治文) 主編 廣東省廣州 . 1832
년 월부터5 1851 12년 월까지 발행되었고 매년 권씩 모두1 20권이 발간되었다. 아편전쟁 전후의 중국 사회 정치 경제 문화 군사 풍속 등의 내용을 담고 있, , , , , 어 중외관계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12)Chinese Repository, Vol 1(Canton: Printed for the Proprietors, 1833), p.202.
13) Chinese Repository, Vol 1, p.502.
14) 19세기 초 중국에 활동하던 개신교 선교사들이 Chinese Repository상에 중 국의 제사의식과 우상숭배에 대한 발표한 문장은 모두 45편에 달하였다(吳義
, , : , 2000, p.462 참조).
雄 在宗敎與世俗之間 廣州 廣東敎育出版社
15) Alexander Wylie, ed, Memorials of Protestant Missionaries to the Chinese: Giving a list of their Publications & Obituary Notices of the Deceased (Taipei: Chung-Wen Pub Company, 1967; reprint of Shanghai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67), pp.28, 153, 224.
한 현상은 당시 선교사들이 중국인들의 제사의식에 대해서 깊은 관심 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
년 이후 선교사들의 중국 내지 선교가 합법화되면서 선교사들
1860
과 중국 민중들간의 접촉은 더욱 많아졌다 이러한 선교과정 중에서
.
중국인들의 제사의식은 선교사들이 중국에서 선교를 하기 위해서 필수 적으로 해결해야 될 과제가 되었다.
년 북경조약 체결이후 중국인들의 제사의식에 관한 문제는 보
1860
수파 선교사와 자유파 선교사들 사이의 쟁론중의 하나가 되었다 일찍
.
이 明末淸初 시기에 중국에 온 예수회 천주교 선교사들은 중국 신도들 의 조상과 공자에 대한 제사 의식을 허용하는 입장이었다 그들은 중.
국인의 제사 의식은 조상에 대한 孝와 尊敬의 행위이지 우상숭배와는 무관하다고 생각하였다. 19
세기 말 자유파 선교사들은 이러한 예수회 선교사들의 관점을 계승하여서 제사 의식은 단순한 조상에 대한 일종 의 敬意로서 우상 숭배의 의미가 없다고 여기었다 또한 일단 중국인.
들의 제사의식을 허용하게 되면 중국에서 선교의 장애는 많이 제거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보수파 선교사들은 제사의식은 명백한 우상.
행위로서 중국인들이 기독교를 받아들이는데 큰 장애가 된다고 여기면 서 강한 반대의 입장을 보였다 이 외에도 중국 전통 풍속과 문화에.
대한 태도에서 보수파와 자유파 선교사들 사이에는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었는데 중국인들의 제사의식에 대한 입장 차이는 가장 치열 한 논쟁의 요소 중의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16)년 상해에서 개최된 제 차 선교사 대회에서 제사문제
1877 1
在中國 “ ”16) 王立新,앞의 책, p.46.당시 자유파 선교사들이 모두 제사의식을 찬성하고 보 수파 선교사들이 모두 제사의식을 반대하였던 것은 아니었다 주석 번에서 설. 2 명한 것과 같이 19세기 말 개신교 선교사들 간의 자유파와 보수파 선교사라는 명확한 구분이 있었던 것도 아니었고 제사의식에 대한 문제로 자유파와 보수 파가 나누어 진 것도 아니었다 다만 제사의식을 찬성한 선교사들은 자유파적. 인 성향의 선교사들이었고 또한 실제로 문화 교육 출판 활동 등의 간접적 선, , 교방식을 행한 선교사들이었고 제사의식을 반대한 선교사들은 직접적 선교방 식을 취한 보수파 선교사들이 대부분이어서 자유파 선교사들은 제사의식을 찬 성하고 보수파 선교사들은 제사의식을 반대했다고 하는 것이다.
가 중요한 토론 안건 중의 하나였다
.
17) 하지만 참가 선교사들 중 제사 의식을 찬성하는 선교사들은 극소수였고 대다수의 선교사들은 반대의 입장이었다.
18) 일찍이 중국인의 제사의식에 대해서 주목하였던 마티유 선교사는 제사의식 중의 우상 숭배 요소를 강조(Matthew T. Yates)
하였다 그는 제사의식은 이미 중국인들의 일종의 종교의식이 되었고
.
중국인들은 제사를 통하여서 평안을 구하고 禍를 피하려고 한다고 하 였다 이러한 의식은 중국인들이 표방한 제사의.
‘孝親’의식을 넘어선 우상숭배의 요소라고 지적하고 있다.
19) 제사를 위해서 중국인들은 매 년 많은 돈을 지출하고 있고 이러함으로써 현세의 사람들이 죽은 이들 의 노예가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는 오직 기독교 복음만이 중국인.
들을 우상숭배로부터 해방시킬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선교.
사들이 중국에서 선교의 편의를 위해서 제사문제에 대해 타협하는 것 은 일종의 신앙의 굴복행위라고 질책하고 있다.
20) 이외에도 하트 웰 과 쉐필드 선교사들도 선교사들은 제사문(C. Hartwell) (D. G. Sheffeld)
제에 있어서 절대로 양보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
21)당시 회의 상 발표한
20
여명의 선교사 중에서 뮬레(A. E. Moule),
엡스킨(Edskin),
홀트(W. S. Holt)
선교사 등만이 제사 문제에 대해서 비교적 타협적인 입장이었다 엡스킨은 우리들은 중국인들이 자신들.
“ 의 방식으로 조상들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방식에 대해서 과연 제지할 만한 권리가 있는가 라고 반문하였다?” .
22) 홀트 선교사는 중국의 모든“ 풍속이 異端인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중국 교도들에게 우상숭배와 특.
별한 관련이 없는 풍속을 유지하게 하는 것은 나쁜 일이 아니라고 생 17) 1877 5 10년 월 일부터 주일간 개최된 이 회의에는 모두2 126명의 선교사들이 참석하였다(院仁澤主編, 上海宗敎史 ,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 1993, p.853 참 조).18) 1877년 제 차 선교사대회 중 중국인들의 제사의식에 관한 선교사들의 토론에1 관한 내용은 Ancestral Worship & Discussion, GCR, 1877, pp.367-406참조. 19) GCR, 1877, pp.367-368.
20) GCR, 1877, pp.385-386.
21) GCR, 1877, pp.398-399.
22) GCR, 1877 p.405.
각 한다 라고 말하고 있다”
.
23) 하지만 당시 회의에 참석한 대부분의 선 교사들은 제사의식은 중국인들이 기독교를 받아들이는데 큰 방해요소 라고 주장하였다.
년 제 차 선교사회의에서도 제사문제는 또 다시 선교사들 간의
1890 2
쟁론이 되었다
.
24) 제사 의식에 대해 찬성한 자는 미국 선교사 마틴 이 대표적인 인물이었다(William Alexander Parsons Martin,
丁韙良) .
그는 비록 그 회의에 참석하지는 못했지만 다른 사람을 시켜서The Worship of Ancestors A Plea for Toleration
이라는 그의 문장을 代 하게 하였다 이 글에서 마틴은 중국 신도들의 제사의식에 대해서.
讀선교사들은 관용의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제사의
.
식 중에 약간의 우상숭배와 미신적인 요소가 있음을 인정하고 있지만 제사는 그 나름대로의 장점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제사의 근본정 신은 인성의 기본적인 원칙에 근거하고 있다 라고 하면서 제사 의식을” 통해서 중국 가정의 자녀들이 부모를 존중하게 되고 중국의 가정제도 가 유지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동시에 그는 지금의 중국 사회에.
“ 서 제사는 결코 죽은 자들을 위한 의식이 아니다 라고 주장하면서 제” 사는 중국인의 가정과 가족 구성원들을 결합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가 지고 있으므로 서양 선교사들은 제사의식을 변형시켜서 기독교 신앙과 접목시켜야 한다고 건의하였다.
25)그는 또한 ‘ ’(Posture),拜 ‘ ’(Invocation),敬 ‘ ’(Offering)祭 등 세 가지 방면에서 제사는 우상숭배와 다르다고 설명하고 있다 제사중의
.
‘ ’拜는 사실상 중국인들이 일상생활에서 무릎을 꿇는( )
跪 행위와 같은 것이라 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위 사람과 부모에 대한 단순한 존경의.
표현일 뿐이라고 말하였다.
‘ ’敬의 측면에서는 제사가 우상 숭배요소를 23) Ibid.24) 1890 5 7년 월 일부터20일까지 개최된 이 회의는 모두445명의 선교사가 참여 하였다(院仁澤主編,앞의 책, p.859 참조). 1890년 제 차 선교사 회의에서 중국2 인의 제사의식에 관한 토론의견은 The Attitude of Christianity toward Ancestral Worship, GCR, 1890, pp. 631-659, 690-702 참조.
25) GCR, 1890, p.623.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사람들이 제사 의식 중의 죽은 이들의 대한 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고 하였 祈福
다 만약
.
祈福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면 이는 우상숭배의 행위라 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심리는 중국인들의 제사의식 중 그다지 보편적이지 않고 일종의 古人에 대한 존중의 표시가 제사의 주요한 정신이라고 지 적하고 있다.
‘ ’祭의 측면에서는 제사의 대상이 누구인가를 보아야지 제사의 물품으로서 제사가 우상숭배의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해서 는 안 된다고 하였다 서양에서 백합꽃으로 고인에게 헌화하는 것 같.
이 중국에서 고기와 다른 음식물을 사용하는 것은 같은 의미라고 말하 고 있다.
26) 마틴은 또한 역사적 교훈을 들면서 중국에서 제사의 금지 는 불가능하다고 밝히고 있다 즉 청조 초기의 로마 교황청에서 중국,
천주교 신도들의 제사 금지를 명하였다가 청조와 로마교황청 사이의 갈등이 생겨서 결국은 천주교 선교사들이 중국에서 추방당한 사건을 언급하면서 중국 사회에서 제사의식은 중국인들의 응집력을 갖게 하는 풍속이기 때문에 그것을 없애거나 금지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27)마틴의 이러한 주장은 선교사들 간의 열띤 쟁론을 불러 일으켰다
.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마틴의 의견에 반대 입장을 보였고 그의 의견에 찬성하는 이들은 극소수였다 이들은 주로.
廣學會소속 人士들인 티모 드리챠드와 엡스킨 등이었다 티모드 리챠드는 마틴을 변호해서 마틴.
“ 은 결코 우상숭배를 용인한 것이 아니고 제사 의식 중 非우상숭배적인 요소를 인정하자는 것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
28) 엡스킨은 제사의 기본 정신은 조상과 부모에 대한 ‘孝親’이므로 우상숭배와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29) 길버트 레이드(Gilbert Reid)
는 제사를 금지하는 것은 선교에 방해가 될 뿐 아니라 서양인의 교만을 나타내는 행위라고26) GCR, 1890, pp.626-627.
27) GCR, 1890, p.629.
28) GCR, 1890, p.647.
29) GCR, 1890, p.696.
지적하고 있다 그는 만약에 중국 선교사가 서양에 와서 선교를 하는
.
“ 데 교회당에서 춤을 추는 등의 의식을 본다면 그들도 받아들이기 어려 울 것이다 라고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선교사들이 강하”.
게 제사의식을 반대하는 행위는 중국인들 특히 지식인들의 강한 불만 과 반감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덧붙여 말하고 있다 그는 선교사들이.
기독교에서 반대하는 것은 우상숭배이지 제사의 기본 정신이 아님을 중국인들에게 일깨워 줘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선교사들이 제.
사를 반대하는 것은 서양인의 중국 전통 풍속에 대한 일종의 오해라고 덧붙였다.
30)하지만 앞에서도 언급한 듯이 마틴의 의견에 반대하는 이들이 대다 수였다 노이스
. (H. V. Noyes)
선교사는 제사는 중국 사회중의 악습의 근원이라고 비판하였고31) 보로지트(Blodget)
선교사는 기독교가 이미 효친의 정신을 충족시키고 있으므로 제사활동은 더 이상 필요가 없다 고 주장하였다.
32) 심지어 오힐링거(F. Ohlinger)
선교사는 제사의식에 대해서 어떠한 형식의 타협도 있어서는 안 되고 모든 제사의식을 철폐 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33)이러한 반대파 선교사들 중 보수파 선교사의 지도자격인 테일러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 당시 중국에서 활동하던 서양 선교사 들 사이에
.
서 테일러의 위치는 비교적 높았고1890 2
년 차 선교사 회의 상에서 내 지회 소속 선교사들의 참가자 수가 가장 많았다.
34)테일러는 이 회의 상에서 마틴의 의견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고 반 대하는 발언을 하였다
.
“제사와 관련된 모든 일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우상숭배와 관련이 있다.
‘여호와 이외의 어떠한 인물이나 사물’30) GCR, 1890, pp.658-659.
31) GCR, 1890, p.614.
32) GCR, 1890, p.647.
33) GCR, 1890, p.605.
34) 이 회의에 참석한 전체 선교사 445명 중 내지회 소속 선교사의 수는84명을 차지하였다 또한 테일러는. 1890년 회의 개막식의 사회를 맡았다(院仁澤主編, 앞의 책, pp.859-860 참조).
을 숭배하는 것은 하나님의 계율에 어긋나는 것이고 용납될 수 없다
.
마틴의 주장은 완전히 잘못된 것이다 심지어 제사의식의 허용 여부에.
대해 이렇게 토론하는 것조차도 기독교도들이 행해서는 안 될 일이 다”35)라고 말하고 있다 테일러는 조상에 대한 제사의식을 비롯한 제.
사와 유사한 다른 의식들도 우상숭배라고 여기면서 모두 부정을 하였 다.
이 회의에서 치열한 쟁론은 결국 제사 의식을 반대하는 선교사들의 압도적인 승리로 종결이 되었다
.
36)보수파 선교사든 자유파 선교사든
19
세기 말 중국에서 활동하던 대 부분의 서양 선교사들은 강렬한 문화우월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그들은 二元論的 세계관 즉 세계상에는 기독교 국가와 이교도 국가로-
나누어진다는 을 가지고 있었고 문화 또한 그러한 이분법으로 구분하-
였다 즉 기독교 신앙을 가진 서방문화가 고수하는 기독교 문화와 그.
외에 기타 모든 문화는 異敎 문화로 간주하였다.
37)동시에
19
세기 말 중국에 온 서양 선교사들은 유럽 중심의 세계관 으로 중국 문화를 대하려 하였다 그들은 보편적으로 서양 문명은 기.
독교 문화 기초 상에 이루어졌고 기독교 문화는 인류 문명을 추진하는 유일한 역량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므로 그들은 일종의 문화 우월감.
을 가지고 있었고 중국 전통문화에 대해서 경시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사상위에 그들은 중국 문화를 대표하는 유교에 대해서 부정과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萬國公報 상에 선교사들은 유교의 모순“ 과 오류점은 유교 경전 중에서 많이 보인다 고 말하고 있고 심지어” 는 인간이며 예수는 의 아들이다 지금 만약 공자가 다시 중“孔子 上帝
...
국에 태어난다면 필히 예수의 제자가 되려고 할 것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
.
38) 비록 일부 선교사들은 중국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보이기는35) GCR, 1890, p.701.
36) 1890년 회의에서 제사의식에 관한 토론의 결론내용은 GCR, 1890, pp.699- 702 참조.
37) 梁家麟, 中國近代基督敎10講 (香港 天道出版社: , 1998), p.74.
하였지만 대다수의 선교사들은 중국문화를 존중하거나 인정하려 하지 않았다
.
중국 근대 시기 서양 기독교와 중국 전통 문화간의 갈등은 명말 청 초 이후의 중서문화 갈등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겠는데 근대시기의 선 교사들과 중국 전통 문화와의 갈등 정도가 더욱 심하였다고 할 수 있 다 명말 청초 천주교 예수회 선교사들과
. 19
세기 말 개신교 선교사들 의 상황을 서로 비교해 본다면 그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즉 명말.
청초 예수회 선교사들은 만약 제사의식을 인정하지 않았다면 중국에서 선교활동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반면. 19
세말 개신교 선교사들은 이 미 天津 北京,
조약의 선교의 합법적 근거를 가지고서 선교를 하는 유 리한 조건이었다 비록 그들이 제사의식에 대해서 타협을 하지 않아도.
중국에서 선교 사업을 전개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중국인들이 기독교로 귀의하면 선교사들은 신도들에게 집안에 있는 조상의 위패를 없애고 모든 제사 활동의 참여를 금지하는 등의 요구를 하였고 그런 후에야 비로소 세례 의식을 베풀어 주었다 이러
.
한 선교사들의 제사금지 조치는 일반 중국인들이 기독교 신도들에 대 해서 부모도 없는 자들“(
無父無母)”
이라고 비판을 하게 하였다 예를.
들어 湖南合省公檄 에서 기독교는 조상과 부모를 공경하지 않고 오“ 직 하나의 神만 받들 뿐이다”39)라고 비판하고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국인들의 제사의식에 대해서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강한 반대의 입장을 취하였다 그 중 테일러를 중심으로
.
하는 내지회의 태도는 더욱 완강하고 보수적이었다 다음으로는 내지.
회가 중국 제사 의식에 대해 강한 부정과 반대의 태도를 취한 원인과 그에 대한 간단한 평가를 하고자 한다.
38) “儒敎之差謬 儒書中不勝枚擧 孔子人也 耶, ... , 穌,上帝之子也. 當今之時, 孔子若
, ”. ( ) , ,
再生于中國 必愿爲耶 之徒也穌 德安保羅作 沈少坪述 「救世敎成全儒敎說三」 ( 萬國公報 第96 ,冊 李天剛主編, 萬國公報文選,北京:三聯書店, 1998), p.147.
39) 王明倫編, 反洋敎書文揭帖選 (齊南: 齊魯書社, 1984), p.3.
내지회의 제사의식에 대한 부정적 태도 .
Ⅲ
원인과 그 평가
내지회 선교사들은 중국인들의 제사의식에 대하여
China's Milllions
40)에서 아래와 같이 기술하고 있다
.
“중국인의 조상에 대한 제사 의식 은 중국의 가장 주요한 종교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의 조상 숭배의 목.
적은 제사를 통해서 복을 구하고 禍를 피하려는 것이다 이것은 중국.
사회 진보의 가장 큰 장애가 되는 요소이고 중국 각 계층과 일상생활 속에 깊게 침투해 있다 중국의 전통문화는 유교문화인데 이것은 시대...
적 停滯性과 排他性이라는 낙후된 두 가지 시대적 민족 특징을 惹起시 켰다
.”
41)즉 내지회 선교사들은 중국인들의 유교에 대한 맹목적인 신종이 기 타 문화에 대한 강한 배타성을 낳게 하였다고 지적하고 있다
.
42)당시 내지회 소속 중국 신도인 孫世元은 萬國公報 에 많은 글들을 발표하였다 그 중
.
「論爲何不敬奉祖宗」이라는 제사에 관한 문장이 있 는데 이 글에서 그는 사람들이 祭를 행해야 할 대상은 天父(=
하나님)
이며 제사는 일종의 허위의식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43) 孫世元이외에 몇 몇 내지회 소속 중국 신도들도 萬國公報 상에 글들을 발표하였다.
하지만 그들의 대부분의 문장들은 기독교 교의에 관한 것이었고 제사40) China's Millions(中國億兆): 1875년 창간된 내지회의 期刊物로서 매년 번씩1 발간되었다 내지회 선교사들의 중국에서의 선교활동. 報告, 書信, 중국의 사회, 지리 문화 상황 등을 소개하고 있다 이 잡지는, . 1940년대 중반까지 발간되었 다 내지회의 중국에서의 선교활동과 당시 중국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 이다.
41) Ancestral Worship, China's Millions, 1877 (London: Morgan & scott), p.113.
42) Confucianism in it's relation to Christanity, China's Millions, 1877, p.106.
43)“敬奉祖宗之禮儀不過酒肉置于祖牌之前 或燒化紙錢焚香禮拜以爲籍此以孝心 以, .
?” , (
此虛假之禮文欺我祖宗父母何心何安 孫世元 「論爲何不敬奉祖宗」 萬國公報
499 , 1878 7 , : , 1968), p.5255.
第 卷 年 月 臺北 華文書局影印本
문제에 대해 논한 것은 많지 않았다
.
44) 어쨌든 孫世元의 문장을 통해 서 보았을 때 내지회 소속 중국 신도들도 중국 제사의식을 강하게 부 인하고 오직 하나님만이 참 숭배의 대상으로 여기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테일러를 중심으로 하는 내지회는 중국인들의 제사 의식에 대해서 강한 반대 입장을 취하였다 그 원인을 크게 두 가지 방면에서 생각해
.
볼 수 있다.
첫째 내지회의 보수적인 신학원칙의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아 볼
,
수 있다 즉 중국 전통 제사의식이 기독교교의와 위배되기 때문이었다. .
중국의 凡神論的인 신앙과 기독교의 유일신 사이에는 큰 차이가 존재 하였다 테일러와 내지회 선교사들 입장에서 여호와만이 유일한 신앙.
의 대상이고 기타 어떠한 것도 경배의 대상이 될 수 없었다 그들은.
중국 전통문화에 대해 어떠한 타협도 하려 하지 않았는데 이러한 타협 은 곧 신앙상의 타협이며 위협적인 요소라고 여기었다 기독교 신앙을.
택하든 아니면 유교 신앙을 택해야지 양자를 절충하는 것은 잘못된 시 도라고 강조하고 있다 그들은 유일신 하나님만을 섬기야 함을 주장하.
고 기타 어떤 신비한 역량과 권위에 대해서 모두 부정을 하였다.
테일러와 내지회는 기독교의 유일사상과 배외관념을 고수하였다 비
.
록 그들은 공개적으로 중국문화를 무시하거나 서양 문화의 우월성을 주장하지는 않았지만 유교 중심의 중국 전통문화는 이교라고 주장하였 다 비록 그들이 중국에서 선교할 때에 중국 복장을 하는 등.
衣食 服,
방면에서 최대한 중국인들과 동화되려고 노력하였지만 이것,
裝 居住
은 단지 선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었지 그들이 결코 중국 문화에 매료되어서 그런 것은 아니었다 즉 내지회가 취한 토착화정책은 선교
.
를 위한 일종의 수단이었다고 할 수 있다.
45)둘째 테일러와 내지회가 중국 제사의식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
,
44) 萬國公報상에 발표한 내지회 소속 중국 신도들의 명단은 楊大春, 萬國公
( : , 2002), pp.65-66 참조.
報與晩淸中西文化交流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45) 내지회의 토착화 정책에 대한 내용은 註11번 참조.
한 것은 그들의 보수적인 신학사상 이외에도 그들의 선교정책과도 관 련이 있었다 즉 그들은 주로 사회 하층 민중들에게 선교를 하였기 때
.
문에 상류 사대부 지식층과 교류할 기회가 매우 적었으며 중국의 유가 전통 문화를 이해하고 접촉할 만한 기회가 많지 않았다.
46) 그러므로 테일러와 내지회는 중국 문화에 대해 별다른 흥미를 가지지 못하였고 중국 문화의 대한 이해도 부족하였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그들은 중.
국 유가 전통문화와 풍습에 대해서는 큰 관심이 없었다 더욱이 테일.
러는 선교사들은 중국 전통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없고 오직의 명령만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
神 47)
Chiina's Millions
상에서내지회 선교사들은 비록 중국인들의 전통 문화 풍속에 대한 소개를 하 기는 하였지만 대부분이 표면적인 서술이었고 심도 있는 분석을 한 것 도 아니었으며 그 또한 선교를 위한 수단이었다 그들은 중국인들의
.
의식 속에 들어가기를 꺼려하였고 오히려 중국인들로 하여금 그들이 숭배하는 기독교 세계관 속에 편입시키려 하였다 이러한.
내지회의 선교방식은 내지회 소속 중국 신도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孫世元은상에 라는 제목의 글을 발표
萬國公報 「論爲何從儒敎不足該耶 之敎
穌
」하였는데 이 글에서 중국 전통의 유교 사상의 가식과 허위를 비판하면 서 유교는 단지 일부 지식인들에게 국한된 것에 반해 기독교는 학식과 지위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받아들일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
심지어 그는 중국의 유학자들도 기독교를 숭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48)46) 내지회의 선교방식의 특징은 아래로부터의 선교“ (自下而上)”이라고 할 수 있 다 즉 사회의 하층 민중들에게 먼저 기독교를 전하는 방식이었다 그리하여. . 내지회 선교사들은 주로 중국의 산간 농촌, , 僻地등으로 진입하여서 선교활동 을 하였다 내지회의 일반적인 특징에 관한 내용은. 註11번을 참조 그리고 내. 지회 선교방식의 특징과 한계에 대해서는 拙稿, 19「 世紀末兩種傳敎策略的比較 -以保守派戴德生與自由派林樂知比較爲中心」 ( 國際中國學硏究第10 ,輯 韓國中
년 월 참조
, 2007 12 ), pp.316-324 . 國學會
47) The Orign and Work of the China Inland Mission, China's Millions, 1875-1876, p.201.
48) “今之儒敎者必奉耶 之敎乃得謂眞儒穌 ...入改過遷善之問 聖歸于聖化也, ,豈非補
테일러를 중심으로 한 내지회 선교사들은 제사의식은 완전한 우상 숭배의 행위이고 선교사들은 반드시 그것을 철저히 반대하고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의 입장에서는 기독교의 교리 이외의 다른 문화
.
행위는 모두 “異敎”라고 규정지었다 이러한 배타적 의식은 중국 문화.
에 깊은 애정을 갖고 있는 중국 사대부들과 지식인들의 반감을 얻기에 충분하였다.
. 結 論
Ⅳ
세기말 중국에 온 서양 선교사들은 서양 문화를 숭상하고 있었으
19
며 ‘異邦’문화를 경시하였다 그들은 예수의 가르침을 유일한
.
‘聖敎’로 여기었고 서양의 사회 정치 문화 과학 등은 모두가 기독교의 산물이, , ,
아닌 것이 없다고 생각하였다 비록 이러한 인식은 약간의 차이가 있.
었지만 보수파 선교사나 자유파 선교사들 사이에 보편적으로 존재하였 다.
조상과 공자에 대한 제사의식은 중국 전통 문화의 중요한 요소로서 세기 말 중국인들의 심중에 깊이 뿌리박혀 있었다 이러한 중국인들
19 .
의 제사의식에 대해서
19
세기 말 중국에서 활동하던 서양 선교사들은 지지와 반대의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반대파의 선교사들은 조상에 대.
한 제사는 우상 숭배 미신이며 제사의식과 타협하는 것은 기독교 교,
리에도 어긋난다고 여기었다 반면 지지와 타협을 주장했던 선교사들.
은 명말 청초 예수회 선교사들의 입장을 계승하여서 제사의 본질은 효친 으로 조상에 대한 일종의 존중과 존경의 의식이라고 하면서 제사‘ ’
의식이 기독교 신앙과 모순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제사
.
의식은 오랫동안 중국 사회를 지탱해온 전통중의 하나로서 어느 정도?” , ( 490
儒敎之不足者乎 孫世元 「論爲何從儒敎不足該耶 之敎穌 」 萬國公報 第
, 1878 5 , : , 1968), p.5002.
卷 年 月 臺北 華文書局影印本
인정을 해야 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제사의식을 지지한 선교사들은 극
.
소수였고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제사의식을 강하게 부정하고 금지(‘
禁 하자는 입장이었다 제사의식을 찬성하는 소수의 선교사들도 제사’)
.
祭
의 기본 정신은 효친 이라 하면서 자신들의 의견을 주장하는 것에 불‘ ’ 과했지 당시 선교사들 사이의 보편적으로 존재했던 ‘禁祭’의 분위기를 바꿀 수는 없었다
.
중국 전통 사회에서 부모와 조상에 대한 제사 의식은 단순한 조상 을 기리는 정신이외에도 자손들로 하여금 자신의 言行을 점검하고 더 욱 신중히 하게 하는 교육적인 기능이 있었다 이러한 제사의식의 기
.
능은 다른 활동보다 민중들의 공감과 호응을 얻어서 중국 사회에서 오 랫동안 지속될 수 있었다.
49) 하지만 이러한 사회적 기능들을 내지회 선교사들을 비롯한 대다수의 선교사들은 제대로 인식을 하지 못하였 다 그들은 단지 기독교 전파의 목적 하에 제사의식을 일종의 우상숭.
배로 여기고 기독교 신학의 표준으로서 제사의 사회적 기능을 폄하하 고 부정하였다.
테일러를 중심으로 한 내지회 선교사들은 비록 서양 기독교 문화의 우월성을 강조하거나 중국 문화를 경시하는 발언이나 태도는 취하지는 않았지만 제사 의식에 대해서 강한 부정과 반대의 입장을 취하였다
.
또한 그들은 다른 중국 전통문화에 대해서도 별다른 관심을 가지지 않 았고 기독교 문화와 중국 문화를 접목시키려는 노력이나 시도도 거의 하지 않았다 그들은 기독교 교리만이 절대 진리 라는 신념을 가지고.
‘ ’ 중국 전통 유교 문화에 대해서 강한 배타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이러.
한 그들의 신념은 중국문화의 가치를 인식하고 더 나아가서 중국문화 를 이해해야겠다는 필요성을 가지지 못하게 하였고 중국 문화에 대한 배타적 행위는 중국 민중들과 사대부들의 강한 반감을 불러 일으켰다.
49) 王林, 西學與變法 萬國公報硏究- (齊南: 齊魯書社, 2004), p.202.
(
中文提要)
淸末西方改新敎傳敎士對中國祭祀儀式的態度
盧 在 軾
,
祭祀 式在中
仪 国传统
社 中有重大的意会 义
中 人每年国 举
行各种
祭祖仪
. . 19
式和活
动
祭祖是自 治统 阶级至平民百姓皆最重 和普遍的一视种礼仪
世. ,
末 的 士分 保守派和自由派 士 于中 人祭祀祖先
纪
来华 传教 为 传教 关 国
问题.
是保守派和自由派
争论
的焦点 一部分自由派传继
承明末 初耶酥 的政清 会
, . ,
策
对 国
中 信徒实
行祭祀 式采取 容的仪 宽 态
度 但是 大部分传教
士认为祭, .
祖是偶像崇拜 因此他
们极为 对 国
反 中 人祭祀祖先的 式仪
(J.Hudson.Taylor) (ChinaInland
英国传教
士戴德生创
立的中国内 会
地Mission, CIM) 19
是 世 末纪20
世 初在纪华传教 众
的 多差 中人 最多会 数
、传 .
域最广 最具特色的一 差、 是基督 新 在 史上不可
教区 个 会 它 教 教 华传教历
. .
忽 的一 差视
个 会
戴德生和中国内 会
地 是保守派的代表.
戴德生和 地
内 会对
祭祖 式采取否定的仪 态
度 他们
缺乏对传统
儒家文化, .
的理解 也根本不考虑要嫁接基督
教
和中 儒家文化的国 尝试
他们认为
只有,
耶和 才是 正
华 真 值
得敬重和崇拜的 象对 对 国
中 的其他宗 如佛 和道教 教 教
, .
都采取了排斥的立
场 并 坚决 对 国传统
且 反 中 的祭祀 式仪 .
地 士很少注意到中 文化 基督 通的 地内 会传教 国传统 与 教沟
问题内 会对
.
基督
教
信仰 中 文化之 的与 国
间协调
几乎 有作出什没 么贡献 内 会传教
地 士. " "
很少自 的促 中西文化交流的意觉 进 识 他
们对
基督教
绝对真理 的 信使坚
, .
他 忽略了中 文化的价
们 国 值
更认识不到学习 国
中 文化的必要性 他们
固守,
只有基督
教
的福音才能拯救中 人 魂的信念国 灵
这种排他性的政策根本无, .
法接近中 士大夫或知 分子
国
识当
然也不可能被他 所接们
纳주제어 제사의식: , 선교사 내지선교회 테일러 보수파 자유파, , , , .
: 祭祀 式, 士, 地 , 戴德生 保守派 自由派, , . 关键词 仪 传教 内 会
Keywords: Ancestral Worship, Missionaries, China Inland Mission, Hudson Taylor.
원고접수 년 월 일 접수 심사완료 년 월 일
( : 2007 10 21 , : 2007 12 8 )